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굴착손상영역을 고려한 대형 석회석 갱내채광장의 안정성 분석 연구

        권민혁,최성웅,김창오,Kwon, Min-Hyuk,Choi, Sung-Oong,Kim, Chang-Oh 한국암반공학회 2016 터널과지하공간 Vol.26 No.2

        Investigation for rock joints, inspection for rock core, and laboratory tests for rock specimens, in this study, have been performed for identification of the extent and properties of Excavation Damaged Zone in a underground limestone mine, which plans to enlarge the size of openings to improve the production rate. Properties of EDZ and surrounding rock masses have been used numerically for discontinuum analysis, and it is concluded that the effect of EDZ can b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opening size and a blasting pattern of high precision can be suggested for the counterplan. 본 연구에서는 채수율 향상을 목적으로 채굴공동의 대형화를 계획하는 주방식 하이브리드 채광법이 적용되고 있는 갱내 석회석 광산에 대해 갱내절리면 조사, 시추코어 분석, 암석물성시험 등을 통해 굴착손상영역의 범위와 물성의 변화양상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으며, 이를 불연속체 수치해석에 직접 반영하여 대형 채굴공동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채굴공동이 대형화할수록 굴착손상영역의 영향은 커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굴착손상영역을 제어할 수 있는 고정밀의 발파패턴이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 KCI등재

        부유사 입경분포 모의를 위한 간편법

        권민혁,변지선,손민우,Kwon, Minhyuck,Byun, Jisun,Son, Minwoo 한국수자원학회 202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7 No.5

        많은 연구에서 비점착성 부유사의 입경분포를 평균입경와 표준편차를 이용해 묘사한다. 그러나 부유사는 크기가 다른 많은 입자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난류조건에서 부유사의 이동은 크기와 밀도로부터 계산된 침강속도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비점착성 부유사의 이동을 이해하려면 입경 분포를 보다 정량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난류조건에서 부유사의 입경분포를 모의할 수 있는 간편한 모형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점착성 유사와 비점착성 유사의 차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점착성 부유사를 위한 추계학적 응집 모형을 비점착성 유사의 입경분포 모의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간편법의 적용성을 살펴보기 위해 선행연구의 실험자료에 적용하여 모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수치 모의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이 실험값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특성을 모사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유사 이동 모형을 사용하여 부유사 입경분포를 모의하는 접근 방식이 부유사 입경분포의 중요한 특성을 이해하기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Numerous prior studies have delineated the size distribution of noncohesive sediment in suspension, focusing on mean size and standard deviation. However, suspensions comprise a heterogeneous mixture of sediment particles of varying sizes. The transport dynamics of suspended sediment in turbulent flow are intimately tied to settling velocities calculated based on size and density. Consequently, understanding the grain size distribution becomes paramount in comprehending sediment transport phenomena for noncohesive sediment.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 straightforward modeling approach for simulating the grain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sediment amidst turbulence. Leveraging insights into the contrast between cohesive and noncohesive sediment, we have meticulously revised a stochastic flocculation model originally designed for cohesive sediment to aptly simulate the grain size distribution of noncohesive sediment in suspension. The efficacy of our approach is corroborated through a meticulous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al data and the grain size distribution simulated by our newly proposed model.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we unveil that the modulation of grain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sediment is contingent upon the sediment transport capacity of the carrier fluid. Hence, we deduce that our simplified approach to simulating the grain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sediment, integrated with a sediment transport model, serves as a robust framework for elucidating the pivotal bulk properties of sediment transport.

      • SCOPUSKCI등재

        동적 환경을 위한 A<sup>*</sup> 알고리즘 기반의 경로 및 속도 프로파일 설계

        권민혁,강연식,김창환,박귀태,Kwon, Min-Hyeok,Kang, Yeon-Sik,Kim, Chang-Hwan,Park, Gwi-Tae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1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7 No.5

        This paper presents a hierarchical trajectory planning method which can handle a collision-free of the planned path in complex and dynamic environments. A PV (Path & Velocity profile) planning method minimizes a sharp change of orientation and waiting time to avoid a collision with moving obstacle through detour path. The path generation problem is solved by three steps. In the first step, a smooth global path is generated using $A^*$ algorithm. The second step sets up the velocity profile for the optimization problem considering the maximum velocity and acceleration. In the third step, the velocity profile for obtaining the shortest path is optimized using the fuzzy and genetic algorithm. To show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realistic simulations are performed.

      • KCI등재

        체육지도자 국가자격 취득자의 취업결정요인 분석

        권민혁 ( Min Hyuk Kwo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7 체육과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지도자 국가자격 취득자의 취업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체육지도자 국가자격 취득자의 취업결정요인, 둘째, 체육지도자 국가 자격과 취업의 관계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권민혁 외(2006)의 ``체육지도자 국가자격 취득자 실태조사 및 활용도 제고 방안``에서 실시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권민혁 외(2006)의 연구에서는 25-55세 사이의 체육지도자 국가자격 취득자를 모집단으로 하여 비례 할당표집을 통하여 9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도구는 <체육지도자의 노동 실태 및 자격 활용도 실태 조사> 설문지였으며, 전화 및 이메일 조사, 팩스 등을 활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 분석 기법은 로짓분석과 카이스퀘어 분석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지도자 국가자격 취득자의 취업유무 결정요인은 연령, 학력, 자격유형, 결혼 여부, 지역규모이다. 둘째, 체육지도자 국가자격 취득자의 취업형태 결정요인은 성, 연령, 학력, 자격유형이다. 셋째, 체육지도자 국가자격 취득자 중 체육계열 출신 체육 분야 근로자의 취업형태 결정요인은 성, 연령, 학력, 자격유형이다. 넷째, 체육지도자 자격 취득과 취업은 부분적으로 관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자격 유형과 관련하여, 경기지도자 자격취득자 및 생활체육·경기지도자 자격취득자의 취업률이 생활체육지도자의 취업률보다 높다. 자격 개수와 관련하여, 2개 이상의 자격취득자가 1개의 자격취득자보다 취업률이 높다. 그러나 자격 등급에 따른 취업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terminants of national coaching qualification holder`s employment. Specially, this study examined the issues of determinants of national coaching qualification holder`s employment, the relation between national coaching certificate and employment.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Kwon et al(2006)`s research, the research on national coaching certificates holder`s actual condition and strategy for utilizing, were used. According to Kwon et al(2006)`s research, the population was national coaching qualification holders of 25-55. They sampled 910 in using quota sampling.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elf-administration method.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computed with the use of the statistics program on Windows, SPSS/PC+ 12.0 Version. To analyse the data, logit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 were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terminants of national coaching qualification holder`s employment are age, education, types of qualification, marry, the scale of city. Second, determinants of national coaching qualification holder`s type of employment are sex, age, education, types of qualification. Third, determinants of sport related worker`s employment among national coaching qualification holders are sex, age, education, types of qualification. Fourth, there is partially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national coaching qualification and employment. Athletic coaching qualification holder`s employment are higher than sports for all coaching qualification holder`s employment. And the holder`s employment that coaching certificates are multiple are higher than the holder`s employment that coaching certificates is one.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levels of qualification.

      • KCI등재

        체육지도자 국가자격 취득자의 임금결정요인 분석

        권민혁 ( Min Hyuk Kwo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7 체육과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지도자 국가자격 취득자의 임금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체육지도자 국가자격 취득자의 임금결정요인, 둘째, 체육계열 출신 체육분야 근로자의 임금결정요인, 셋째, 체육지도자 국가 자격과 임금의 관계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권민혁 외(2006)의 ``체육지도자 국가자격 취득자 실태조사 및 활용도 제고 방안``에서 실시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권민혁 외(2006)의 연구에서는 25-55세 사이의 체육지도자 국가자격 취득자를 모집단으로 하여 비례할당 표집을 통하여 9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910명의 표본 중 임금근로자 648명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조사 도구는 <체육지도자의 노동 실태 및 자격 활용도 실태 조사> 설문지였으며, 전화 및 이메일 조사, 팩스 등을 활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 분석 기법은 다중회귀분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지도자 국가자격 취득자의 임금결정요인은 연령, 일일근로시간, 현직근속년수, 성, 학력, 기업규모, 결혼, 훈련 여부, 정규직 여부이다. 둘째, 체육지도자 국가자격 취득자 중 체육계열 출신 체육분야 근로자의 임금결정요인은 연령, 일일근로시간, 현직근속년수, 학력, 기업규모, 결혼, 훈련 여부, 정규직 여부이다. 셋째, 체육지도자 자격 취득과 임금은 관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자격 유형의 경우, 경기 지도자 자격 취득자의 임금이 생활체육지도자 자격 취득자의 임금보다 높다. 자격 개수에 따른 임금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자격 등급과 관련해서는 생활체육지도자 1급 취득자가 생활체육지도자 2, 3급 취득자보다 임금이 높은 반면, 경기지도자 자격 등급에 따른 임금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terminants of national coaching qualification holder`s wage.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d determinants of national coaching qualification holder`s wag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coaching qualification and wage.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Kwon et al(2006)`s research, the research on national coaching certification holder`s actual condition and strategy for utilizing, were used. According to Kwon et al(2006)`s research, the population was national coaching qualification holders of 25-55. They sampled 910 in using quota sampling, and the subject of the research includes 648(wage-worker) among them.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elf-administration method.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computed with the use of the statistics program on Windows, SPSS/PC+ 12.0 Version. To analyse the data, multiple regression and One-way ANOVA were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terminants of national coaching qualification holder`s wage are age, total work hours, work duration, sex, education, the scale of enterprise, marry, training, and regular worker. Second, determinants of sport related worker`s wage among national coaching qualification holders are age, total work hours, work duration, education, the scale of enterprise, marry, training, and regular worker. Third, there is partially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national coaching qualification and wage. athletic coaching qualification holder`s wage are higher than sports for all coaching qualification holder`s wag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wage by the number of qualification. In relation to the level of qualification, in case of sports for all coaching qualification, the first-level qualification holder`s wage is higher than second-level and third-level qualification holder`s wage.

      • KCI등재

        굴착손상영역을 고려한 대형 석회석 갱내채광장의 안정성 분석 연구

        권민혁(Min-Hyuk Kwon),최성웅(Sung-Oong Choi),김창오(Chang-Oh Kim) 한국암반공학회 2016 터널과지하공간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채수율 향상을 목적으로 채굴공동의 대형화를 계획하는 주방식 하이브리드 채광법이 적용되고 있는 갱내 석회석 광산에 대해 갱내절리면 조사, 시추코어 분석, 암석물성시험 등을 통해 굴착손상영역의 범위와 물성의 변화양상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으며, 이를 불연속체 수치해석에 직접 반영하여 대형 채굴공동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채굴공동이 대형화할수록 굴착손상영역의 영향은 커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굴착손상영역을 제어할 수 있는 고정밀의 발파패턴이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Investigation for rock joints, inspection for rock core, and laboratory tests for rock specimens, in this study, have been performed for identification of the extent and properties of Excavation Damaged Zone in a underground limestone mine, which plans to enlarge the size of openings to improve the production rate. Properties of EDZ and surrounding rock masses have been used numerically for discontinuum analysis, and it is concluded that the effect of EDZ can b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opening size and a blasting pattern of high precision can be suggested for the counterplan.

      • 텍스트마이닝으로 보는 일본 문학관의 관광적 활용 양상 분석 ‘코로나 이전 시기 권역별 양상: KH Coder와 LDA 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권민혁 ( Kwon Minhyeok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3 일본연구 Vol.40 No.0

        본 논문은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해 국내 문학관의 관광적 활용 양상을 분석한 선행연구의 후속연구로, 일본 내 문학관의 관광적 활용 양상을 분석하여 문학관을 지역의 관광시설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리스틀리(Listly)와 Python으로 일본 여행 전문 사이트 ‘쟈란(じゃらん)’과 ‘4travel’에서 검색 키워드 ‘文学館(문학관)’을 입력해 ‘구치코미(口コミ, 이하 리뷰)’ 게시글을 수집하였다. 일본 전국을 8개의 권역으로 구분한 뒤 이에 맞춰 수집한 리뷰 데이터를 분류하였다. 이후 KH Coder로 공기어 네트워크를 만들고 Python으로 LDA 토픽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본 내에서는 문학관의 1) 건물 외관 2) 정원 시설 3) 자연경관 4) 2차 콘텐츠와 테마파크 5) 생가 복원을 통해 지역의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일본 내 문학관의 관광적 활용 양상을 양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일본에서 문학관이 자리하고 있는 관광적 위치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 follow-up study of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the tourism use of domestic literature museums using text mining. Its purpose is to analyze the tourism use of literature museums in Japan to find ways to use them as local tourism facilities. First, through ‘Listly’ and ‘Python’, the search keyword ‘文学館 (Literary Museum)’ was entered on Japanese travel sites ‘Jaran(じゃらん)’ and ‘4travel’ to collect reviews of ‘Kuchi Komi (below review)’. Japan was divided into eight regions, and the review data collected accordingly were classified. After that, the co-occurrence network was created with KH Coder and LDA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with Python.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used as a local tourism resource in Japan through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of the literature museum, garden facilities, natural scenery, secondary contents, theme parks, and the restoration of birthplace. Through this paper,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tourism application patterns of Japanese literary museums.

      • KCI등재

        청소년의 가족여가활동 참여와 가족 기능의 관계

        권민혁(Min Hyuk Kwon) 한국사회체육학회 2012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family function with participation in adolescent`s family-leisure activity. The research problem were as following. First, is there difference of family function with leisure-comrades? Second, is there difference of family function with types of leisur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5,921 adolescents(man 3,142; woman 2,778). The tools of this study was survey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computed with the use of the statistics program on Windows, SPSS/PC+ 12.0 Version. To analyse the data, ANCOVA was us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is a difference of family function with leisure-comrades at p<.001 level. Second, there is a partial difference of family function with types of leisure.

      • KCI등재

        노인의 운동과 인지기능 및 우울증의 관계

        권민혁(Kwon, Min-Hyuk)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4

        이 연구는 노인의 운동과 인지기능 및 우울증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6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를 활용하였으며, 만 65세 이상의 노인에 해당하는 총 4,299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Window용 18.0 Version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 참가자가 비참가자에 비해 인지기능이 높다. 둘째, 운동 참가 빈도에 따른 인지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없다. 셋째, 운동참가 시간에 따른 인지기능은 31분 이상 참가자가 30분 이하 참가자보다 높다. 넷째, 운동 참가 기간에 따른 인지기능은 5년 이상 참가자가 1~3년 및 3~5년 참가자보다 높다. 다섯째, 운동 비참가자가 참가자에 비해 우울증이 높다. 여섯째, 운동 참가 빈도에 따른 우울증은 4회 이상 참가자가 2~3회 참가자가 보다 높다. 일곱째, 운동 참가 시간에 따른 우울증은 30분 이하 참가자가 61분 이상 참가자가 보다 높다. 여덟째, 운동 참가 기간에 따른 우울증은 유의한 차이가 없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xercise,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KloSA was used, and 4,299 old people were sampled. To analyse the data, one-way ANOVA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concluded through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function of exercise participants is higher than that of exercise non-participant.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frequency. Third, in the case of exercise time, the cognitive function of 31 minutes or more participants is higher than that of under 30 minutes participants. Fourth, in the case of exercise period, the cognitive function of 5 years or more participants is higher than that of 1~3 years and 3~5 years participants. Fifth, the depression of exercise non-participants is higher than that of exercise participant. Sixth, in the case of exercise frequency, the depression of 4 times participants is higher than that of 2~3 times participants. Seventh, in the case of exercise time, the depression of under 30 minutes participants is higher than that of 61 minutes or more participants. Eight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period.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체육특기적성활동 참가와 교우관계 및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

        권민혁(Kwon, Min-Hyuk)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1

        이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체육특기적성활동 참가와 교우관계 및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6차년도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를 활용하였으며, 총 1,196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Window용 18.0 Version을 이용하여 T 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체육특기적성활동 참가자가 특기적성활동 비참가자보다 교우관계는 양호하며, 문화적응스트레스는 낮다. 반면, 체육특기적성활동 참가자와 체육외 특기적성활동 참가자 간에는 교우관계 및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차이가 없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체육특기적성활동 참가 빈도에 따른 교우관계 및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차이가 없다. 셋째, 다문화청소년의 체육특기적성활동 참가 시간에 따른 및 교우관계 및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차이가 없다. 넷째, 체육특기적성활동에 참가하는 다문화청소년의 교우관계는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 participation, friendship and acculturation stres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MAPS was used, and 1,196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sampled. To analyse the data, t-test, one-way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concluded through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friendship of the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 participant are higher than that of non-participant, but the acculturation stress of the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 participant are lower than that of non-participant.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iendship and acculturation stress by participation frequency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r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iendship and acculturation stress by participation time durat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Fourth, friendship has negative impact on acculturation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