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트북 인쇄회로기판 전자부품으로부터 탄탈럼의 분리

        권석제,박승수,김성민,조아람,송유진,박풍원,박재구,Kwon, Seokje,Park, Seungsoo,Kim, Seongmin,Joe, Aram,Song, Youjin,Park, Poongwon,Park, Jaiko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6 資源 리싸이클링 Vol.25 No.1

        노트북 실장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PCBA)으로부터 탄탈럼을 회수하기 위한 선별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노트북 실장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Electronic Components, ECs)을 자체개발한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기판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전자부품을 체분리하여 -6.35+2.80 mm구간에서 전체 탄탈럼 캐퍼시터의 약 93.2 wt.%를 회수할 수 있었다. 회수된 탄탈럼 캐퍼시터를 해머밀로 분쇄 후, 자력선별기를 통해 자력세기 300 가우스에서 분쇄물 중의 전극을 제거하였다. 전극이 제거된 자력선별 산물을 대상으로 넬슨 선별기(Knelson concentrator)를 이용한 선별 실험 결과 Bowl의 회전수 200 rpm, 유동층수 유량 7 L/min에서 76.9%의 최대 선별효율을 보였으며, 이때 품위 및 회수율은 각각 약 81.1%, 약 78.8%를 나타내었다. The study to obtain tantalum concentration from electronic components (ECs) o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PCBA) of laptop was conducted. Electronic components on laptop PCBA were detached from boards by using self-developed experimental apparatus. The detached electronic components were sieved and 93.2 wt.% of tantalum capacitors were concentrated from the size interval from 2.80 mm to 6.35 mm. The tantalum capacitors were pulverized by hammer mill and electrodes (anode and cathode) were removed from the grinding products by using magnetic separators under the magnetic force of 300 Gauss. Finally, tantalum concentrate was concentrated from the magnetic separator products by using Knelson concentrator, and the maximum efficiency of 76.9% was achieved under the operating condition of bowl rotating speed of 200 rpm, and fluidizing water flowrate of 7 L/min. The grade and recovery of Ta concentrate under the condition were 81.1% and 78.8%, respectively.

      • KCI우수등재

        국가 온실가스 감축규제에 따른 석회석산업의 대응방향

        권석제,서준형,김영진,김양수,조진상 한국자원공학회 202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9 No.6

        국내 석회 소성업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4기 (유상할당) 도입에 따른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며, 석회석 산업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방안은 주로 기술적인 것과 제도 개선을 통한 방법이 있다. 공정개선을 통한 직접적인 감축은 연료전환, 신식 소성로 도입 등이 있으며, 제도 개선을 통한 감축안은 온실가스배출량 산정 시 원료 및 제품의 순도를 반영하고, 포집되지 않고 배출되는 석회 킬른먼지(Lime Kiln Dust, LKD)의 재탄산화율을 고려하는 방법 등이 있다. 현재 석회 소성업은 시멘트산업와 같은 업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온실가스배출허용량 할당 시 업계 규모와 원료 및 제품의특성 차이로 낮은 조정계수를 부여받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별도의 업종으로 구분해야 한다. 소석회 및 경소백운석은 국내 각종 산업에서 필수적인 재료이므로, 탄소중립과 지속가능한 산업이 되기 위해서는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 무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 KCI등재

        석회 산업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원단위 산정 및 대응 방안 연구

        권석제,조진상,김영진,김양수,서준형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3 資源 리싸이클링 Vol.32 No.5

        석회 산업에서 발생하는 총 온실가스 중 약 75%가 공정배출에서 발생하며, 이는 소성공정에서 석회석의 탈탄산 반응에 의해 배출되는 비율이다. 또 석회석 소성 공정에서 다량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므로 소성공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는 매우 높다. 향후 국내 배출권거래제를 포함한 온실가스 규제에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석회 제조 공정별로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원 규명 및배출량 산정을 위한 체계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석회석 가공 업체들이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석회석 소성로 유형별 운전 방식, 투입원료 및 연료 차이 등을 현장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체로를 사용하는 경우 토중로 대비 효율이 향상되어 같은 양의 석회석을 사용하더라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The lime industry accounts for about 75% of greenhouse gases generated from process emissions, and because large amounts of fossil fuels are used, the intensity of greenhouse gas emissions per unit of product production is quite high. In order to respond more accurately and quickly to greenhouse gas regulations, including the domestic emissions trad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for accurately identifying greenhouse gas emission sources and calculating emissions for each lime manufacturing process. In this study, in order for limestone processing companies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domestic greenhouse gas emissions trading system, the operation method, input raw materials, and fuel differences for each type of limestone kiln were identified through field surveys, and the greenhouse gas emission intensity was analyzed As a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greenhouse gas emissions were reduced when using a Parallel flow regenerative kiln compared to an improved shaft kiln even when the same amount of limestone was used.

      • KCI등재

        고비표면적 탈황용 석회소재 제조

        권석제,김영진,김양수,서준형,조진상,Seok-je Kwon,Young-jin Kim,Yang-soo Kim,Jun-hyung Seo,Jin-sang Ch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4 資源 리싸이클링 Vol.33 No.1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으로 세계적으로 석탄화력발전소의 단계적 폐지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화력발전을 통한 전력 생산과 황산화물(SOx)의 배출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에서는 황산화물 처리를 위해 중조(NaHCO<sub>3</sub>)와 석회소재를 사용하며 중조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대표적인 부존자원인 석회석을 이용하여 석회소재의 물성 향상을 통해 중조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석회석은 박스형 전기로와 수직형 전기로를 통해 열처리했으며, 수직형 전기로가 가진 구조적 특징에 의해 비표면적 22.33 m<sup>2</sup>/g, 세공용적 0.14 cc/g의 생석회를 제조하여 석회소재의 물성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 KCI등재

        이산화탄소 흡수를 위한 소다라임 제조 및 특성

        김영진,권석제,서준형,김양수,조계홍,조진상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3 資源 리싸이클링 Vol.32 No.2

        In this study, soda lime was prepared from slaked lime to expand the scope of limestone use. To evaluate carbon dioxide absorption, an extruder-type and disc-type pelletizers were used to make the soda lime using bentonite as an additive. Regardless of the pelletizing process, the peak of CaCO3 was confirmed in soda lime due to its reaction with carbon dioxide.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both calcite and aragonite were present together. The soda lime prepared using the disc-type pelletizer showed a larger specific surface area than that prepared using the extruder-type pelletizer did, and the specific surface area improved on adding bentonite. The carbon dioxide absorption rate increased under the sample condition with an enhanced specific surface area.

      • KCI등재

        시멘트 산업 폐열 회수 현황

        김영진,서준형,김양수,권석제,조계홍,조진상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2 資源 리싸이클링 Vol.31 No.6

        The cement industry, which is an energy-intensive and high carbon dioxide emission industry, requires strategy for carbon neutr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Most domestic cement companies are generating electricity by waste heat recovery system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during cement processes; however, few studies exist on recycling of energy related to this. Certain countries with high cement production researched on modifying the conventional waste heat recovery system to maximize waste heat recovery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applying the Rankine cycl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comparing working fluids, applying two or more Rankine cycles, and combining with other industries.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research direction for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by summarizing waste heat recovery and utilization methods in the domestic and overseas cement industries.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이 많은 시멘트 산업은 탄소중립 실현 및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국내 대부분의 시멘트 업체에서 폐열 회수 시스템을 구축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에너지 재활용 연구는 거의없는 실정이다. 시멘트 생산이 많은 국가에서는 기존의 폐열 회수 시스템을 보완하기 위해 온도에 따라 적용하는 랭킨사이클 변경, 작동유체 비교, 2단 이상의 랭킨 사이클 적용 및 타 산업과의 연계 등을 통해 폐열 회수를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시멘트 산업에서의 폐열 회수 및 활용에 대해 정리하여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필요한 연구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