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후’의 폭력에 맞서는 마이너리티의 기억과 투쟁 ─ 오키나와문학과 재일조선인문학을 중심으로 ─

        곽형덕 한국일본학회 2021 日本學報 Vol.- No.126

        본고는 ‘전후’의 폭력에 맞서는 마이너리티의 기억과 투쟁이 지니는 의미를 전후/ 해방 직후 오키나와문학과 재일조선인문학을 중심에 놓고 살펴봤다. 2장에서는 오타 료하쿠의 「흑다이아몬드」와 오시로 다쓰히로의 「2세」를 비교 검토 했다. 「흑다이아몬드」는 오키나와가 미군의 압도적인 힘 앞에서 신음하던 1949년에 일제 말 인도네시아의 독립운동을 호출해 오키나와가 처한 식민지적 상황을 고발한다. 이와 비교해 「2세」는 미군의 일원으로 오키나와전에 참전한 2세 병사 헨리 도마 세이치를 주인공으로 내세워서 ‘이중적 분열’의 파국을 그린다. 3장에서는 재일조선인문학 작가 김석범과 김시종의 삶과 문학을 해방 직후부터 1955년까지에 초점을 맞춰서 살펴봤다. 김석범의 「1949년 무렵의 일지에서」는 대작 『화산도』로 이어지는 김석범 문학의 출발점으로 남북분단의 내적 요인을 궁구한다. 한편 김시종의 『지평선』은 남북분단만이 아니라, 반전반핵과 미군의 오키나와 점령 을 형상화한 것은 냉전의 고착화에 맞서는 김시종이 보여준 불굴의 의지였다. 이처럼 오키나와문학과 재일조선인문학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됐음을 알 수 있지만, 전후의 평화담론과 냉전의 고착화에 투쟁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illuminate the meaning of collective memories and struggles of two minority literature: Okinawan literature and Zainichi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postwar/liberation period. Chapter 2 deals with the analysis of “Black Diamond” by Ota Ryohaku and “Second Generation” by Oshiro Tatsuhiro. The “Black Diamond” reminds of the Indonesian independence movement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Okinawan people groaned in front of the overwhelming power of the US military and accused the colonial situation of Okinawa. Chapter 3 focuses on the lives and literature of two zainichi writers, namely Kim Sokpom and Kim Sijong. Kim Sokpom's “From a Journal in 1949from a Verse From “The Mountain of Death”” was the starting point of Kim Sokpom's literature leading to his masterpiece “Volcanic Island.” As described above, the Okinawan literature and zainichi Korean literature in Japan developed in different ways during the postwar period; however, these minor literatures have a common point of fighting against deepening of the cold war system in East Asi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본 전후문학의 제3세계적 상상력― 원심력으로서의 세계와 문학 ―

        곽형덕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4

        이글은 일본 전후문학에 원심력으로 작용했던 제3세계문학 및 세계문학전집과의 관련 양상을 다음 두 가지 항목으로 나눠서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1950년대 이후 일본에서 활발히 전개됐던 아시아・아프리카 작가회의와 ‘제3세계 문학’의 관련을 살펴봤다. 제3세계문학이라는 원심력이 일본문학에 작용했을 때, 일본 문학자들은 그 어느 때보다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문학을 친근하게 받아 들였고, 문학을 통해서 사회를 변혁시키고자 했다. 하지만 그 원심력이 힘을 다하고 고도성장기가 시작되면서 50년대에 연대의 가능성을 지녔던 밖으로의 내셔널리즘은 다시 안으로 향하면서 내셔널리즘의 구심력으로 작용하기 시작했다. 둘째, 최근 이케자와 나쓰키(池澤夏樹)가 개인 편집한 『세계문학전집』을 검토해 전후 일본문학과 ‘세계문학’과의 관련을 고찰했다. 이케자와가 위와 같은 기준으로 선별한 세계문학전집은 리스트는 1980년대까지 일본에서 나왔던 전집과는 궤를 달리한다. 전후 일본에 나타났던 제3세계문학 수용 및 세계문학전집 구상은 문학의 세계 인식을 둘러싼 원심력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이 두 현상은 원심력을 강화해서 민족적 일체감이나 가부장적 권위, 혹은 배외주의 등에 균열을 일으켜서 일본을 일본 자체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아시아와 세계 속에서 중층적으로 사고하게 만드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lluminate Third World Literature and 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 which exerted influence as a centrifugal force in Japanese postwar literature. The literature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wo categories. First, I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the Afro-Asian Writers` Association and the Third World Literature. The effect of Third World Literature on Japanese literature was that Japanese literary writers accepted Asian and African literature more than ever, and tried to transform society through literature; however, after the beginning of the period of high growth, nationalism, which containe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since the 1950s, began to function as a centripetal force in Japanese society. Second, through investigating 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 which was published by Ikezawa Natsuki since 2007, I aim to clarify how Japanese literature has embraced world literature. Ikezawa's collection obviously differs from the previous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 in Japan. These two phenomena, which manifested in postwar Japan, show the centrifugal force surrounding the world recognition of post-war period Japanese literatur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아시아・아프리카 작가회의와 일본 - 제국주의와 내셔널리즘의 교차 지대 -

        곽형덕 한국일본학회 2017 日本學報 Vol.110 No.-

        본고는 1956년부터 열리기 시작한 아시아・아프리카 작가회의를 일본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살펴본 글이다. 아시아・아프리카 작가회의는 1990년대 초까지 계속되다 와해되는 만큼, 이를 전체적으로 개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본고에서는 우선 1961년에 열린 아시아・아프리카 작가회의 도쿄대회에 초점을 맞춰서 일본이 이른바 ‘제3세계’ 문학운동에 참여하게 된 경위와 그 의미를 알아봤다. 안보투쟁이 클라이맥스를 맞이하고 있던 1960년, 아시아・아프리카 작가회의 대표들은 안보 투쟁에 연대 한다는 의미에서 일본에서 회의를 열 것을 의결하게 된다. 다만 내셔널리즘과 제3세계의 연대가 강력히 대두되고 있었다 하더라도 과거(제국주의)의 그림자는 전후 일본의 등 뒤에 짙게 드리워져 있었다. 일본은 물론이고 아시아 아프리카 전역에는 내셔널리즘과 (신/구)제국주의가 교차되고 있는 상황에서 개최된 도쿄대회는 제국주의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제3세계와 연대하려 했던 일본 작가들의 소망이 담긴 모임이었다. 하지만 도쿄대회를 즈음해서 일본의 과거 행적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이와 관련된 논의가 심화되면서 일본은 편안하게 ‘제3세계적’ 위치에 안주할 수 없었다. 이는 문학의 정치성을 둘러싼 문학자의 책임 논쟁으로 번지면서, 단순히 과거에 대한 비판만이 아니라 ‘현재적’ 시점에서 일본(문학)을 다시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냈다. 이 글에서는 일본이 작가회의에 초기부터 참가한 것의 의미를 묻고 그것이 전후 일본문학에 미친 파장을 살펴봤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fro-Asian Writers’ Conference that came into existence in 1956. It is not straightforward to outline the conference as a whole, as it continued to be held into the early 1990s. In this article, I first investigate the meaning of Japan's participation in the so-called 'Third World' literary movement, focusing on The Emergency Meeting of the Permanent Bureau of Afro-Asian Writers, held in Tokyo in 1961. In 1960, when security issues were reaching a climax in Japan, representatives of the Afro-Asian Writers’ Conference decided to convene in that country in the spirit of solidarity. However, despite the climate of solidarity with the Third World, the spirit of Japan’s recent imperialistic ventures strongly overshadowed the event. The Tokyo meeting was thus at the crossroads of nationalism and both new and old imperialism, and it was therefore difficult for Japanese writers who recently emerged from Japan’s imperialistic wartime period to show solidarity with Third World writers. As criticism of Japan's past actions was raised during the Tokyo meeting, Japanese writers were not comfortable with the "Third World" position. This peculiar situation launched debate surrounding the politics of literature and creat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Japanese literature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ism of the past but also 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In this article, I not only analyze the significance of Japan's participation in the Afro-Asian Writers’ Conference from the very beginning, but also the aftermath of the conference in Japanese post-war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김사량의 일본문단 데뷔에서부터 '고메신테 시대'까지(1940~1942)

        곽형덕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race Kim Sa-ryang's footsteps from 1940 to 1942 in Imperial Japan. Kim Sa-ryang became active in Japan’s literary world after Hikarino nakani was nominated for the Akutagawa-prize in 1940. This piece attempts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the author’s most acclaimed and debut work, Hikarino nakani, and the effects of the Japanese media(Bungei syuto and Bungei syunjyu) and colonialism. There is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period around Kim Sa-ryang's debut, but very little detailed analysis. However, Kim Sa-ryang’s arrest by the Kamakura police when the Pacific War broke out in December, 1941 terminated his literary activity. Kim Sa-ryang was held in the Komeshinte in Kamakura from April, 1941 to January, 1942. It can be said that “The Age of Komesinte” is a turning point in Kim Sa-ryang’s literary works. This is shown in the shift in his works to the sadness of the “homesick series” from his severe criticism of colonialism.In this article I have examined the period from when Kim Sa-ryang debuted in Japan’s literary circles to when Kim Sa-ryang was arrested by the Kamakura police when the Pacific War broke out in December, 1941. However, this article is not treat the details about Kim Sa-ryang’s novels during this period. This will be covered in a future piece. In following articles, I will analyze Kim Sa-ryang’s Japanese novels based on biographical facts. 본고는 졸고 ‘김사량의 동경제국대학 시절(1936-1939)’에 이어 김사량의 전기적 사실을 보완 확충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본고의 목적은 김사량이 일본분단에서 데뷔한 이후 가마쿠라 경찰서에 체포되기까지의 행적을 정리하는 것에 있다. 김사량은 빛속으로가 1940년 상반기 아쿠타가와상 후보작이 되면서 본격적으로 일본문단에서 활약하기에 시작한다. 이 시기 이후 김사량은 식민지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담은 단편소설을 여러 편 발표하여 일본문단에서 신인작가로서의 지위를 확립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그러한 활약도 1941년 12월 8일 태평양전쟁이 발발한 다음 날 가마쿠라경찰서에 체포되면서 끝나게 된다.김사량은 1941년 4월부터 1942년 1월말까지 가마쿠라의 고메신테에서 머문다. 고메신테는 김사량 문학의 전환점인 동시에 작품관의 변화를 암시하는 매우 상징적인 장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시기를 ‘김사량의 고메신테 시대’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당시 자료를 살펴보면 김사량은 이 시기에 소설가로서만이 아니라 연극인, 영화인, 변역가로서 활동하려고 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연극에 대한 김사량의 관심은 사가고등학교 재학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며, 동경제국대학재학 시절에는 조선예술좌에 관여해서 모토후지경찰서에 체포된 경력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김사량의 저작을 보면 연극작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본고에서는 김사량의 작품론을 쓰기위한 사전 작업의 일환으로 김사량의 1940년부터 1942년까지의 행적을 정리하였다. 김사량의 작가론적인 부분의 보완은 김사량의 작품론을 심화 발전시켜 나가는 것은 물론이고, 당시 일본문단과 조선문단이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를 밝혀내는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보다 면밀한 자료찾기와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