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기적 특성 변화를 통한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의 곡률 안정성 평가

        곽지윤 ( Ji-youn Kwak ),정지영 ( Ji-young Jeong ),주정아 ( Jeong-a Ju ),권예필 ( Ye-pil Kwon ),김시훈 ( Si-hoon Kim ),최두선 ( Doo-sun Choi ),제태진 ( Tae-jin Je ),한준세 ( Jun Sae Han ),전은채 ( Eun-chae Jeon ) 한국공업화학회 2021 공업화학 Vol.32 No.3

        최근 무선통신 기기가 보편화됨에 따라 이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자기파 제어 물질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은 자성 물질이지만 제품에 적용 시 제품이 무겁고 두꺼워지는 특징 때문에 일반 전자기기에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볍고 두께가 얇은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가 제시되었다. 또한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는 단일 제품을 다양한 곡률에 적용할 수 있어 곡면 형상이 많은 전자기기에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를 곡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곡률 변화에 따른 전자기파 제어 특성의 안정성 평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선 면적이 일정할 때 도선 길이에 따른 저항 변화율이 전자기파 제어 특성과 역의 관계라는 점을 활용하여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통해 전자기파 제어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고분자 유연메타 전자소자의 곡률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곡률 반경이 감소할수록 도선 길이에 따른 저항 변화율이 증가하였고, 곡률 유지 시간에 의한 변화는 없었다. 또한 곡면 적용 시 도선에 영구적인 변화와 곡면 제거 시 회복 가능한 변화가 복합적으로 발생하였고, 이러한 변화의 원인이 곡면 적용 시 가해진 인장응력에 의해 생성된 도선 내 수직방향 크랙이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A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become more common, interests in how to control th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devices are increasing.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electromagnetic wave control materials is magnetic one, but due to the features that make the product heavy and thick when applied to the product, it is difficult to use them in curved electronic devices. Therefore, a polymer flexible meta electronic device has been presented to sort out the problem, which is thin and can have various curvatures. However, it requires an additional evaluation of curvature reliabilit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ethod to predict electromagnetic wave contro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resistance/length of the conductive ink line patterns of polymer flexible meta electronic devices, which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electromagnetic wave control characteristics. As the radius of curvature decreased, the resistance/length increased, and there was little variations with the duration times of curvature. We also found that both permanent and recoverable changes along with the removal of curvature were occurred when the curvature was applied, and that the cause of these changes was newly created vertical cracks in the conductive ink line pattern due to the tensile stress applied by applying curvature.

      • KCI등재

        상악 영구 중절치의 외상성 치근파절 : 증례보고

        최형준,곽지윤,이종갑,최병재,Choi, Hyung-Jun,Kwak, Ji-Youn,Lee, Jong-Gap,Choi, Byung-Jai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3

        청소년기에는 두개악안면부위의 외상성 손상이 흔하다. 그러나 상아질, 백악질, 치수를 포함하는 치아파절로 정의되는 치근파절은 비교적 드물다. 치근파절에 대하여 취 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는 파절편의 치관부위를 재위치시키고, $2{\sim}3$달간 레진강선 고정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치수괴사나 치근흡수의 징후가 나타날때까지 근관치료를 보류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증례에서 파절편의 치근부위는 그 생활력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본 증례의 10세 4개월된 남아는 상악영구중절치의 치근파절을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하였으며, 그후 7년동안 동일부위에 2번의 반복적인 외상이 있었으나 파절편 치관부의 재위치, 레진 강선 고정술, 근관치료 시행 후 임상적으로 방사선학적으로 비교적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Traumatic injuries in the young permanent dentition are common, but root fractures, defined as fractures involving dentin, cementum and pulp, are relatively uncommon. Appropriate management of root fracture involves repositioning the coronal portion of the tooth fragment and firm immobilization with a splint for 2 to 3 month. Root canal treatment should not be initiated until the sign of necrosis or resorption are apparent because in most cases, the apical fragments maintain their vitality. The following case report describes a patient with root fractures injured three times over the period of 7 years. The results,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were acceptable, but long term periodic evaluation is required.

      • KCI등재

        외부효과 최소화를 통한 스트레처블 소자의 신축성 평가법 최적화

        김동현(Dong-Hyeon Kim),곽지윤(Ji-Youn Kwak),전은채(Eun-chae Jeon) 한국기계가공학회 2022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21 No.11

        Stretchable devices have the advantage of high portability with a larger area when they are used. Stretchability is an important evaluation parameter of stretchable devices. The standard test method for evaluating it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and the uniaxial test is generally applied owing to its similar deformation modes. However, the methods to avoid errors caused by external effects on the uniaxial tensile test should be modified in the stretchability test owing to different tensile directions and materials. We suggest optimization methods for the stretchability tests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this study. Polydimethylsiloxane (PDMS), which is widely used as a stretchable substrate, was used for the specimen, and the specimen shape was adapted according to ASTM E8/E8M. Because the polymer specimen had a low strength, a single-cut method was used to minimize the surface notch. Pre-stretching was performed to prevent axial distortion when fixing the specimen to the grip. When applying these optimization methods to stretching tests, the possibility of preventing errors caused by external effects was experimentally confirmed. The notch minimization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the fracture of the specimen, and the axial alignment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Poisson’s ratio.

      • KCI등재

        재식된 상악 중절치의 장기간에 걸친 추적례 : A 8-YEAR FOLLOW UP

        이동우,곽지윤,김성오,이제호,최병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4

        완전 탈구된 치아의 치료 목적은 치주인대 세포의 손상과 치수 조직의 감염에 의한 염증 반응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이다. 치주인대 세포의 생활력은 완전 탈구된 치아의 예후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데 치주인대 세포가 생활력을 유지하는 경우 재식시 재부착을 하게 되어 최소한의 염증반응 후 신생 백악질로 회복되지만, 생활력을 상실하게 되면 심한 염증반응을 야기하게 되어 광범위한 치근 흡수와 유착이 나타나게 된다. 치근이 유착되면 특히 성장하는 어린이일 경우 치조돌기의 성장을 방해하여 저위교합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광범위한 치근 흡수나 유착으로 인한 치아의 조기 상실은 치조골의 흡수와 인접치의 지속적인 이동을 야기하여 기능적, 심미적인 문제를 발생케 한다. 본 증례는 상악 우측 중절치의 완전 탈구 후 재식한 후 항생제 투여 및 장기간의 수산화 칼슘 적용을 통해 9년에 걸쳐 기능적, 심미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Tooth avulsion usually causes inflammatory root resorption and ankylosis, and ankylosis cause severe functional and esthetic problems, especially in childhood. A 7-year-old female visited the Dept. of Pediatric Dentistry, Yonsei University with the chief complaint of avulsive trauma to the upper right incisor which was left dry for 40 minutes. Tooth was irrigated with saline and replanted immediately and splinted. Anti bacterial agent and anti inflammatory agent were prescribed. After 4 months of replantation slight external root resorption and apical radiolucency was seen at radiographic examination, therfore pulp extirpation and calcium hydroxide(Vitapex^(TM)) canal filling were carried out. After 16 months, root canal was filled with gutta-percha, and bleaching treatment was done. Treatment results were satisfactory both 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for 8 years and 5 months.

      • KCI등재

        어린이의 치과치료시 약물에 의한 진정요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

        안소연,최병재,곽지윤,강정완,이제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3

        진정요법은 소아치과에서 사용하는 보상, 속박, 체계적 탈감작법(말-시범-시행), 친밀감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는 환자의 반응이 개선되지 않아 일반적인 치과치료가 불가능할 때 사용하는 행동조절법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진정요법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그 기준이나 방법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미국소아치과학회의 진정요법에 관한 기준이 있기는 하지만 국내의 상황이 미국과 다르므로 한국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소아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국내 소아치과에서의 진정요법 현황에 대한 실태를 조사, 그 결과를 정리하여 향후 소아치과 임상에서의 진정요법에 대한 임상 기준을 정하는데 기여하고자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대한소아치과학회 회원 573명을 대상으로 진정요법 사용 실태에 관한 설문지를 발송하여 이 중 회신을 한 220명의 설문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응답자의 약 66%가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진정요법에 관한 이전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국내 소아치과에서 진정요법의 사용빈도가 증가하였다. 2. 진정요법으로 치료를 결정 하게 된 요인은 행동조절, 치료내용과 양, 보호자의 요구, 내원횟수, 전신질환의 순서이었다. 3. 진정요법으로 치료받는 환자의 연령은 만 3세가 가장 많았고, 만 4-5세, 만 2세 미만, 만 6-10세, 만 10세 이상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4. 진정요법 시 chloral hydrate는 60-70mg/kg, hydroxyzine은 10-40mg/kg(25mg/kg)을 사용하고 있었고, 경구 투여가 가장 선호하는 약물투여 경로였다. 5. 진정요법 시 사용하는 환자감시 방법은 피부나 손톱색 둥의 관찰을 포함한 환자 평가와 맥박 산소측정기(pulse oximeter)를 통한 환자감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약 56%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Sometimes the dentists encounter a child who can not be treated with traditional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s (for example, reward, restraint, Tell-Show-Do, familialization). In such a case, the dentists use sedation technique. Recently, in Korea, the use of sedation by pediatric dentists is increased. But, the guideline and survey of sedation is very insufficient. Now, we need a survey of sedation practice in Korea. We carried out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bout sedation with a questionaire to pediatric dentists in Korea.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1. Sixty six percent of pediatric dentists use sedative agents in their practice. In this study, using sedation shows an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past. 2. Determinative factors of using sedation were orderly behavior management, number of visiting, guidian's opinion, amount of treatment, general condition. 3. Distribution of ages in patients sedated with agents was orderly 3 years, 4-5 years, under 2 years, 6-10 years, more than 10 years. 4. Particular sedative drugs were chloral hydrate 60-70mg/kg, hydroxyzine 10-40mg/kg(25mg/kg), and oral route was the most favorable route. 5. Observation of skin and nail color, pulse oximeter were the most frequently utillized monitoring method during sedation. 6. Only fifty six percent of pediatric dentists complete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urse.

      • KCI등재

        상악 영구 중철지의 외상성 치근파절 : 증례보고 A CASE REPORT

        최형준,곽지윤,이종갑,최병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3

        청소년기에는 두개악안면부위의 외상성 손상이 흔하다. 그러나 상아질, 백아질, 치수를 포함하는 치아파절로 정의되는 치근파절은 비교적 드물다. 치근파절에 대하여 취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는 파절편의 치관부위를 재위치시키고, 2∼3달간 레진강선 고정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치수과사나 치근흡수의 징후가 나타날때까지 근관치료를 보류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증례에서 파절편의 치근부위는 그 생활력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본 증례의 10세 4개월된 남아는 상악영구중절치의 치근파절을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하엿으며, 그후 7년동안 동일부위에 2번의 반복적인 외상이 있었으나 파절편 치관부의 재위치, 레진 강선 고정술, 근관치료 시행 후 임상적으로 방사선학적으로 비교적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Traumatic injuries in the young permanent dentition are common, but root fractures, defined as fractures in volving dentin, cementum and pulp, are relatively uncommon. Appropriate management of root fracture involves repositioning the coronal portion of the tooth fragment and firm immobilization with a splint for 2 to 3 month. Root canal treatment should not be initiated until the sign of necrosis or resorption are apparent because in most cases, the apical fragments maintain their vitality. The following case report describes a patient with root fractures injured three times over the period of 7 years. The results,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were acceptable, but term periodic evaluation is required.

      • KCI등재

        상악 구개측 중앙부에 매복된 과잉치

        민성진,최형준,,김성오,이제호,곽지윤,최병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4

        과잉치는 치배 형성기에 정상 치판의 과도한 증식의 결과로 발생하며 산발적일 수도 있고 유전적일 수도 있다. 발생 빈도는 1~3%이며,2:1의 비율로 남아에게 호발한다. 주로 상악 전방부에서 많이 발견되며, 매복, 영구치의 위치 이상, 정중부 이개, 낭종, 비강으로의 맹출 등과 같은 다양한 합병증을 나타낼 수도 있다. 상악 전방부에서 발견되어지는 과잉치는 치축방향에 따라 위치가 결정되며 상악 전방부 과잉치의 1/3 정도는 역위 매복되어 맹출의 가능성이 없지만, 치낭의 치관 부위가 정상적인 관계로 존재하는 한 과잉치의 이동이 일어날 수 있다. 치아의 이동은 경구개, 소구치 부위, 비강까지도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전상악 수직고경의 성장으로 시간이 지남에 라 외과적 접근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본 두 증례에서는 역위 매복된 상악 전방부의 과잉치가 구개 측 중앙부까지 이동된 것을 발견하여 외과적으로 제거하였다. Supernumerary tooth develops as a result of abnormal proliferation of the dental lamina during the initiation stage of dental development. It could be a sporadic occurrence or a hereditary transmission. Supernumerary tooth occurs with a frequency of 1 to 3%, Generally, there is a 2:1 preference for boys. It is usually found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xilla and may be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such as impaction, malposition of permanent teeth, formation of diastema, cysts and eruption into nasal cavity. The position of supernumerary tooth found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xilla is determined by the axis of the tooth. One third of supernumerary tooth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xilla has no possibility of eruption due to its invertedly impacted position. However, as long as the coronal part of the follicle remain intact, migration of supernumerary tooth is possible. The migration may occur into the palate, the premolar region, the sinus or the nasal cavity. Also, growth of vertical dimension of maxilla could make surgical approach difficult as time goes by. For this reason, we have found invertedly impacted mesiodens moved to the vault of the palate in the two cases, and extracted supernumerary tooth surg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