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비쿼터스 상거래 환경의 컨텍스트 기반 점진적 선호 분석 기법

        구미숙,황정희,최남규,정두영,류근호,Ku Mi Sug,Hwang Jeong Hee,Choi Nam Kyu,Jung Doo Young,Ryu Keun H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1 No.7

        As Ubiquitous commerce is coming personalization service is getting interested. And also the recommendation method which offers useful information to customer becomes more important. However, most of them depend on specific method and are restricted to the E-commerce. For applying these recommendation methods into U-commerce, first it is necessary that the extended context modeling and systematic connection of the methods to complement strength and weakness of recommendation methods in each commercial transaction. Therefore, we propose a mod-eling technique of context information related to personal activation in commercial transaction and show incremental preference analysis method, using preference tree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recommendation method in each step. And also, we use an XML indexing technique to effi-ciently extract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from a preference tree. 유비쿼터스 상거래의 도래에 따라 개인화된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고객이 관심을 갖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추천 기법의 중요성은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을 통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대부분 특징 기법에 의존적이고 전자 상거래에만 국한되어 적용될 수 있었다. 이러한 추천 기법을 유비쿼터스 상거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상황 또는 환경에 대한 정보 즉, 컨텍스트에 대한 확정된 도메인의 모델링과 각 추천 기법들의 상거래 활성화 단계별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유기적 연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상거래에서 개인의 상거래 활동에 관련된 컨텍스트 정보를 모델링하고, 상거래 활성화 단계에 따라 상이한 특성을 갖는 각 추천 기법을 선호도 트리를 매개로 하여 연계하는 점진적 선호 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생성된 선호도 트리에서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XML 인텍스 기법을 적용한다.

      • KCI등재

        『유식이십론』 한역 3본의 경명 변천과 역자 이설에 대한 고찰 - 우정백수(宇井伯壽)박사의 위역(魏譯) ‘보제류지(菩提流支)’설(說)에 대한 반론 -

        구미숙 ( Ku Mi-su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1

        현존하는 한역 『유식이십론』은 『유식론』(後魏 瞿曇般若流支 譯), 『대승유식론』(陳 眞諦 譯), 『유식이십론』(唐 玄? 譯)으로, 이 가운데 가장 먼저 번역된 위역은 <대정장>에 『破色心論』이라는 다른 이름이 있을 뿐 아니라 宋·元·明本에는 『능가경유식론』·『대승능가경유식론』이라는 다른 명칭이 쓰이기도 하고, 더욱이 宇井伯壽는 위역의 번역자 또한 菩提流支라고 주장하기 때문에 이 혼동을 정리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역대 경록과 대장경 판본을 조사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유식이십론』에 대한 11종류의 역대 경록을 비교 대조해 본 결과 모든 경록에서 위역은 반야류지, 진역은 진제, 당역은 현장이라고 하여 역자에 대한 이설은 없었다. 다만 경명은 당역만 『유식이십론』이라는 일관된 이름을 쓰고 있을 뿐, 위역과 진역은 『유식론』이라는 이름을 오랫동안 사용하였다. 『대승유식론』은 『개원석교록약출』에 처음 보이는데, 그 다음에 나오는 『정원신정석교목록』에 이르러 비로소 『유식론』·『대승유식론』·『유식이십론』으로 구분하였고, 이것은 <고려대장경>을 거쳐 지금의 <대정장>에 이르게 된다. 우이박사가 위역을 보리류지라고 하는 네 가지 근거 중 후대에 가장 영향력을 많이 끼친 것은 『역대삼보기』에서 ‘어느 류지인지 확실하지 않다’고 의심하는 내용이다. 이 의문은 이 경록 이전에 나온 『중경목록』에서 ‘留支譯’이라고 해 놓은 것을 『역대삼보기』에서 보리류지역과 반야류지역으로 분류하였는데 이때 확정이 가지 않는 면을 두고 한 말이다. 『유식론』의 경우 여기에 해당되지 않으며. 실제로 『개원석교록』에서 역자를 수정하는 사례가 있지만 그 때에도 『유식론』이 반야류지역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의심을 하지 않았다. 위역을 보리류지역으로 볼 수 있는 가장 확실한 근거는 慧愷의 후발문에 기록된 것뿐인데 이 하나의 근거만으로는 역대 경록의 교감을 부정하기에는 부족하다고 본다. The existing stationary THE TREATISE IN TWENTY VERSES ON CONSCIOUSNESS ONLY translated into Chinese is THE TREATISE ON CONSCIOUSNESS ONLY(translated by Gautama prajnaruci at Wei dynasty), THE TREATISE ON MAHAYANA CONSCIOUSNESS ONLY(translated by Paramartha at Chen dynasty) and THE TREATISE IN TWENTY VERSES ON CONSCIOUSNESS ONLY(translated by Xuanzang at Tang dynasty). Among these, the first transted THE TREATISE ON CONSCIOUSNESS ONLY has several different names. Moreover, since Uihakuzu claims that Bodhiruci translated this text, it was necessary to correct this confus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nvestigated scriptures and Tripitaka.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11 kinds of scriptures on these texts, there was no other translator. However, the names of the scriptures has changed many times. The preceding two translations have been called for a long time in the name of THE TREATISE ON CONSCIOUSNESS ONLY. Names such as this are first record in 貞元新定釋敎目錄(T2157). This leads to Daejeong New Year Tripitaka through Tripitaka Koreana. 歷代三寶紀(T2034)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Ui’ claim. The scriptural list left the question that it is not clear who translator is. Surveys have proved that this question is also unfounded. The only evidence is a disciple of Paamita statement. But only one statement can not reverse the evidence of the previous scripture catalog.

      • KCI등재

        <특집논문2> 인도불교의 중국적 변주-반야와 현학, 그리고 유학 : 『조론(肇論)』에 있어서 반야중관불교(般若中觀佛敎)와 현학(玄學)의 융합-비유비무(非有非無)와 즉체즉용(卽體卽用) 논리를 중심으로-

        구미숙 ( Mi Suk Ku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1

        후한시대 중국에 불경이 번역되기 시작할 때부터 승조에 이르기까지 2백여 년이 지났지만 승조에 이르러 비로소 불교의 중국화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승조를 중국불교의 원류라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승조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반야중관불교를 중국인들에게 정확하게 이해시켰다는 것과 중국적 사유인 위진현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것이다. 그는 『조론』의 많은 곳에서 중국인들에게 친숙한 老莊이나 孔子의 언어를 사용함에 따라 매우 중국적 사유로 느껴지게 하는 부분이 많다. 그런데 그는 단지 그 표현만을 빌린 게 아니라 사유방식도 함께 받아들인다. 그는 비유비무의 논리를 통해 중관불교의 緣起性空을 밝히고 즉체즉용 논리를 통해 般若寂照를 밝힌다. 그는 사물의 空性을 眞俗二諦로 분석하고 사물은 언어와 대상의 상호의존성에 의해 성립하기 때문에 비유비무라고 하였다. 한편 위진현학의 주된 논쟁점이 有無·本末·體用에 관한 것이었기 때문에 승조의 즉체즉용 논리는 현학의 영향을 매우 많은 받은 것으로 평가한다. 왕필의 귀무론과 곽상의 숭유론은 현상의 본질을 무나 유로 보고, 현상과 본질의 관계를 본말과 체용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승조는 체용본말의 관계보다 즉체즉용의 논리를 사용한다. 즉체즉용의 긍정성은 진리가 항상 구체적인 일상에서 실현되어야 한다는 중국철학의 전통을 계승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승조는 그에게 친숙한 중국적 사유와 새롭게 받아들이는 중관불교적 사유에 있어서 충돌보다는 매우 조화로운 융합의 길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Sengzhao(384-414) was the first Chinese thinker who had a genuine compre- hension of Indian Mahayana philosophy and knew how to use to wxpress Indian Madhyamika thought authententically. He wrote four famous essays, “Prajna without Knowledge”, “Emptinessj of the Non-Absolute”, “Things Do Not Shift”, “Nirvana without Name”. Sengzhao`s writings(Zhalun) strengthened the epistemology and metaphysics in Chinese thought. Usually People believe that we know, there are objects to be known. For Sengzhao, this is really a delusion and attachment. It is an unattached insight which finds the act of knowing, the knower, and the object to be known are all empty. people ordinarily tend assume that language represents reality. According Sengzhao, words have no essence of their own. Whatever they express is also without its own essence. In fact, words as well as objects are empty. People also tend to have a dualistic way of thinking and describe as real or unreal, existent or nonexistent. For Sengzhao, things can be neither real nor unreal. Because all things are causally dependent on each other.

      • SCOPUSSCIEKCI등재

        소구치의 intrusion시 치근 흡수 및 회복에 대한 주사전자 현미경적 연구

        구미숙(Mee-Sook Ku) 대한치과교정학회 198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ot resorption and repair pattern of human teeth under intrusive orthodontic loadings of varying magnitude and duration. 50 gms, 100 gms, 200 gms of force applied to the 96 experimental teeth with duration of 2, 5, 7, 10 weeks, after removing the arch wire and retaining during 2 and 6 weeks, experimental teeth were extract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itial resorption site was visible in the apex within 2 weeks with 50 gms, 100 gms samples. 2. The sites of resorption increased markedly with duration of the force. 3. The 50 grams samples of the all duration reveal the shallow resorption and the 100 gms samples of the all duration except 2 weeks reveal the shallow and deep resorption sites. 4. After 7 weeks with 50 gms and 100 gms, cellular cementum repair accompanied the continuing resorption. 5. 2 and 6 weeks after removing the force with 200 gms, the same cellular cementum repair accompanied with 50 gms, 100 gms samples.

      • KCI등재

        일반논문 : 승조(僧肇)의 『물부천론(物不遷論)』에 있어서 운동부정의 논리와 중국불교적 성격

        구미숙 ( Mi Suk Ku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7

        승조의 「물불천론」은 사물의 운동을 부정하는 논증이다. 그러나 그가 운동을 부정한다고 해서 사물은 정지해 있다고 하지 않는다. 운동과 정 지는 애초에 서로 다르지 않기 때문에 운동이 곧 정지이고, 정지가 곧 운동이다. 그가 이 논을 쓰게 된 계기에 대해 여러 견해가 있지만 본고 에서는 「물불천론」의 저술 순서에 따라 승조가 서두에 밝힌 상식부정이 저술의 의도라고 보았다. 그가 사물의 운동을 부정하는 논증에 대해서 도 기존의 연구에서는 動靜·古今·因果 등으로 분류하여 공간부정· 시간부정·인과부정 등으로 논의하는데, 본고에서는 그와 같은 분류를 따르지 않았다. 왜냐하면 이와 같은 분류에 따라 「물불천론」을 읽었을 때 그 의미가 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본의를 왜곡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승조의 서술순서를 그대로 따라 다섯 단락으로 나누어 物不遷을 설명하였다. 그의 논의 과정에는 『중론』의 논리를 따라 논리적으로 전개되는 부분도 있지만, 표현에 있 어서는 중국적인 요소가 많다. 「不眞空論」이나 「般若無知論」과 달리 「物 不遷論」의 제명도 더욱 중국적이다. 그는 『중론』과 같이 추상적 개념을 사용한 순수 논리적 글보다는 『노자』·『장자』·『주역』·『논어』 등의 언어를 빌려오면서 중국인에게 더욱 친숙한 세계를 보여준다. 따라서 그는 인도불교를 중국화시킨 선구자라 생각하며 그의 중국불교적 성격 을 체용론이라 한다. 체용론은 비유비무의 논리와 달리 더욱 중국화된 사유인데, 체용론의 의미에 대해서는 보다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 다. Wu Buqian by Seng Zhao is thesis about motion would be impossible. Though he denied motion, certainly he cannot assert that things is a standstill. The beginning motion and standstill is not different because motion is a standstill and a standstill is motion. Even if why he write this paper is many different opinion, I think that he denied the common sense things to moved from past to present. Many papers argued motion cannot be established by a denying of space, time and a causal relationship. But I do not follow this way. Because I cannot understand text in this way and it arouse many misunderstading. Therefore I divide Wu Buqian to five chapter flowing Sengzhao is writtened and I argue things do not shift in this paper. And this text have an element of Chinese Buddism.

      • 원저(原著) : 항체선별검사 시 Diegoa 판넬혈구의 추가는 필요한가?

        이종숙 ( Jong Sook Lee ),구미숙 ( Mi Sook Ku ),이기석 ( Gi Seog Lee ),김대근 ( Dae Keun Kim ),홍인표 ( In Pyo Hong ) 대한임상병리사협회 1999 임상수혈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5 No.1

        The anti-Diego(a)(Di(a)) has been expected to be fully found in Koreans of high incidence Di(a) antig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whether it is necessary to add a Di(a) panel cell in routine antibody screening test of the transfusion candidates. Unexpected antibodies were tested by saline and PEG antiglobulin antibody screening test for 6140 transfusion candidates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 1998 to February 28. 1999. The unexpected antibodies were detected in patients (1.37%) : 84 cases were detected. It was possible that additional test of Di(a) panel cell in 4464 transfusion candidate. But anti-Di(a) that has been expected in some existing reports did not detected one case in this study.

      • 원저(原著) : 혈소판 농축액 교차시험에서 발견된 항-E+c+Dia의 multiple antibody 검출 1예

        이종숙 ( J. S. Lee ),구미숙 ( M. S. Ku ),임연희 ( Y. H. Lim ),박주희 ( J. H. Park ),홍인표 ( I. P. Hong ) 대한임상병리사협회 1997 임상수혈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4 No.1

        The Diego blood group system is controlled by two allelic genes, Di(a) and Di(b). Di(a) is known to be absent in pure Caucasians but present exclusively among Amerio-can Indians and Mongolians. The incidences of Di(a) antigen among Koreans are reported to be 6.14 to 14.5%. Recently the authors experienced a case with anti-Di(a) in a patient serum, which detected by routine bromelin cross-matching test selected with R1R1 blood for platelet concentrates. The case detected by irregular antibody identification test at an antiglobulin phase. Previously the patient was been detected anti-E and anti-c, had been transfused with R1R1 cells during the treatment for Aplastic Anemia, probably contributing to the presence of irregular antibody "anti ? Di(a)". After the identification of anti-E+c+Di(a) antibody the patient has been transfused with the selected compatible R1R1 Di(a-b+) blood, which could prevent the possible delayed hemolytic transfuion reaction.

      • 원저(原著) : LISS Solution에서 반응이 약화된 항-K 동정 1예

        이종숙 ( Jong Sook Lee ),구미숙 ( Mi Suk Ku ),서우용 ( Woo Yang Seo ),김옥희 ( Ok Hee Kim )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2 임상수혈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7 No.1

        The antibody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test was compared to column agglutinination by incorporate low ionic strenth(LISS) solution vs Bovine serum albumin antiglobulin (BSA) vs Polyethylene glycol antiglobulin(PEG) vs RT saline technics on patient serum. The column agglutinination test was not detected anti-K but was revealed BSA and PEG tube methods. We observed that anti-K react less well in study that LISS solutions in this study.

      • KCI등재

        온난자가항체 동정 및 수혈 1 예

        이종숙 ( J S Lee ),박희정 ( H J Park ),구미숙 ( M S Ku ),홍인표 ( I P Hong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1991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23 No.1

        Autoantibody react on antigen existing on the surface of RBC, itself. Particularly, we considered warm autoantibody. The specificity of autoantibodies associated with warm autoimmune homolytic anemia is compl,~ x. so blood transfusion is very difficult. The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autoimmune hemolytic anemia that caused by Rh-related antibody. No autoantibody specificity was clear out. But we could prove that the patient``s serum have Rh -related specificity with a difference of intencity of serum reaction. Special test proved major antibody are an ti-E & c. Blood transfusion was unavailable. We were . helped that selected compatible blood with crossmatching of R1 Rt cell in stead of many crossmatching. So we have reported warm autoantibody identification methods and signifirance of transfusion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