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월간야담』의 종간호 발굴과 발행인 박희도의 존재

        공임순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rrect the misconceptions of academia about the final issue of Wolgan-Yadam and to inform and explain the existence of the missing final issue. Even in the recent discussions as well as the early studies, it is still in common use as a magazine that was launched in October 1934 and was closed to No. 55 in October 1939. I reconstitute the incomplete bibliography list of Wolgan-Yadam by combining two newly acquired Younginbon and November/December 1939 issue(No. 56), which have been erased due to the old practice and myths of academia. In particular, when the final issue is added to the newly acquired February 1935 (No. 5) and January 1937(No. 26), the overall missing issues of Wolgan-Yadam are reduced to two. In chapter 2, I try to supplement the bibliography list that was not properly reviewed despite the progress of the study on Wolgan-Yadam and make it the basis of future research. In chapter 3, the meaning of the restoration of the missing final issue is dealt with in connection with changes in the publisher system. Starting in January 1939(No. 47), the publisher of Wolgan-Yadam changed from Yoon Baek-nam to Park Hee-do. It is true that the Wolgan-Yadam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since 1939 because of pro-Japanese colors. However, the closing of Wolgan-Yadam cannot be elucidated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Dongyang-Jigwang, which was founded by the owner and publisher Park Hee-do. The transformation of Wolgan-Yadam was also a product of media environment in wartime, where the Wolgan-Yadam was introduced as ‘Sister magazine of the Dongyang-Jigwang’. I argue that the situation that Wolgan-Yadam was ended not October 1939(No. 55) but November/December 1939(No. 56) was related to the Dongyang-Jigwang, while the closing of Wolgan-Yadam at the end of 1939 was also in line with the decline of the so-called ‘Yadame’s Palmy days’ in the 1930s. 이 글의 목적은 하나로 모아진다. 『월간야담』 종간호에 대한 학계의 잘못된 통념을 바로잡고, 누락된 종간호의 존재를 알리고 해명하는 것이다. 초창기 연구는 물론이고 현재까지도 『월간야담』은 1934년 10월에 창간되어 1939년 10월 통권 55호로 종간된 잡지로 여전히 통용되고 있다. 필자는 학계의 오랜 관행과 통념으로 인해 지워졌던 1939년 11·12월(통권 56)호를 복원하고, 여기에 영인본에서 빠진 결호(缺號) 두 편을 새로 입수하여 『월간야담』의 불완전한 서지 목록을 재구성해 보았다. 새로 입수한 1935년 2월(통권 5)호와 1937년 1월(통권 26)호에 종간호를 더하게 되면, 『월간야담』의 전체 결호는 두 편으로 줄어든다. 필자는 2장에서 『월간야담』 연구의 진척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검토되지 않았던 서지 목록을 보완하여 향후 논의의 토대로 삼고자 했다. 발행 일자와 통권 호수를 일일이 교차 대조한 결과물이기도 하다. 3장에서는 누락된 종간호의 발굴이 갖는 의미를 발행인 체제의 변화와 결부시켜 다루었다. 1939년 1월(통권 47)호를 기점으로『월간야담』은 발행인이 윤백남에서 박희도로 바뀌게 된다. 발행인 박희도의 친일 색채로 인해 1939년 이후 『월간야담』은 상대적으로 경시되어왔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월간야담』의 종간은 사주이자 발행인인 박희도를 고려하지 않고는 해명될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가 주관한 『동양지광(東洋之光)』의 창간과 휴간은 1938년 12월호를 건너뛰고 1939년 1월(통권 47)호로 재출발하여 끝내 1939년 11·12월(통권 56)호로 종간된 『월간야담』의 운명과 연동하기 때문이다. 이는 『월간야담』이 ‘『동양지광』의 자매지(東洋之光の姉妹紙)’로 선전되었던 전시의 미디어 재편과도 무관할 수 없는 것이었다. 필자는 2년여의 휴간 끝에 속간한 『동양지광』과 달리 자매지 『월간야담』이 회생할 수 없었던 사정을 건전 오락의 이율배반으로 되짚는 한편, 『월간야담』의 종간과 함께 소위 1930년대 ‘야담 전성시대’도 저물어갔음을 4장의 결론으로 갈음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체험의 비극과 의지의 낙관, 그 사이의 인간군상: 정한숙 소설을 중심으로

        공임순 민족문학사연구소 2022 민족문학사연구 Vol.79 No.-

        This paper aims at the “a study of Jeong Han-sook”, which has not produced meaningful research results since the 2000s. Jeong Han-suk is positioned as a “postwar new generation writers” and showed vigorous artistic activities along with Son Chang-seop, Seon Woo-hwi, and Jang Yong-hak. Even if it is limited to novels, his work counts over 160 pieces. However, compared to other writers, existing research on Jeong Han-sook is in a state of stagna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this paper reviewed the problem of a chronological list of the author’s works in Chapter 1. In particular, while pointing out that the whereabouts of the early works published during the Korean War are still unclear, this paper took issue with the overlap of some works and the exclusion of others from the publication of selected writings. In Chapter 2,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shape of the “a third-class person” revealed in his work, noting that the title of “postwar new generation writers” has no conceptual framework to visualize it. Chapter 2 shows that “a third-class person” was also a pathological image of human beings created by the unique sense of the generation that experienced the historical upheavals of colonization,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in conjunction with Son Chang-seop’s “surplus humans”. In Chapter 3, this paper pointed out that “Geumdang Mural painting,” “Baekja Potter Choi Sul,” and “Geumeo,” which are often referred to as artist novels, function as aesthetic versions of the positive human image pursued by Jeong Han-sook. Contrary to the general tendency to discuss Jeong Han-sook’s fictions, this paper critically recounts that the positive Moral human figure in the shape of a traditional artist governs the so-called artist novel, leaving open the possibility of rereading his work in terms of continuity rather than disconnection. In Chapter 4, the last chapter, this paper concludes by reminding us that a broader interest and discussion on the literary achievement and meaning of historical novels that make up his major work world is needed.

      • KCI등재

        최정희의 해방 전/후와 ‘부역’의 젠더 정치

        공임순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여성문학연구 Vol.46 No.-

        Since debuting with “A Legitimate Spy(정당한 스파이),” published in Samcheolli(삼천리) in 1931, Choe Jeong-hui continued to lead her 50-year career until “Hwatu Story(화투기)” in 1980. Compared to Kang Gyeong-ae and Ji Ha-ryeon, the second wave of female writers who were forced to terminate their literary activities due to certain circumstances and trend of the times, Choe Jeong-hui’s career survived through Korea’s tumultuous history, rangi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Liberation, the Korean War, the April Revolution, the May 16 coup, and the Vietnam War, the first military dispatch by the Korean army. Her relentless pursuit of career, quite rare for a female writer, was characterized by extremely bipolar critique toward her body of work, as either the “most feminine among female writers” or being the “most unfeminine.” This paper seeks to focus on Choe Jeong-hui’s literary world pre and post-liberation Korea, in consideration of her transfigurations and deviations. During this turbulent era of wartime mobilizat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t power, Liberation, and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collaboration” with the Japanese emerged as a major issue of the day. While no writer who was active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free from such accusation, the aspects of their stigmatization, and the subsequent excuse, repentance, and reflection were unique to each of them.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issue of collaboration as the element that penetrates pre and post-Liberation period, linking it to the early fellow traveler tendencies and the transition to “femininity,” represented by the “Maek Trilogy(맥 삼부작).” The two wars in pre and post-Liberation Korea effectively launched the motherhood discourse, which provided the source of cooperation and alignment. Choe responded to the nationalization and demands of the motherhood discourse by femininity, playing a part in nationalized motherhood. Parts 2 and 3 of this article will delineate how the transition of Choe’s femininity cannot be discussed separately from the wartime motherhood discours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osits “maternal alliance” as the point of analysis. Alliance is a concept often applied to the nature of relations between states, which forms a temporary and fluid space of strategic partnership and cooperation involving mutual interests. Despite the unequal and asymmetric power relations, maternal alliance comprised a part of the wartime mobilization regime as “the weapon of the weak” that negotiated comparative advantage. The accusation of collaboration signified interrogation and punishment of her involvement in the wartime mobilization. While this post factum accusation was waged around the motherhood discourse, regarded as the natural manifestation of femininity, the gender dynamics of femininity itself remains unresolved. This paper attempts to critically examine the dilemma and the paradox of femininity and motherhood, which may have functioned as the latent “ancient future.” 최정희는 1931년 『삼천리』에 「정당한 스파이」로 등단한 이래 1980년 「화투기」까지 거의 50년에 걸쳐 작품 활동을 해왔다. 제2기 여성작가군을 형성했던 강경애, 지하련 등의 여성 작가들이 어떤 식으로든 시대적 상황과 흐름에 밀려 문학 활동을 접어야 했던 것과 비교하면, 그녀는 식민지, 해방, 한국전쟁, 4·19, 5·16, 나아가 한국군 최초의 파병이었던 베트남전쟁까지 굴곡진 역사를 함께 넘어온 인물이었다. 여성 작가로서는 상당히 드문 이러한 지치지 않은 작품 활동은 가장 ‘여류다운 여류’에서 남성을 떠올리게 하는 ‘여성답지 않은’ 작가의 대명사로 양 극단의 평가를 점하게 했다. 이 글은 최정희의 작품 세계가 지닌 변모와 굴절을 감안하면서, 해방 전/후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 시기는 일제의 전시 동원과 해방 및 한국전쟁의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첨예한 시대적 화두로 ‘부역’이 문제시되었던 때이다. 부역은 이 시기 작품 활동을 했던 작가들이라면 누구도 피해갈 수 없었던 문제였지만, 부역의 오명과 이에 따른 변명과 참회 및 반성의 양태는 각기 달랐다. 이 글은 최정희의 해방 전/후를 관통하는 요소로 부역의 문제를 초창기 동반자적 경향에서 ‘맥 삼부작’으로 대변되는 ‘여류다움’의 방향 전환과 결부시켜 논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해방 전/후 두 차례의 전시(戰時) 국면은 협력과 동조의 자원이 된 모성 담론을 그야말로 활성화시켰다. 최정희는 모성 담론의 국가적 전환과 요구를 여류다움으로 대응하며, 국가모성의 일익을 담당했다. 이 글은 최정희의 여류다움으로의 방향 전환이 전시 국면의 모성 담론과 별개로 논해질 수 없음을 2장과 3장에서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모성 동맹’을 분석의 입각점으로 삼는다. 동맹은 흔히 국가와 국가 간의 관계 설정을 의미하는 친소(親疎)의 집단 개념이지만, 상호간 이해가 교차하는 전략적 제휴와 협력의 일시적이고 유동적인 장을 형성한다. 비록 한쪽의 일방적인 힘의 경사가 있다 해도, 유·불리를 따지는 약자의 무기(weapons of the weak)로써 ‘모성 동맹’은 전시 동원 체제의 일부를 이루었다는 것이 이 글의 기본 논점이다. 친일 부역 혐의는 모성 동맹의 전시 동원과 연루된 사후적인 심문과 단죄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적에게 협력했다는 사후적인 부역 혐의가 여류다움의 자연스런 발로로 간주된 모성 담론을 선회하고 있다면, 여류다움의 젠더 역학은 아직 해소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이 글은 어쩌면 ‘오래된 미래’로 잠복해 있을지도 모르는 여류다움과 모성성의 딜레마와 역설을 숙고하는 비판적 성찰의 한걸음을 내딛고자 했다.

      • KCI등재

        ‘청산리전투’를 둘러싼 기억과 망각술 - ‘청산리전투’에 대한 이범석의 자기서사와 항(반)일=반공의 회로 -

        공임순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 Vol.0 No.76

        This paper is about a particular memory and oblivion surrounding ‘the Battle of Cheongsan-ri’. As a part of this, this paper focuses on Lee Beom-seok’s rewriting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Although ‘the Battle of Cheongsan-ri’ is recognized as an unprecedented victory for the Japanese Imperial Army at least in the Korean History, the place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was an uncertain zone of Asia where the Soviet Union immediately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and the semi-colonies of China and Colonial Chosun bordered each other. In a place where so-called national sovereignty could not be fully exercised due to the unstable conditions of the First World War, an imaginative geography, indicating expectations and frustrations for the “north” of individual actors, was reconstructed. In particular,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at Lee Beom-seok, who narrated ‘the Battle of Cheongsan-ri’ after liberation, had chosen to include in his narration and what had been excluded from it. In other words, what is important to this paper is the choice and exclusion in Lee Beom-seok’s rewriting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that follows from the 『Anger of Korea (한국의 분노)』, this paper shows that Lee Beom-seok’s rewriting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was linked to anti-communism through anti-Japan based on the Korean nationalism. This paper reexamines that ‘the Battle of Cheongsan-ri’ contained the possibility and frustration of the post-colonialization and liberation of the individual actors who came to the uncertain zone of Asia and the need to reflect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it in the present context. 이 글은 ‘청산리전투’를 둘러싼 어떤 특정한 기억과 망각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이범석의 ‘청산리전투’에 관한 다시쓰기에 주목했다. ‘청산리전투’는 적어도 한국의 국가사에서 식민 종주국인 일본군을 대상으로 한 전례 없는대승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이 ‘청산리전투’가 벌어진 현장은 갓 러시아혁명을 치룬 소비에트연방과 (半)식민지의 중국 및 식민지 조선이 맞대고 있던 접경지대였다. 제 1차 세계대전의 불안정한 정세와 맞물려 이른바 국가주권의 전일한 행사가불가능했던 이곳에서, 개별 행위자들의 ‘북방’을 향한 꿈과 이상 및 기대와 좌절의심상지리가 창출되고 재구성되어졌다. 이 글은 특히 해방 이후 ‘청산리전투’를 자기화한 이범석을 중심으로 그가 무엇을 선택하고 무엇을 상대적으로 누락/삭제했는지를 살피고자 했다. 그의 이 특정한 기억과 망각술은 ‘청산리전투’가 일본의 시베리아전쟁이 열어놓은 간도 출병의 연쇄 효과이자 중국과 조선의 반일(연대)투쟁의 결과물일 수 있다는 (동)아시아적 시선과 지평을 일국적으로 가두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했다. 이 글은 『한국의 분노: 청산리 혈전 실기』- 『혈전: 청산리 혈전 실기』- 「청산리의 항전」- 『우둥불』의 「청산리의 혈전」으로 이어지는 ‘청산리전투’에 관한 이범석의 다시쓰기가 조국애의 항(반)일을 거쳐 반공과 결부되는 양상을 다루었다. 더불어 이 과정에서 소련 행을 택한 홍범도의 또 다른 루트가 ‘청산리전투’ 를 통어하고 있음도 밝히고자 했다. 이 글은 ‘청산리전투’가 (동)아시아의 불확정적인 지대를 오간 개별 행위자들의 탈(脫)식민과 해방의 가능성과 좌절을 담지하고 있었음을 재론하는 한편, 그것이 지닌 역사적 의미를 현재적 맥락에서반추하고 성찰해야 할 필요성을 4장의 결론 삼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기의 서벌턴화와 코스모폴리탄이라는 이념형 -‘전향’과 김남천의 소설

        공임순 상허학회 2005 상허학보 Vol.14 No.-

        이 논문은 전향 사회주의자들의 전향에 대한 논리의 일단을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둔다. 전향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전향은 전향한 당사자만의 문제도 이미 지나간 과거의 문제만도 아니다. 오히려 전향과 관련해서 전향은 사회. 역사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를 달리해온 것이 사실이다. 이처럼 전향이 사회. 역사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져온 것이 사실이라면, 이 논문에서 사용하는 전향은 보편적인 의미가 아닌 그야말로 특정한 시각과 해석을 전제로 한 ‘전향’임을 먼저 밝힌다. 흔히 '전향'에 함축된 (지배하는) 권력과 (저항하는) 개인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는 일-국가적인 해석의 산물일 경우가 많다. 1937년 중일전쟁부터 급속하게 진행된 세계 질서의 강제적인 재편 속에서 식민지 조선 역시 아시아와 세계를 시야에 넣는 제국 주체로의 탄생을 피할 수 없었다. 이 상황의 변동을 어느 누구보다 민감하게 알아차린 사람이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들이었다. 이들은 '전향'이라는 주어진 현실에 복종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변화된 지형 속에서 스스로의 지위를 확보하고자 주어진 현실을 최대한도로 활용한 능동적 행위자였으며, 이런 그들의 능동성은 자발적인 신민이기를 요구하는 제국의 정책과 긴밀하게 조응하고 있었다. 경제적인 이익 못지않게 '전향' 사회주의자들에게 '전향'’은 코스모폴리탄이라는 이념형을 실현하는 일 계기로 다가온다.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전향'사회주의자들의 지속적인 담론 개입과 공격적인 의제 생산일 것이다. 현영섭은 내선일체를 통해 코스모폴리탄을 꿈꾼다. 내선일체에 적극적으로 복무함으로써 세계사적 이상을 실현한다는 현영섭의 견해가 극단적인 경우라면, 인정식은 과거의 업적이 오류에 찬 것이며 걸어온 노선이 잘못됐다는 말과 함께 새로운 진리와 신념을 향해 나아가는 이상인(理想人)을 요청하고 있다. 이런 시대적 압력은 문학 내에서 유사하지만 다른 발화의 징후를 드러낸다. 김남천의 소설이 그 한 예가 된다. 김남천은 건설 기술자와 실업가, 전향한 사회주의자와 문학가를 소설의 중심인물로 삼아 서사를 주조해나간다. 김남천의 소설들은 코스모폴리탄으로서의 자격을 갖춘 자와 그렇지 않은 자를 예리하게 변별하고 있다. 구질서의 표상인 '전향'사회주의자는 신질서의 전형인 건설 기술자로 대체된다. 이 둘은 전혀 별개의 세계에 존재하는 다른 존재들인 것이다. 한 쪽의 죽음을 댓가로 다른 한 쪽의 삶을 온존하는 기형적인 모습을 김남천의 소설들은 보여준다. 또한 구질서의 한 표상인 남성 - 문학가가 등장하는 김남천의 소설 '낭비'는 구질서의 모든 퇴폐와 타락을 도시의 신여성들에게로 되돌리고 있다. 이 타락한 자들과 동일한 공간에 존재한다는 불만과 공격성은 도시의 신여성을 한편으로 받아들이면서 한편으로 거부하는 주된 이유가 된다. 그가 구질서의 표상으로 사회에서 완전히 배제/탈락되지 않을 수 있었던 이유는 이처럼 여성적인 자질의 부정성을 전유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처럼 김남천의 소설에서 ‘전향’은 과거와 현재와의 치열한 대결이 아니라 신질서의 제국 주체로 혹은 사회적 약자의 형상을 빌어 스스로를 변명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김남천의 많은 소설이 ‘전향’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흥미로운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This thesis focuses on research for clues of the logic of the Socialist writer's conversion. Today many investigators are working in the theme of conversion, and a number of results are produced. We have not to limit the matter of conversion to the person concerned or regard the matter as the past remains. Though the matter of conversion is always concerning the context of history. Thereby this matter which is used in this thesis is not the general notion, but the specified notion. Of course that supposes specific viewpoint and the way of interpretation. In general, the matter of conversion have been implied the dichotomy between the power that dominate over the individual and the individual who stands against the power. Maybe this is the result of the interpretation through the idea of one-country. A colony Chosun(식민지 조선) had a fate to become empire-subject who has the sight range from the Asia to the world since the reorgnization of world order ; specially after the war between China and Japan, 1937. The intelligentsia in Chosun early and sensitively had became aware of the situation and change.They did not only obey the given conditions, but also actively make possible effort to use the given conditions. They were active actor and wanted to the a subject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empire. The conversed socialist writer had the chance to make money and more to actualize the idea of cosmopolitan through the very conversion. This appeared the activity that conversed socialist writer produced continual intervention in social discourse and assaultive topic for discussion. Hyeon Yeong Seob(현영섭) was dreaming of becoming a cosmopolitan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Chosun and Japan(Naeseon Ilchae). His dream, hoping the actualize idea of the history of world, is an extreme case, on the other case is founded In Jeong Shik. He criticized false remains and called for the notion of an ideal man who works away pursuing the new truth and belief. These enforcement of that time showed the similar at the same time and different symptom of speech. As it were Kim Nam Cheon'(김남천)s novels. Kim Nam Cheon(김남천) composed the novels focussing on the main character like as an architect and engineer, an businessman, and a conversed writer. His novels show the sharp difference between ideal cosmoplitan and not. Also the conversed socialist writer who standed the old and past order replaced with the ideal architect and engineer who standed the new order. His works has the deformed feature to build one part with killing other part. And in his novel 'Waste(낭비)', the hero, standing the old order, is corrupted by another fact. Writer takes hero's blame upon other women who are modern female in the city. Hero's corruption resulted from coexistence with that women, so in the novel there are lots of critic and attack for them. But those modern women is a dispensable fact, because their existence could explains the hero's corruption and hero, representation as the writer's own or male at that times, has a place of refuge. His novels common showed the fact that conversion is not result of competition with the real conditions of that world, but result of the vindication with the figuration an imperial subject in the new ordered world or a loser.It is interesting that his works are direct dealing with the theme of conversion, but indirect dealing with above that way of expression.

      • KCI등재

        전시체제기 징병취지 ‘야담만담부대’의 활동상과 프로파간다화의 역학 : ‘황군’ 연성과 ‘황민’ 연성 사이, ‘말하는 교화미디어’로서의 야담·만담가들

        공임순 한국근대문학회 201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3 No.2

        이 글은 식민지 말기 징병취지 ‘야담만담부대’의 결성과 활동상을 제국(주의)적 국민화의 의사 보편적인 생명정치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총력전의 무제한적인 전쟁 수행에 따르는 전력의 배타적 소모와 투입에 부딪혀 지금까지 방치되거나 주변화되어 있던 식민지인들을 일본 인구의 일부분으로 삼아 포섭하고 관리·통제하는 이 새로운 통치화의 면모를 필자는 황민화로 대변되는 ‘국민화’와 ‘생명정치’의 함의를 모두 담아 다소 불편한 어감에도 불구하고, 제국(주의)적 국민화의 의사 보편적인 생명정치라고 명명해 본 것이다. 하지만 식민통치권력의 이러한 새로운 통치화의 면모는 식민지인을 내부의 유용한 ‘생명’ 자원으로 관리·통제하기 위한 당면한 현실적 필요를 반영·굴절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식민지인들의 내부적 ‘생명’화란 필연적으로 ‘황군’ 연성의 죽음정치를 예비하게 된다. 이 ‘황군’ 연성의 죽음정치를 매개하고 대행했던 것이 교화와 계몽의 주축을 담당했던 식민지문(화)인이었다. 이 일련의 연쇄적인 흐름 속에서 1943년 10월 20일을 첫 스타트로 하여 반년 간 전선을 누빈 징병취지 ‘야담만담부대’의 결성이 갖는 사회정치적 의미망이 자리하고 있다. 신정언을 중심으로 한 이 징병취지‘야담만담부대’는 반년 간에 걸친 전선의 순회공연뿐만 아니라 『매일신보』 지상에 「징병취지야담만담각행」을 1943년 1월 11일부터 6월 18일까지 총 109회에 걸쳐 신정언이 연재하는 이른바 신문지면을 통한 ‘재’교화와 계몽을 펼치게 된다. 이런 점에서 징병취지 ‘야담만담부대’가 갖는 의미는 제국(주의)적 국민화의 의사 보편적인 생명정치가 ‘황군’ 연성의 죽음정치로 파탄나는 역설과 이율배반을 매개하는 연기하는 미디어적 신체로서 야담·만담의 존재방식을 새삼 제고하게 한다. 그것은 야담과 만담이 불변하는 전통 장르로서가 아니라 역사적 상황과 실천 속에서 항상 새롭게 만들어지는 뉴미디어라는 점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lonial period-end formation and activities of the conscription-encouraging Yadammandam Unit from the viewpoint of the imperialist universal life-politics of brainwashing the colonial people. The term of imperialist universal life-politics of brainwashing the colonial people, although somewhat uncomfortable, is used herein to mean the colonization strategy by which the imperialist Japanese, confronting the exclusive exhaustion and injection of combat power following its concerted, unlimited war campaigns, tried to turn colonists - that had thus far been neglected or decentralized - a part of Japanese population, brainwash them to that end, control and manage them. However, such Japanese colonial ruling attempted to control and manage the colonial people as its useful resources, leading the attempt of turning colonists into the Japanese internal life resources to essentially signal the death politics of Imperialist Army Unity. It was the colonial cultural (literary) people that played a pivotal role in teaching and enlightenment to mediate in and represent the death politics of Imperialist Army Unity. Amid this chain of trends, on October 20, 1943, the conscription-encouraging Yadammandam Unit, which had engaged in war frontlines for a half year, was formed, presenting a significant political and social implication. The conscription-encouraging Yadammandam Unit, led by Sin Jeong-eon, made a half-year performing tour of war frontlines, and Sin Jeon-eon ran a total of 109 seriries of articles about conscriptionencouraging historical and comic issues on the Maeilsinbo Newspaper, from January 11 to June 18, 1943, as part of the so called re-teaching and re-enlightenment campaigns. In this respect, the Conscriptionencouraging Yadammandam Unit mediated in leading the imperialist universal life-politics of brainwashing the colonial people to the death politics of Imperialist Army Unity. So, this paradox and antinomy of the existence of historical and comic talks should be reexamined. This would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fact that historical story telling and comic talks are not an unchangeable traditional genre but a new medium that can be always made anew amid historical and practical situations.

      • KCI등재

        한일협정의 국면과 매판의 문제틀: 『청맥』의 대응을 중심으로

        공임순 동악어문학회 2024 동악어문학 Vol.93 No.-

        1968년 ‘통혁당 사건’으로 불거진 『청맥』의 반미․친북․반정부 잡지라는 낙인은 지금도 엄존한다. 그리고 마치 『청맥』에 대한 탄압이 그전에는 없었던 양 여겨지기도 한다. 1972년 남북공동선언의 해빙 분위기 직후 전격 처형된 김질락의 옥중 수기는 공안당국의 목소리를 복기하며 이러한 인식에 힘을 보태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 글의 1장은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공안당국이 주시한 다섯 편의 권두언이 다뤄진 이유도 이것이다. 한일회담의 국면에서 터져 나온 거리의 언어와 구호를 지면에 싣고자 했던 『청맥』과 체제 간 불화는, 2장의 ‘완전 자주와 자립’을 기치로 분절된 4․19 청년세대와 5․16 군부 세력의 대립으로 변주된다. 이는 3장에서 본격적으로 논한 매판의 규정력에서 더욱 첨예화된 방식으로 드러나는데, 한일협정 타결로 인한 외자 종속의 신/식민화는 가장 악질적이라고 하는 관료 매판과 소수 재벌 매판 못지않게 지식과 문화의 매판적 경향을 일깨웠기 때문이다. 『청맥』은 기민하게도 이를 특집으로 화하며, 빚진 문화의 첨병으로 전락할 위기에 처한 지식인의 입지를 매판 지식인으로 가시화하는 한편 이에 반하는 진테제로서의 민중 지식인을 재정립하고자 했다. 4장에서는 『청맥』에 11회 연재된 조동일의 ‘시인 의식론’을 통해 광대 시인의 발견이 지닌 의미를 『청맥』의 이 안티테제와 진테제의 길항 속에서 파악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 글의 결론을 갈음하였다. The stigma attached to Cheongmaek, characterized as an anti-American, pro-North Korea, and anti-government magazine, stemming from the TongHyeockDang incident in 1968, still persists. And at times, it appears as though the suppression of Cheongmaek had never occurred before. The jailhouse memoirs of Kim Jil-Rak, who was summarily executed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the thawing atmosphere of the 1972 North-South Joint Declaration, further strengthen this perception by echoing the voices of the public security authorities. Chapter 1 of this article contain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is why the five forewords that the public security authorities were watching are discussed. The discord between the regime and Cheongmaek, attempting to capture the street language and slogans that emerged during the South Korea-Japan talks, evolves into a clash between the 4․19 youth generation and the 5․16 military faction under the banner of “complete autonomy and self-reliance” in Chapter 2. This conflict is magnified in Chapter 3, which earnestly examines the regulatory power of compradors. The neo-colonization resulting from the Korea-Japan Agreement's dependence on foreign capital has awakened comprador tendencies in knowledge and culture, comparable to the most ruthless bureaucratic compradors and minority Chaebol (재벌) conglomerates. Cheongmaek astutely presents this as a special feature, highlighting the precarious position of intellectuals at risk of being absorbed into indebted culture as comprador intellectuals with an anti-thesis, while also endeavoring to restore the integrity of the people's intellectuals as a true thesis in opposition. Chapter 4 suggests that the significance of discovering the clown poet, as depicted in Jo Dong-il's ‘Poet Consciousness’ serialized 11 times in Cheongmaek, must be understood within the dialectic between Cheongmaek's anti-thesis and true thesis. This serves as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 KCI등재

        ‘탈’식민 해방 투쟁과 제국의 문화 정치 -주변부 식민지의 ‘식민지성’과 혁명의 ‘유산’을 딛고

        공임순 상허학회 2008 상허학보 Vol.24 No.-

        이 논문은 탈식민주의가 한국 인문학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쳤다고 보고, 탈식민주의가 일상의 식민주의를 날카롭게 파헤치는데 일익을 담당했음을 전제로 탈식민주의의 기본적 문제의식을 새롭게 조명하고 환기하고자 했다. 탈식민주의는 식민주의의 전세계적이고 근원적인 영향력을 정치·경제뿐 아니라 문화와 관련해 식민주의의 지구화와 지역화의 변증법적 역학인 ‘자기의 이국화(self-exoticization)’와 ‘자기의 오리엔탈화(self-orientalization)’를 비판적으로 규명하고 탐구해왔다. 이 과정에서 제국과 식민지간의 비대칭적이고 불평등한 관계가 문제시됨은 물론 제국과 식민지간의 차이와 동일성에 대한 보다 복잡하고 다면적인 독해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한국의 인문학 연구는 때로 탈식민주의를 내셔널리즘에 대한 비판과 직결시켜 식민주의의 일차 과제였던 제국의 ‘제국성’에 대한 첨예한 문제의식은 사장해버린 채 주변부 식민지인이 얼마나 ‘식민지적’인가를 매번 재확인하는 자기 고백과 폭로로 일관하는 감이 없지 않다. 이는 현재 식민지 말기에 대한 과잉열기의 연구붐으로도 충분히 입증되는데, 이러한 탈식민주의의 부분적 전용과 탈취는 탈식민주의의 급진적 문제의식을 오히려 희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위법적 독해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위법적 독해는 식민주의의 전지구적이고 근원적인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해 제국과 식민지간에 동시 병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식민주의의 파괴적 영향력을 비교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탈식민주의의 이론적 방법론이자 실천적 인식론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위법적 독해의 문제틀을 공유하며, 2장에서 식민지 출신 탈식민주의의 이론가이자 실천가였던 세제르와 파농 그리고 멤미를 중심으로 그들이 제기했던 식민화 시스템의 총체적인 감시체제와 인종주의의 전면적 도래 그리고 이 식민화 시스템의 파괴와 청산을 지향했던 반식민지 해방 투쟁의 ‘유산’과 의미를 재점검해보았다. 반식민지 해방과 저항 투쟁에서 식민지인들은 자기를 옭매던 식민주의의 흔적을 제거하고자 욕망하지만 그것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탈식민 해방 투쟁의 때늦은 도래를 목도하고 좌절한다. 그러나 바로 이 반(탈)식민 해방 투쟁의 때늦은 도래야말로 식민지인들의 해방을 위한 중요한 사회정치적 자산으로 기능 변환되는 문화의 세속화와 지역화(토착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도래시킨다. 에드워드 사이드는 이러한 반식민지 해방과 저항 투쟁의 혁명적 ‘유산’을 제국의 중심부로 옮겨놓는 대위법적 독해를 통해 제국의 ‘제국성’이 식민지를 은폐함으로써 기능했음을 폭로한다. 그는 제인 에어의 『맨스필드 파크』를 하나의 전범으로 삼아 제국의 문화가 제국의 정치경제적 식민주의를 성별화된 섹슈얼리티의 가정화 전략으로 매개하고 굴절시킴으로써 식민지가 제국 문화에서 어떻게 은폐/삭제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위법적 독해는 탈식민주의의 기본적 문제의식이 제국의 ‘제국성’과 식민지의 상호 의존적이고 동시적인 연루와 착종을 규명하는 유효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새삼 일깨워준다. 이 논문은 2장과 3장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주변부 식민지였던 구식민지 해방국가들의 유사하지만 다른 반식민지 해방 투쟁의 역사를 탈식민주 ... Considering Postcolonialism a great effect in Korean humanities, this paper focuses on a basic critic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on the assumption that it has helped keenly understand for Colonialism of the daily life. Postcolonialism critically has analyzed and examined ‘self- exoticization’ and ‘self-orientalization’ as dialectic dynamics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in relation to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which have been a result of Colonialism. But the existing studies of Korean humanities have consisently pursued self-confession and disclosure reconfirmed how much the peripheral intelligent is colonialism rather than tried to make clear ‘Imperialism’ of Empire in global colonialism. This can be proved numerous studies about the end of colonial period, they sometimes have blurred out sharp awareness of Postcolonialism by partly appropriating and usurping Postcolonialism. Thus nowadays contrapuntal criticism of Edward Side needs to define newly. Contrapuntal criticism of Edward Side has an theoretical methodology and practical theory of knowledge approaching a destructive result of Colonialism in terms of comparative studyto examine global and basic influence of Colonialism which run parallel between Empire and Colony. While this paper shares the issue of contrapuntal criticism of Edward Side, it also reexamines not only a total surveillance regime of Colonialization system and a full-scale coming of racism proposing such as Cesaire Aime, Fanon Frantz, Memmi Albert previously said in this paper two chapter but also ‘heritage’ and meaning of anti-colonial liberation struggle intending for this destruction and clearing of Colonialization system. Colonial people wanted to eliminate the trace of Colonialism tied themselves, but because of not easy to it and too late coming of anti-colonial liberation struggle they felt frustration. However this belated coming of anti-colonial liberation struggle brought about new possibility of secularization and regionalism of culture translated as a important political-social property for liberation of Colonial people. Edward Side showed that ‘Imperialism’ of Empire has been at working by suppressing Colony through contrapuntal criticism which put this revolutionary ‘heritage’ of liberation and resistance struggle in metropolis of Empire. For example Jane Austen’s Mansfield Park, he argued, contributed to suppress and eliminate Colony in culture of Empire by mediating and displacing political-social Colonialism with domestic strategy of gendered sexuality. This contrapuntal criticism of Edward Side awakes us how basic critic view of Postcolonialism effectively define interdependent and coincident implication and connection between ‘Imperialism’ of Empire and ‘Colonialism’ of colony.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of two and three chapter, this paper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developing a concrete and open view about anti-colonial liberation struggle which can embrace threefold temporality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rising from ‘Colonialism’ of the peripheral colony and ‘heritage’ of revolution as an example Oh, Gi-Young’s earnest wish of nation(1946).

      • KCI등재

        이광수의 3.1운동-「민족개조론」-「혁명가의 아내」의 연쇄와 굴절 -이광수의 귀국 전/후와 ‘간도사변’의 편재하는 폭력

        공임순 춘원연구학회 2019 춘원연구학보 Vol.0 No.15

        이 논문은 이광수의 귀국에 얽힌 전/후의 이야기를 그의 텍스트를 단서 삼는, 이른바 마이클 신(Michael D. Shin)이 말한 추리소설가의 자세로 탐문하고 추적해보고자 했다. 이광수의 귀국은 공간 이동에 상응하는 이전과 이후의 시간대를 확연하게 대별시켰기 때문이다. 이전의 시간이 3.1운동의 연장이기도 한 상해 임정의 반(半)기관지 『독립신문』과 연관되어 있다면, 이후의 시간은 조선의 공분과 비난의 타깃이 된 「민족개조론」과 직결되어 있다. 아마도 그의 예상을 훨씬 초과했을 귀국이 ‘귀순(歸順)’이 되어버린 불명예와 오명을 안고서 그의 귀국은 그 자신뿐만 아니라 조선의 전/후 분열상을 새겨놓게 되는데, 사적인 경험과 시간에 조선의 공적 현실과 모순이 착종된 ‘복합’사건으로 그의 귀국 전/후는 자리매김하게 된다. 본 연구는 전/후의 변모상을 간도사변이 초래한 절멸에의 공포를 배후에 깔고 있다는 점을 지적함으로써 급진주의에 반하는 문화의 탈정치화의 양상을 2장과 3장을 통해 살펴보았다. 간도사변의 충격과 비애는 속간된 『독립신문』의 시가와 논설로 표출되고 있으며, 이 사건을 계기로 그는 문명화의 패러독스(paradox)를 더욱 각인하는 간디 사상의 조선판인 「민족개조론」을 비롯한 일련의 행보를 선보이게 된다. 이 맥락에서 「허생전」과 「혁명가의 아내」를 다시 읽을 필요성을 제기함과 동시에 본 연구는 이기영과의 논전이 지닌 진영 간 갈등과 대결이 해방 이후 재연될 소지를 안고 있었음을 4장에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