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쟁 미담과 용사 - 제국 일본의 동일화 전략과 잔혹의 물리적 표지들 -

        공임순 상허학회 2010 상허학보 Vol.30 No.-

        This essay discussed about two keywords of the beautiful story of war and a brave soldier in order to examine the specific situation and aspect which the logic and the effect of war and battlefield had been changing and reconstructing the nation-state form of the Japanese Empire. Regarded as an ideal model of a soldier, a brave soldier implied the logic and the effect of war and battlefield that a death on the field of battle had been recognized as the last stop or the last climax of the life. To trace this point, this essay examined the socio-historical process in the chapter 2 that made the nation-state form of the Japanese Empire the field of paradox and contradiction had been preserving and continuing the life through the death, and then in the chapter 3 focussed on the structural violence of Colony Joseon(식민지 조선) that these soldiers and brave soldiers had been produced, in which we may call this situation “the time of the beautiful story of war” for this situation. In the chapter 4 this essay also concluded by suggesting that the common nation-state form identifying blood-tax(血稅) paid by the people with the sake of one's country as well as the nation-state form of the Japanese Empire always could be demanding a soldier, particularly a individual body and agency in a group of brave soldiers. 이 글은 전쟁과 전장의 논리와 효과가 제국적 국민국가 형태를 변용하고 재구성하는 특정한 정세와 양상을 전쟁 미담과 용사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용사는 병사의 이상적 모델화로써, 그것은 전장의 죽음을 삶의 최종점 혹은 최정점에 위치시키는 전쟁과 전장의 논리와 효과를 담고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내지 일본의 ‘삼용사’와 식민지 조선의 최초의 지원병 전사자인 ‘이인석’이 상호 거울상을 이루며 제국적 국민국가 형태를 죽음을 통한 삶의 보존과 연속이라는 역설과 모순의 현장으로 만드는 사회역사적 과정을 2장에서 살펴보고, 3장에서는 이러한 병사와 용사의 자기상이라고 할 수 있는 전쟁 미담의 식민 주체들이 양산되는 식민지 조선의 구조적 폭력성을 “전쟁 미담의 시대”로 명명하여 이를 재조명하였다. 4장에서는 제국적 국민국가 형태뿐만 아니라 혈세를 국가 봉공과 일체화하는 일반적 국민국가 형태도 언제든 병사 그 중에서도 용사의 집합적인 개별 신체와 행위수행성을 요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하며 마무리하고 있다.

      • KCI등재

        체험의 비극과 의지의 낙관, 그 사이의 인간군상: 정한숙 소설을 중심으로

        공임순 민족문학사연구소 2022 민족문학사연구 Vol.79 No.-

        This paper aims at the “a study of Jeong Han-sook”, which has not produced meaningful research results since the 2000s. Jeong Han-suk is positioned as a “postwar new generation writers” and showed vigorous artistic activities along with Son Chang-seop, Seon Woo-hwi, and Jang Yong-hak. Even if it is limited to novels, his work counts over 160 pieces. However, compared to other writers, existing research on Jeong Han-sook is in a state of stagna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this paper reviewed the problem of a chronological list of the author’s works in Chapter 1. In particular, while pointing out that the whereabouts of the early works published during the Korean War are still unclear, this paper took issue with the overlap of some works and the exclusion of others from the publication of selected writings. In Chapter 2,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shape of the “a third-class person” revealed in his work, noting that the title of “postwar new generation writers” has no conceptual framework to visualize it. Chapter 2 shows that “a third-class person” was also a pathological image of human beings created by the unique sense of the generation that experienced the historical upheavals of colonization,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in conjunction with Son Chang-seop’s “surplus humans”. In Chapter 3, this paper pointed out that “Geumdang Mural painting,” “Baekja Potter Choi Sul,” and “Geumeo,” which are often referred to as artist novels, function as aesthetic versions of the positive human image pursued by Jeong Han-sook. Contrary to the general tendency to discuss Jeong Han-sook’s fictions, this paper critically recounts that the positive Moral human figure in the shape of a traditional artist governs the so-called artist novel, leaving open the possibility of rereading his work in terms of continuity rather than disconnection. In Chapter 4, the last chapter, this paper concludes by reminding us that a broader interest and discussion on the literary achievement and meaning of historical novels that make up his major work world is needed.

      • KCI등재

        ‘탈’식민 해방 투쟁과 제국의 문화 정치 -주변부 식민지의 ‘식민지성’과 혁명의 ‘유산’을 딛고

        공임순 상허학회 2008 상허학보 Vol.24 No.-

        이 논문은 탈식민주의가 한국 인문학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쳤다고 보고, 탈식민주의가 일상의 식민주의를 날카롭게 파헤치는데 일익을 담당했음을 전제로 탈식민주의의 기본적 문제의식을 새롭게 조명하고 환기하고자 했다. 탈식민주의는 식민주의의 전세계적이고 근원적인 영향력을 정치·경제뿐 아니라 문화와 관련해 식민주의의 지구화와 지역화의 변증법적 역학인 ‘자기의 이국화(self-exoticization)’와 ‘자기의 오리엔탈화(self-orientalization)’를 비판적으로 규명하고 탐구해왔다. 이 과정에서 제국과 식민지간의 비대칭적이고 불평등한 관계가 문제시됨은 물론 제국과 식민지간의 차이와 동일성에 대한 보다 복잡하고 다면적인 독해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한국의 인문학 연구는 때로 탈식민주의를 내셔널리즘에 대한 비판과 직결시켜 식민주의의 일차 과제였던 제국의 ‘제국성’에 대한 첨예한 문제의식은 사장해버린 채 주변부 식민지인이 얼마나 ‘식민지적’인가를 매번 재확인하는 자기 고백과 폭로로 일관하는 감이 없지 않다. 이는 현재 식민지 말기에 대한 과잉열기의 연구붐으로도 충분히 입증되는데, 이러한 탈식민주의의 부분적 전용과 탈취는 탈식민주의의 급진적 문제의식을 오히려 희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위법적 독해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위법적 독해는 식민주의의 전지구적이고 근원적인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해 제국과 식민지간에 동시 병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식민주의의 파괴적 영향력을 비교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탈식민주의의 이론적 방법론이자 실천적 인식론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위법적 독해의 문제틀을 공유하며, 2장에서 식민지 출신 탈식민주의의 이론가이자 실천가였던 세제르와 파농 그리고 멤미를 중심으로 그들이 제기했던 식민화 시스템의 총체적인 감시체제와 인종주의의 전면적 도래 그리고 이 식민화 시스템의 파괴와 청산을 지향했던 반식민지 해방 투쟁의 ‘유산’과 의미를 재점검해보았다. 반식민지 해방과 저항 투쟁에서 식민지인들은 자기를 옭매던 식민주의의 흔적을 제거하고자 욕망하지만 그것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탈식민 해방 투쟁의 때늦은 도래를 목도하고 좌절한다. 그러나 바로 이 반(탈)식민 해방 투쟁의 때늦은 도래야말로 식민지인들의 해방을 위한 중요한 사회정치적 자산으로 기능 변환되는 문화의 세속화와 지역화(토착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도래시킨다. 에드워드 사이드는 이러한 반식민지 해방과 저항 투쟁의 혁명적 ‘유산’을 제국의 중심부로 옮겨놓는 대위법적 독해를 통해 제국의 ‘제국성’이 식민지를 은폐함으로써 기능했음을 폭로한다. 그는 제인 에어의 『맨스필드 파크』를 하나의 전범으로 삼아 제국의 문화가 제국의 정치경제적 식민주의를 성별화된 섹슈얼리티의 가정화 전략으로 매개하고 굴절시킴으로써 식민지가 제국 문화에서 어떻게 은폐/삭제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에드워드 사이드의 대위법적 독해는 탈식민주의의 기본적 문제의식이 제국의 ‘제국성’과 식민지의 상호 의존적이고 동시적인 연루와 착종을 규명하는 유효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새삼 일깨워준다. 이 논문은 2장과 3장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주변부 식민지였던 구식민지 해방국가들의 유사하지만 다른 반식민지 해방 투쟁의 역사를 탈식민주 ... Considering Postcolonialism a great effect in Korean humanities, this paper focuses on a basic critic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on the assumption that it has helped keenly understand for Colonialism of the daily life. Postcolonialism critically has analyzed and examined ‘self- exoticization’ and ‘self-orientalization’ as dialectic dynamics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in relation to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which have been a result of Colonialism. But the existing studies of Korean humanities have consisently pursued self-confession and disclosure reconfirmed how much the peripheral intelligent is colonialism rather than tried to make clear ‘Imperialism’ of Empire in global colonialism. This can be proved numerous studies about the end of colonial period, they sometimes have blurred out sharp awareness of Postcolonialism by partly appropriating and usurping Postcolonialism. Thus nowadays contrapuntal criticism of Edward Side needs to define newly. Contrapuntal criticism of Edward Side has an theoretical methodology and practical theory of knowledge approaching a destructive result of Colonialism in terms of comparative studyto examine global and basic influence of Colonialism which run parallel between Empire and Colony. While this paper shares the issue of contrapuntal criticism of Edward Side, it also reexamines not only a total surveillance regime of Colonialization system and a full-scale coming of racism proposing such as Cesaire Aime, Fanon Frantz, Memmi Albert previously said in this paper two chapter but also ‘heritage’ and meaning of anti-colonial liberation struggle intending for this destruction and clearing of Colonialization system. Colonial people wanted to eliminate the trace of Colonialism tied themselves, but because of not easy to it and too late coming of anti-colonial liberation struggle they felt frustration. However this belated coming of anti-colonial liberation struggle brought about new possibility of secularization and regionalism of culture translated as a important political-social property for liberation of Colonial people. Edward Side showed that ‘Imperialism’ of Empire has been at working by suppressing Colony through contrapuntal criticism which put this revolutionary ‘heritage’ of liberation and resistance struggle in metropolis of Empire. For example Jane Austen’s Mansfield Park, he argued, contributed to suppress and eliminate Colony in culture of Empire by mediating and displacing political-social Colonialism with domestic strategy of gendered sexuality. This contrapuntal criticism of Edward Side awakes us how basic critic view of Postcolonialism effectively define interdependent and coincident implication and connection between ‘Imperialism’ of Empire and ‘Colonialism’ of colony.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of two and three chapter, this paper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developing a concrete and open view about anti-colonial liberation struggle which can embrace threefold temporality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rising from ‘Colonialism’ of the peripheral colony and ‘heritage’ of revolution as an example Oh, Gi-Young’s earnest wish of nation(1946).

      • KCI등재

        작가 김장수와 ‘백마고지’, 그 군사-젠더화의 표상과 죽음정치

        공임순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7 No.-

        이 글은 작가 김장수를 매개로 ‘백마고지’로 상징되는 고지전의 개인적이고 지역(로컬)적 서사와 재현들을 군사-젠더화된 남성성과 연관시켜 다루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같은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은 배경과 구상 하에서 제기되었다. 첫째 브루스 커밍스(Bruce Cumings)도 지적했듯이 종전 후 냉전의 본격적 신호탄을 쏘아올린 국제적 내전으로서 한국전쟁은 그 실질적 주역인 미국에서마저 ‘잊힌 전쟁(forgotten war)’이 되고 말았다. 그런데 브루스 커밍스의 ‘잊힌 전쟁’의 명실상부한 표상은 고지전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둘째 고지전이 ‘잊힌 전쟁’으로 한국전쟁의 어떤 중핵을 건드리고 있다면, 고지전은 어떻게 망각되었는가와 더불어 어떻게 상기되고 소환되고 있는가가 중요해진다. 휴전협정을 향한 가시적인 움직임과 대비되는 고지전의 살육전은 고지전의 군사적 측면 못지않게 억압(망각)된 것의 상흔을 되묻게 하기 때문이다. 셋째 개인적이고 지역(로컬)적 차원의 서사와 재현들은 이 고지전의 억압(망각)된 상흔을 비판적으로 재구하려는 현재의 당면한 인식 및 요구와 맞닿아 있다. 이야기된 것과 이야기되지 않은 것 사이를 유동했던 이 서사와 재현들이 지닌 복합적 의미망은 개인-지역(로컬)-세계를 잇는 삼중의 관계망을 따라 ‘잊힌 전쟁’으로서 한국전쟁의 또 다른 이면을 드러내줄 유력한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고지전, 그 중에서도 ‘백마고지’를 둘러싼 개인적이고 지역(로컬)적 차원의 서사와 재현들에 주목했다. 특히 이 글은 1955년 서울시 문화상 문학 부문의 수상작으로 당당하게 이름을 올린 김장수의 『백마고지』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군인-작가의 이중신분으로 김장수는 작품 초기부터 ‘백마고지’를 비롯한 고지전의 파괴적 경험과 실상을 내재한 채 이를 젠더 분업에 정초한 낭만적 사랑의 성적 각본으로 전위하거나 대체하는 작품세계를 보여주게 된다. 고지전의 피/아 구분 없는 무가치한 ‘시산혈하(屍山血河)’의 대규모 죽음 사태에 직면해 낭만적 사랑의 성적 각본은 남성들 간의 전우애(형제애)적 이상과 성화(聖化)를 한편으로, 여성 신체와 섹슈얼리티에 대한 의심과 혐오 및 타자화의 젠더 위계질서를 선보이며, 죽음정치를 통한 생명정치의 의미와 가치를 고양시켰다. 이 글은 글로벌한 차원에서 잊힌 전쟁이 되고 만 고지전의 억압(망각)된 상흔이 재귀적인 자기 표상으로 되돌아오는 양상을 비판적으로 재구함으로써 이를 탈피할 대안적 전망을 타진해보고자 했다. 그것만이 ‘백마고지’의 3용사 아니 3군신과 같은 군사-젠더화의 냉전 심성과 자기 유폐가 아닌 탈냉전의 평화와 공존의 삶의 형태를 사유 가능케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 한 발짝을 떼는 데 이 글의 주된 목적이 있었음을 4장을 갈음하는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deal with personal and local narratives and representations of Gojijeon, symbolized “Baekmagoji” by the writer Kim Jang-soo in connection with military-gendered masculi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raised under the following background and concept. First, as Bruce Cumings pointed out, the international war that sparked a full-fledged sign of the Cold War after the end of the war, the Korean War has become a “forgotten war” even in the United States, where it was a real leader. Moreover, it wa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Bruce Cummings’ true representation of the “forgotten War” was Gojijeon. Second, if Gojijeon is touching any core of the Korean War with “forgotten wars,” it is important to know how the Gojijeon was forgotten and how it was recalled and summoned. In contrast to the visible movement toward the ceasefire negotiation, the killing wars of the Gojijeon forced us to recall the scars of being suppressed prior to its military side. Third, personal and local narratives and representations are in contact with the present perception and demand to critically reconstruct the oppressed(forgotten) scars of this Gojijeon. The complex semantic network of these narratives and representations that went between the spoken and the unspeaked is another aspect of the Korean War as a “forgotten war” along the triple circuit of the individual-local-world. It may be an important clue to reveal. Starting with this problem, this paper focused on the personal and local narratives and representations surrounding Gojijeon, especially the Baekmagoji.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d on Kim Jang-soo’s Baekmagoji, which was the winner of the 1955 Seoul City Culture Awards for Literature. From the early days of his work, Kim Jang-soo showed the world of works that transposes or replaces the sexual scripts of romantic love based on gender division, embodying the destructive experience and reality of the Gojijeon including Baekmagoji. In the face of large-scale valueless deaths with no distinction between old friend or foe, the sexual scripts of romantic love, on the one hand, presented the ideals and sanctifications of the comradeship among men, on the other hand, the gender hierarchy of doubts, aversions and otherizations of the female body and sexuality, It also raised meaning and value of bio-politics through necro-politics. This paper attempted to explore alternative prospects to escape it by critically reconstructing the suppressed (forgotten) scars of the Gojijeon which has become a “forgotten war” on a global level. That is because it will enable the thinking of peace and coexistence in the post-Cold War, not the cold war spirit and self-closure of military-genderization, such as the three warriors or the three gods of the Baekmagoji. This paper concluded by suggesting that the main purpose was to take this step forward.

      • KCI등재

        전시체제기 징병취지 ‘야담만담부대’의 활동상과 프로파간다화의 역학 : ‘황군’ 연성과 ‘황민’ 연성 사이, ‘말하는 교화미디어’로서의 야담·만담가들

        공임순 한국근대문학회 201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3 No.2

        이 글은 식민지 말기 징병취지 ‘야담만담부대’의 결성과 활동상을 제국(주의)적 국민화의 의사 보편적인 생명정치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총력전의 무제한적인 전쟁 수행에 따르는 전력의 배타적 소모와 투입에 부딪혀 지금까지 방치되거나 주변화되어 있던 식민지인들을 일본 인구의 일부분으로 삼아 포섭하고 관리·통제하는 이 새로운 통치화의 면모를 필자는 황민화로 대변되는 ‘국민화’와 ‘생명정치’의 함의를 모두 담아 다소 불편한 어감에도 불구하고, 제국(주의)적 국민화의 의사 보편적인 생명정치라고 명명해 본 것이다. 하지만 식민통치권력의 이러한 새로운 통치화의 면모는 식민지인을 내부의 유용한 ‘생명’ 자원으로 관리·통제하기 위한 당면한 현실적 필요를 반영·굴절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식민지인들의 내부적 ‘생명’화란 필연적으로 ‘황군’ 연성의 죽음정치를 예비하게 된다. 이 ‘황군’ 연성의 죽음정치를 매개하고 대행했던 것이 교화와 계몽의 주축을 담당했던 식민지문(화)인이었다. 이 일련의 연쇄적인 흐름 속에서 1943년 10월 20일을 첫 스타트로 하여 반년 간 전선을 누빈 징병취지 ‘야담만담부대’의 결성이 갖는 사회정치적 의미망이 자리하고 있다. 신정언을 중심으로 한 이 징병취지‘야담만담부대’는 반년 간에 걸친 전선의 순회공연뿐만 아니라 『매일신보』 지상에 「징병취지야담만담각행」을 1943년 1월 11일부터 6월 18일까지 총 109회에 걸쳐 신정언이 연재하는 이른바 신문지면을 통한 ‘재’교화와 계몽을 펼치게 된다. 이런 점에서 징병취지 ‘야담만담부대’가 갖는 의미는 제국(주의)적 국민화의 의사 보편적인 생명정치가 ‘황군’ 연성의 죽음정치로 파탄나는 역설과 이율배반을 매개하는 연기하는 미디어적 신체로서 야담·만담의 존재방식을 새삼 제고하게 한다. 그것은 야담과 만담이 불변하는 전통 장르로서가 아니라 역사적 상황과 실천 속에서 항상 새롭게 만들어지는 뉴미디어라는 점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lonial period-end formation and activities of the conscription-encouraging Yadammandam Unit from the viewpoint of the imperialist universal life-politics of brainwashing the colonial people. The term of imperialist universal life-politics of brainwashing the colonial people, although somewhat uncomfortable, is used herein to mean the colonization strategy by which the imperialist Japanese, confronting the exclusive exhaustion and injection of combat power following its concerted, unlimited war campaigns, tried to turn colonists - that had thus far been neglected or decentralized - a part of Japanese population, brainwash them to that end, control and manage them. However, such Japanese colonial ruling attempted to control and manage the colonial people as its useful resources, leading the attempt of turning colonists into the Japanese internal life resources to essentially signal the death politics of Imperialist Army Unity. It was the colonial cultural (literary) people that played a pivotal role in teaching and enlightenment to mediate in and represent the death politics of Imperialist Army Unity. Amid this chain of trends, on October 20, 1943, the conscription-encouraging Yadammandam Unit, which had engaged in war frontlines for a half year, was formed, presenting a significant political and social implication. The conscription-encouraging Yadammandam Unit, led by Sin Jeong-eon, made a half-year performing tour of war frontlines, and Sin Jeon-eon ran a total of 109 seriries of articles about conscriptionencouraging historical and comic issues on the Maeilsinbo Newspaper, from January 11 to June 18, 1943, as part of the so called re-teaching and re-enlightenment campaigns. In this respect, the Conscriptionencouraging Yadammandam Unit mediated in leading the imperialist universal life-politics of brainwashing the colonial people to the death politics of Imperialist Army Unity. So, this paradox and antinomy of the existence of historical and comic talks should be reexamined. This would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fact that historical story telling and comic talks are not an unchangeable traditional genre but a new medium that can be always made anew amid historical and practical situations.

      • KCI등재

        군복 입은 ‘고아 구호’단 -『주간신보 자유세계』에 나타난 ‘구제의 시각화’와 냉전 온정주의

        공임순 상허학회 2021 상허학보 Vol.63 No.-

        이 글은 한국전쟁과 고아 심리/선전전의 두 번째 논문에 해당한다. 첫 번째 논문인 「1958년 북한 발(發) ‘고아 구제’ 담화와 남한/일본에서의 북한행 역진」에서는 국제사회주의의 친선과 우의의 상징이던 북한 전쟁고아의 위탁과 귀환 및 남한 유랑고아를 향한 ‘구제’ 담화를 다뤘다면, 이 글은 정작 남한과 이른바 자유 진영의 고아 구제의 양상은 어떠했는지를 살폈다. 북한의 고아 심리/선전전은 한국전쟁기가 아니라 1958년 이후 남한을 대상으로 파상적 공세를 펼친 고아 구제 담화에서 찾아야 한다면(4장의 그림 참조), 자유 진영의 고아 심리/선전전은 한국전쟁기의 군대와 고아—아동 간의 친밀성 정치에서 찾아야 한다는 점을 이 글은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1장에서 냉전기 ‘아동—소년’의 표상을 지탱했던 ‘똘똘이’로 대변되는 어린 냉전/반공의 전사 계열과 아울러 여리고 순진무구하기에 더욱 취약하기만 한 ‘아동—소년’의 형상이 ‘고아—아동’으로 수렴되었음을 지적했다. 로라 브릭스(Laura Briggs)가 명명한 “구제의 시각화”를 전유하여 이 글은 한국전쟁기의 대표적 심리전단인 『주간신보 자유세계(Free World Weekly Digest)』를 대상으로 이 “구제의 시각화”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2장에서 논했다. 『주간신보 자유세계』는 한국전쟁 초기 심리전단에 대한 혹독한 비판을 토대로 재고안된 뉴스형 심리전단이었으며, 나아가 중국(인민지원)군 참전으로 달라진 전황에 대처하기 위한 당면한 요구도 담고 있었다. 한국어판과 중국어판이 동시에 간행된 『주간신보 자유세계』는 휴전협정 뒤에도 2년여 가까이 지속된 최장수 심리전단의 독특한 입지를 또한 자랑한다. 이 글은 2장에서 고아—아동과 관련된 기사를 발행일자와 내용별로 도표화하여 제시했다. 3장에서는 고아—아동의 후원자로 나선 군인들이 군대 내 구호를 넘어 입양으로까지 나아갔던 몇몇 사례를 통해 크리스티나 클라인(Christina Klein)이 말한 진영의 역내를 순회하는 감정 교류의 양상을 고찰했다. 고아—아동과 군인들의 사적인 친밀한 관계는 입양으로 소위 국제 가족의 ‘선례’를 만들어냈을 뿐만 아니라 냉전 온정주의의 원형적 풍경을 이루었다는 것이 3장의 주된 논지였다. “웃지 않는 아이(The Little Boy Who Wouldn’t Smile)”의 이강구(실제 이름은 이강용)와 “어니 조” 및 “샘”이라는 닉네임을 지닌 정구표와 이경수 등의 사례들은 구호에서 해피엔딩을 예고하는 입양까지의 과정을 전시하는 훌륭한 심리전(단)의 재료였다. 하지만 심리전(단)의 차원에서 이를 전적으로 반기지만은 않았음을 이 글은 심리전의 베테랑 요원이던 리오스노프(Alexander A. Liosnoff)의 보고서로 예증했다. 구호를 넘어 입양은 뿌리의 상실로 여겨져 현지인이나 적에게 반감과 적의를 살 수 있음을 우려한 것이다. 그의 걱정이 단지 기우만이 아니었음을 고아 입양을 노예 매매로 맹비난했던 북한의 역선전은 증명해주었다. 이 글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Светлана Алексиевич)의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를 빗댄 ‘전쟁은 고아—아동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를 4장의 결론으로 갈음하였다. 개별 고아들의 고유한 특성과 역사는 텅 빈 채 오직 구제받아야 할 고아—아동으로 과잉 단순화된 심리/선전전의 비극은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이다. This paper corresponds to the second paper on the Korean War and Orphan psychological/propaganda warfare. In the first paper, “Discourse on ‘Relief for Orphans’ of North Korea in 1958 and Exodus to North Korea from South Korea/Japan”, I dealt with discourse of ‘relief’ to wandering orphans in South Korea along with the entrustment and return of war orphans in North Korea, which was a symbol of goodwill and friendship in international socialism. This paper examined how the relief of orphans in South Korea and the so-called the Free World was. Also this paper emphasized that the Free World’s orphan psychological/propaganda warfare was to be found in the politics of intimacy between the military and orphans during the Korean War unlike North Korea’s orphan psychological/propaganda warfare was to be found not in the Korean War, but in the discourse on ‘orphans relief’(see the figure in chapter 4). To this end, this paper pointed out in Chapter 1 that the young Cold War/Anti- Communist warrior line represented by the Ttolttori(똘똘이) who supported the representation of the Cold War ‘child-boy’, as well as the ‘child-boy’ who was more vulnerable to be weak and innocent. The latter converged into orphan-children. In Chapter 2, this paper was discussed how Free World Weekly Digest, a representative psychological warfare leaflet from the Korean War period, embodied “the visual iconography of rescue” named by Laura Briggs. The Free World Weekly Digest was a news-type psychological warfare leaflet that was reconsidered based on harsh criticism of psychological warfare leaflet in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War, and it contained the immediate demands to cope with the war situation changed by the participation of the Chinese(People’s Volunteer) Army. The Free World Weekly Digest, which was published simultaneously in Korean version and Chinese version, also boasted the unique position as the longest-running psychological warfare leaflet, which lasted nearly two years after the Korean Wqr Armistice Agreement. In Chapter 2, the articles on orphan-children were presented by publication date and content. In Chapter 3, I described the pattern of emotional exchanges circulating through the camps mentioned by Christina Klein, examining some cases in which soldiers serving as orphan-children supporters went beyond relief in the military to adoption. The main point of Chapter 3 was that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orphan- children and soldier not only set the so-called “preference” for international families but also formed a archetypal landscape of Cold War paternalism. Cases such as Ri Kang-Koo(real name Lee Kang-yong) of “The Little Boy Who Wouldn’t Smile,” Jung Kyoo-pio and Lee Kyung-soo with nicknamed “Ernie Joe” and “Sam” were excellent material for a psychological warfare(leaflet) that displayed the process from relief to adoption announcing a happy ending. However, I exemplified by the report of Alexander A. Liosnoff, a veteran agent of psychological warfare, that this process was not entirely welcomed in terms of psychological warfare. Adoption beyond relief could be seen as a loss of Korean roots, so he was concerned that it could lead to resentment and hostility towards locals or enemies. North Korea’s counter-propaganda, which denounced the adoption of orphans as slave trade, proved that his concern was not just unfounded fears. This paper replaced the conclusion of Chapter 4 by ‘War has no face of orphan-children’, a metaphor for Svetlana Alexievich’s ‘War did not have the face of women’. The tragedies of psychological/propaganda warfare, which were oversimplified as orphan-children who were only to be saved, is still ongoing with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individual orphans empty.

      • KCI등재

        태평양 "동맹"의 프레임과 "일민"주의의 자기 표상 전략 : "반공"방벽으로서의 태평양동맹과 "타공"으로서의 일민주의문학

        공임순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8

        이 글은 "동맹"의 프레임이 대한민국의 "갈등하는 (국민)국가성"을 어떻게 억압·은폐하고 치환·전이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고자 했다. "동맹"의 프레임은 1949년 3월에 제기된 태평양동맹 결성의 움직임 속에서 배태되었다. 태평양동맹은 그 실패와 좌절을 예비한 채 대한민국의 지배엘리트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연기/수행됨으로써 (동)아시아 및 대한민국을 전 세계적인 냉전질서의 일부로 편입시키고자 하는 행위주체(agent)의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주었다. 대서양동맹의 아시아판으로서 이 태평양동맹의 실현되지 않은 "가상"적 효력은 대한민국의 반공블록화를 목표로, 공산주의와의 대결과 투쟁의 사상전의 일부로서 제창된 "일민"주의 및 "일민"주의문학과 동시적으로 대한민국을 반공국가화하는 데 일조하게 된다. 이승만에 의해 1949년 4월에 본격적으로 제기된 "일민"주의는 민주주의와 공산주의간의 대결과 투쟁이라는 사상전의 성격을 띠고 대한민국의 국가이념으로서 명시되었다. "일민"주의의 이 전투적 민주주의성에 힘입어 대한민국은 민주주의의 보루로서 위치 변환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일민"주의문학이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타공"을 목표로 한 이 일민" 주의문학은 대한민국을 반공블록화하고자 했던 태평양"동맹"의 프레임과 상호 길항하며 대한민국을 반공-타공-멸공의 증대된 적대성이 일상화된 반공국가로서 정위시키게 된다. 이런 점에서 반공국가로서 대한민국의 위상은 태평양"동맹"의 프레임과 별개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이 태평양"동맹"의 프레임을 관통하여 이루어진 사회역사적 산물이었음을 이 글은 밝히고 있다. This study sought to explain how the confederation framework suppressed and concealed Korea's conflicting (nation) nationality and replaced and transformed it. The confederation framework was conceived in the Pacific confederation movement proposed in March 1949, The Pacific confederation, along with its looming failure and frustration, was practiced/performed by South Korea's elites, thus showing the positive determination of the agent to incorporate (East) Asia and South Korea into the world cold war order. The unrealized hypothetical effect of this Pacific confederation as the Asian version of the Atlantic confederation aimed to turn South Korea into an anti-communist bloc, contributing to turning the country into an anti-communist nation along with the one-nation thought proclaimed as a part of warfare of thought involving confrontation and struggle with communism as well as one-nation-oriented literature, The one-nation thought proposed by Rhee Syngman in April 1949 pursued a thought warfare of confrontation and struggle between democracy and communism, thus proclaiming itself as the national ideology of South Korea. South Korea, with the backing of the combative democracy of one-nation thought, could transform itself into a stronghold of democracy, and in this process, the one-nation-oriented literature appeared. The one-nation-oriented literature, which targeted the overthrow of communism, competed with the framework of the Pacific confederation that sought to turn South Korea into a communist bloc, positioned South Korea as an anti-communist nation with expanded hostility of anti-communism, overthrow of communism and destruction of communism, In this respect, the profile of South Korea as an anti-communist nation, existed not separately from the Pacific confederation framework, but a social and historical product of more than such a framework.

      • KCI등재

        ‘청산리전투’를 둘러싼 기억과 망각술 - ‘청산리전투’에 대한 이범석의 자기서사와 항(반)일=반공의 회로 -

        공임순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 Vol.0 No.76

        This paper is about a particular memory and oblivion surrounding ‘the Battle of Cheongsan-ri’. As a part of this, this paper focuses on Lee Beom-seok’s rewriting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Although ‘the Battle of Cheongsan-ri’ is recognized as an unprecedented victory for the Japanese Imperial Army at least in the Korean History, the place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was an uncertain zone of Asia where the Soviet Union immediately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and the semi-colonies of China and Colonial Chosun bordered each other. In a place where so-called national sovereignty could not be fully exercised due to the unstable conditions of the First World War, an imaginative geography, indicating expectations and frustrations for the “north” of individual actors, was reconstructed. In particular,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at Lee Beom-seok, who narrated ‘the Battle of Cheongsan-ri’ after liberation, had chosen to include in his narration and what had been excluded from it. In other words, what is important to this paper is the choice and exclusion in Lee Beom-seok’s rewriting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that follows from the 『Anger of Korea (한국의 분노)』, this paper shows that Lee Beom-seok’s rewriting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was linked to anti-communism through anti-Japan based on the Korean nationalism. This paper reexamines that ‘the Battle of Cheongsan-ri’ contained the possibility and frustration of the post-colonialization and liberation of the individual actors who came to the uncertain zone of Asia and the need to reflect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it in the present context. 이 글은 ‘청산리전투’를 둘러싼 어떤 특정한 기억과 망각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이범석의 ‘청산리전투’에 관한 다시쓰기에 주목했다. ‘청산리전투’는 적어도 한국의 국가사에서 식민 종주국인 일본군을 대상으로 한 전례 없는대승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이 ‘청산리전투’가 벌어진 현장은 갓 러시아혁명을 치룬 소비에트연방과 (半)식민지의 중국 및 식민지 조선이 맞대고 있던 접경지대였다. 제 1차 세계대전의 불안정한 정세와 맞물려 이른바 국가주권의 전일한 행사가불가능했던 이곳에서, 개별 행위자들의 ‘북방’을 향한 꿈과 이상 및 기대와 좌절의심상지리가 창출되고 재구성되어졌다. 이 글은 특히 해방 이후 ‘청산리전투’를 자기화한 이범석을 중심으로 그가 무엇을 선택하고 무엇을 상대적으로 누락/삭제했는지를 살피고자 했다. 그의 이 특정한 기억과 망각술은 ‘청산리전투’가 일본의 시베리아전쟁이 열어놓은 간도 출병의 연쇄 효과이자 중국과 조선의 반일(연대)투쟁의 결과물일 수 있다는 (동)아시아적 시선과 지평을 일국적으로 가두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했다. 이 글은 『한국의 분노: 청산리 혈전 실기』- 『혈전: 청산리 혈전 실기』- 「청산리의 항전」- 『우둥불』의 「청산리의 혈전」으로 이어지는 ‘청산리전투’에 관한 이범석의 다시쓰기가 조국애의 항(반)일을 거쳐 반공과 결부되는 양상을 다루었다. 더불어 이 과정에서 소련 행을 택한 홍범도의 또 다른 루트가 ‘청산리전투’ 를 통어하고 있음도 밝히고자 했다. 이 글은 ‘청산리전투’가 (동)아시아의 불확정적인 지대를 오간 개별 행위자들의 탈(脫)식민과 해방의 가능성과 좌절을 담지하고 있었음을 재론하는 한편, 그것이 지닌 역사적 의미를 현재적 맥락에서반추하고 성찰해야 할 필요성을 4장의 결론 삼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죽음의 미학화와 대중 정치의 반동성 - 드라마 「명성황후」와 이광수의 내선일체론을 중심으로 -

        공임순 상허학회 2002 상허학보 Vol.9 No.-

        . This thesis aims to search for aesthetics of death and reaction of the public politics. In my thesis, I focus on the television drama, Queen Myeong-Seong and the theory about the union of Japan and Chosun(내선일체론) in Lee Kwang-su's essays. Despite of the temporal distance, in two works individuals are included in the whole society through the death. While Queen Myeong-Seong consists the commemoration of Han-nation by fragile corporeal representation, Lee Kwang-su insists that conscription system is the most conspicuous sign to show Japanization of Chosun people.In this course, death is divided into two parts; memorable death and non-memorable death. These two deaths engender hierarchy of first people and second people. Queen Myeong-Seong is described as oppressed national sacrifice and also image of korean traditional women symbolizing wife's virtue and mother's devoted sacrifice. It represents hierarchization of death and inequality of gender politics. While man is evaluated by achievement, she oscillates between two extremity of excessive praise and devaluation according to external view.While Queen Myeong-Seong stimulates the closed, circular narcissism of the nation by defined as a sufferer, Lee Kwang-su escapes from bondage of second people by asserting voluntary death of individuals. So he emphasizes that colonized Chosun people must be volunteers of conscription system to be first Japan people. Moreover he demands to execute the same system as Japan's. This kind of Japanization erases individuals and results in subjection of individuals to nation-state, a single channel. Aesthetics of death takes on this parado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