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연구 : 은유분석을 중심으로

        고희선(Koh Hee 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량에 대한 사고유형을 탐색하고 분석하기 위해 은유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및 경남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5일부터 12월 2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체계적 은유분석을 사용하여 범주화하고 수량화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상위 내용유형은 창의적 능력, 창의적 태도, 창의적 지식으로 분류하였으며, 하위 내용유형은 문제 해결능력, 융합적 사고능력, 의사 소통능력, 협동능력, 개방적 태도, 민감한 태도, 비판적 태도, 교과 전문지식, 일상 생활지식 총 9개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량을 교실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상황과 문제를 창의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이라고 가장 많이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량에 대해 예비유아교사들은 학습해야할 지식으로 인지하고 다소 부담스럽게 생각하였다. 따라서 양성과정 초기부터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적 역량에 대해 바람직한 인식전환과 교육과정의 보완이 필요하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and analyze the thought typ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competencies perceiv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metaphor analysis.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24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in Busan and Gyeongnam on December 5~23, 2019. Collected data was categorized and quantified through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upper-level content types were categorized into creative ability, attitude, and knowledge. There were total nine lower-level content types including problem-solving ability, convergent think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collaboration ability, open attitude, sensitive attitude, critical attitude, subject expertise, and daily life knowledge ; secondl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the highest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competency to deal with various situations and problems in the classroom in creative ways; and finall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competencies as the type of knowledge they should acquire and felt rather some burden with them. These findings raise a need to change the perceptions of creative competencies right and supplement the curriculu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the early stage of the cultivation course.

      • KCI등재

        어린이집교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은유분석

        고희선(Koh Hee Seon),강유진(Kang Yu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은유분석을 통해 보육교사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유형을 탐색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2017년 9월 5일부터 9월 30일까지 자료 를 수집하여 총 207부를 최종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체계적 은유분석을 사용하여 범주화하고 수량화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상위 내용유형은 역할과 자질로 분류하였으며, 하위 내용유형은 양육자, 안내자, 촉진자, 교수자, 만능인, 노동자, 감정노동자행복추구자 총 8개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전통적인 보육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해 높게 인식하였으며, 특히 정의적 측면을 높게 지각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에 대해 예비유아교사들은 물리적․인적․심리적 환경을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를 위해 미래 직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전환과 정의적 차원에 초점을 둔 교사교육의 내용 및 방안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the pre - kindergarten teacher s thinking style of child care teachers through metaphor analysis. For this purpose, 225 preschool teachers who were attending 4 - year university in Gyeongnam area were selected and from September 5, 2016 to September 30, 2016,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207 copies were finally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d quantified using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upper content type is classified into roles and qualities and the sub - content types were derived from 8 types of caregiver, guide, facilitator, instructor, all - in - one, worker.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ighly perceived the role and qualities of traditional child care teachers, especially, the positive aspect was perceived highly. Finally,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 physical, person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as somewhat negativ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content and methods of teacher education focusing on positive change and positive dimension for future preschool teachers.

      • KCI등재

        어린이집 초임교사의 초기적응지도 실태 및 인식과 지원을 위한 멘토링 운영 탐색

        고희선(Koh, Hee-Seon),이은하(Lee, Eun-Ha),박희경(Park, Hee-Ky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9

        본 연구는 어린이집 초임교사의 초기적응지도에 관한 실태 및 인식을 알아보고 지원방안으로 멘토링 운영방식에 관한 요구를 살펴보았다. 연구는 부산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초임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초임교사의 85.3%가 초기적응지도를 실시하였고, 62.6%가 단계별로 서서히 진행하였으나 시간 및 인력부족으로 실시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둘째, 초기적응을 돕는 요인으로 영유아의 생육사와 기질에 관한 정보가 가장 많았으며, 부모와의 애착형성실패는 방해요인으로 가장 큰 변수였다. 셋째, 어린이집 초임교사는 초기적응지도를 위한 멘토링이 1학기에 2-3회, 협의중심으로, 외부전문가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고 요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early adjustment guidance among beginning teachers at educare centers, their awareness of it and their needs for mentoring as a means of support in an effort to explore how to back up these teachers in terms of early adjustment guid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11 beginning teachers at educare centers in Busa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85.3% of the beginning educare teachers offered early adjustment guidance, and 62.6% gradually did that by stages. Some didn"t offer it due to time constraints and shortage of manpower. Second, the beginning educare teachers believed that information on the raising history and temperament of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e most, and they regarded failure of parent-child attachment formation as an obstacle. Specifically, they thought that interest-oriented educare environments should be improved first of all. Third, the beginning educare teachers requested that discussion-centered mentoring on early adjustment guidance should be provided two or three times during a semester by outside expert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mentoring support as a way to facilitate the early adjustment guidance of beginning educare teachers.

      • KCI등재

        카오스 이론의 관점에서 부적응 유아 이해 및 접근 방향성 탐색

        고희선 ( Hee Seon Koh ),정계숙 ( Kai Sook Ch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6

        본 연구는 카오스 이론 관점에서 부적응 유아를 이해하고 접근하는데 있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카오스 이론은 결핍모델, 기능주의적 관점, 개인중심 패러다임 등 부적응 유아에 대한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자기조직화, 초기조건의 민감한 의존성, 비선형성, 자기유사성의 원리를 통해 부적응 유아 이해 및 접근방향성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즉, 유아는 "스스로 성장하는 아이", "작은 차이에 민감한 아이", "단언할 수 없는 아이", "관계의 연계 구조 속에 자라는 아이"로 이해될 수 있다. 부적응 유아를 위한 접근은 적절한 환경조성을 위한 체계 전체의 변화와 심리적 변화 초점, 다양한 평가를 통한 순환적 접근, 가정-교육기관-지역사회 간 협력을 위한 시스템 마련, 개별적 접근 및 총체적인 접근, 어머니 및 교사의 지원을 연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카오스 이론은 부적응 유아를 이해하고 접근하는데 또 다른 시각과 방향성을 제시해 준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o understand and approach the maladjusted child from the perspective of chaos theory. Chaos theory deals with maladjusted children and how to approach them on the basis of several principles such as self-organization, sensitive dependence on initial conditions, nonlinearity and self-similarity instead of sticking to existing perspectives like deficiency model, functionalist view and person-centered paradigm. That is, a preschooler can be understood as “a child who grows for himself or herself”, “a child who is concerned about small differences”, “a child about whom you never can tell”, and “a child who grows through relationships.” In order to approach maladjusted preschoolers, the related system itself should be changed to create appropriate environments, and it’s required to focus on psychological changes, to take a circulatory approach using diverse evaluation methods, to prepare a new system for collaboration among families, educational institution and local community, to take both individual and whole approach, and to seek ways of joining supports from mother and teacher. Thus, chaos theory is a new paradigm to offer a new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maladjusted children and a new approach toward them.

      • KCI등재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인간관계가 조직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희선(Koh, Hee 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동료의 사회적 지지와 인간관계가 조직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B, K, J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227명을 대상으로 동료의 사회적 지지, 인간관계, 조직건강을 측정하였으며,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 인간관계, 조직건강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인간관계 및 조직건강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조직건강에 원장관계, 정서적 지지, 동료관계, 학부모관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을 위해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와 같은 심리사회환경을 고려한 지원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on organizational health.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7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 centers located in the city B, K, J. Scales were used to measure social support,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ganizational healt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rganizational health. Results As a result, first, child teachers’ social support,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ganizational health were above average. Second, there wer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ocial support,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ganizational health. Lastly,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health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was influenced in the order of director relations, emotional support, co-worker relations, and parent relations. Conclusio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seeking a support plan that considers the psychosocial environment such as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child care teachers for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day care center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부적응 유아에 대한 은유분석

        고희선(Hee-Seon Koh)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부적응 유아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의미를 부여하는지 은유분석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 4년제 대학교 3, 4학년인 예비유아교사 총 268명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5일부터 9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체계적 은유분석을 기초하여 실행되었으며, 범주화하고 수량화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부적응유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상위 내용유형은 태도, 특성, 원인이 나타났으며, 하위 내용유형은 우호적 태도, 무관심한 태도, 긍정적 태도, 부정적 태도, 이상적 태도, 사회적 특성, 행동적 특성, 환경적 요인, 심리적 요인 총 9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부적응 유아에 대해 우호적 태도와 무관심한 태도를 주로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는 부적응 유아의 사회적․정서적 특성과 행동적 특성에 관심을 가졌으며, 유아가 경험하는 부적응의 원인에 주목하였다. 이는 부적응 유아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효과적 지도방안과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pre-service teachers perceive the concept Maladjusted Child and add a meaning to “Maladjusted Child” through metaphor analysis. For this purpose, 26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the students of university in Gyeongnam area were selected as target object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5-20, 2016. The data were both categorized and quantified based on the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As a result, there were nine types of sub - content types: friendly attitude, indifferent attitude, positive attitude, negative attitude, ideal attitude, social characteristic, behavioral characteristic, environmental factor and psychological factor. In summary, Firs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friendly and indifferent attitudes toward maladjusted child.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terested in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maladjusted child, and paid attention to the causes of maladjustment experienced by child. This suggests the need for effective guidance and teacher education so that positive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maladjusted child.

      • KCI우수등재

        유아의 창의적 성향 및 자기조절 능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노진형(Jin Hyeong Noh),고희선(Hee Seon Koh) 한국아동학회 2019 아동학회지 Vol.40 No.4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creative disposition and self-regulation on childrens playfulnes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85 children (aged 3-5) attending kindergartens in C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Results: First, a significantly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reative disposition, selfregulation, and playfulness. Second, children’s playfulness was mostly affected by specialty, a sub-factor of creative disposition; by self-evaluation, a sub-factor of self-regulation; and by independence-patience, another sub-factor of creative disposition. Conclusion: The findings demonstrate how creative disposition and self-regulatio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playfulness.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MBTI선호지표에 따른 양성과정만족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조리경(Jo, Lee-Kyung),고희선(Koh, Hee-Seon),박선해(Park, Sun-Ha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3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의 MBTI선호지표에 따라 양성과정만족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알아보고,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보육교사 양성 교육 과정 및 교육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P지역 보육교사교육원생 203명을 대상으로 MBTI성격유형검사, 양성과정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MBTI선호지표별 분포는 외향형(59.9%), 감각형(86.8%), 사고형(53.3%), 판단형(69.2%)로 나타났다. 둘째, 선호지표에 따른 양성과정만족도의 차이는 판단형이 인식형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호지표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외향형이 내향형보다, 직관형이 감각형보다, 사고형이 감정형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으로 각 선호지표의 특성에 따라 과제난이도의 다양화, 학습컨설팅,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등에 대해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the relationship of Training Course satisfaction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according to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Preferences. The subjects were 203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who answered the Academic Self-efficacy, Training Course satisfaction and the Korean version of MBTI.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part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Training Course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o Psychological tendency.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and negative correl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Training Course satisfaction according to partially Psychological Tendency. finally, the implications of for teather education and research limit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부적응 행동특성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연구

        최은아(Choi Eun A),고희선(Koh Hee 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부적응 유아의 행동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소진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부적응 유아지원을 위한 실제적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B, C, U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자녀가 다니는 어머니 249명 대상으로 2주 동안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소진에 대한 인식과 자녀의 부적응 행동특성을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소진은 보통정도였고, 자녀의 부적응 행동특성은 낮으나 하위요인인 산만성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결여와 좌절 및 불안감은 자녀의 부적응 행동특성, 어머니의 소진과 정적 상관을 가졌으며, 어머니의 소진과 자녀의 부적응 행동특성은 정적 상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소진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부적응 행동 특성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부적응 행동 특성감소를 위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지원 및 소진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 s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elf-efficacy and children’s maladjustment behavi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9 mothers with children attend preschool institutions located in the city B, C, U. Three different inventories were utilized. One was a parenting self-efficacy inventory consisting of 2 domains and 13 items, the second was a maladjustment behavior of child inventory consisting of 3 domains and 47 items, and the third was a mother s burnout inventory consisting of 3 domains and 15 ite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ing self-efficacy and mother s burnout were all average, and children’s maladjustment were below averag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separate scores of parenting self-efficacy, children’s maladjustment behavior mother s burnout in each subfactor. Lastly, mother s burnout medi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elf-efficacy and children’s maladjustment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