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에서 유통되는 어린이와 청소년 캔 음료에 대한 비스페놀 A 조사

        이도승,오현정,김미경,고찬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8

        Bisphenol A (BPA) is a major monomer used in various industries, primarily in production of polycarbonate plastics for food contact materials and epoxy resins for interior food can coatings. However, BPA is known to be an endocrine-disrupting chemical that can have harmful effects on human health.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idual levels of BPA in canned beverages targeted towards children and adolescent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distribution markets in Jeju. The BP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a fluorescence detector after purification using solid phase extraction. The valu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2) was 0.9999. The limit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were 4.20 μg/L and 13.37 μg/L, respectively. The recovery rates for carbonated drinks, mixed drinks, fruit and vegetable drinks, coffee, and energy drink products were 93.33∼110.27%, 87.33∼93.60%, 99.33∼111.20%, 95.00∼96.00%, and 88.00∼89.27%,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idual amount of BPA in 100 canned beverages revealed that it was absent in all samples. Th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nned beverage products distributed in Jeju are safe. 비스페놀 A는 주로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생산과 식품용 캔의 내부 코팅제 등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를 생산하는 원료이다. BPA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내분비계장애물질로, 본 연구는 제주도 내 유통마켓으로부터 어린이 및 청소년들의 다소비 캔 음료를 대상으로 BPA 잔류량 조사를 수행하였다. BPA 분석은 SPE 정제 과정을 통해 HPLC-FLD로 분석하였다. 표준품 BPA 검량선의 상관계수값(R2)은 0.9999로 확인되었으며, BPA 검출한계(LOD)는 4.20 μg/L, 정량한계(LOQ)는 13.37 μg/L 수준이었다. 탄산음료, 혼합음료, 과채음료, 커피, 에너지드링크 제품에서 회수율은 각각 93.33~110.27%, 87.33~93.60%, 99.33~ 111.20%, 95.00~96.00%, 88.00~89.27%로 나타났다. 캔 음료(n=100)의 BPA 잔류량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을 보여 본 연구에 사용된 캔 음료 제품들에 대해서 BPA는 안전한 수준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제주지역 유통 가공식품의 프탈레이트 분석

        오현정,이도승,변정화,고찬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8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드는 가소제이자 내분비계를 교란시키는 환경호르몬으로 그중 DEHP는 발암성 B2군으로서 인체에 대한 위해 우려가 크다. 하지만 기구, 용기 포장의 용출 기준규격과 위생용품에는 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나, 식품군에는 프탈레이트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프탈레이트 가소제는 환경으로부터 오염될 수 있고 식품 제조 시 사용되는 기구, 용기 등에서 이행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통 식품 중의 프탈레이트의 잔류 실태를 파악하고자 제주지역에 유통 중인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DMP, DEP, DBP, BBP, DEA, DEHP 6종의 가소제 함량을 GC-MS로 분석하였다. 시험법의 검증을 위해 특이성,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성, 정밀성 등의 항목으로 검증한 결과, 직선성의 상관계수가 0.99 이상이었고, LOD는 0.04~0.06 mg/L, LOQ는 0.12~0.20 mg/L를 나타내었다. 정확성은 92.32%~120.73%, 정밀성은 5% 미만, 회수율은 74~124%를 보였다. 검증된 시험방법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시중 유통 가공식품 178품목의 프탈레이트 항목을 GC-MS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유통 가공식품에서는 DMP와 DEA 프탈레이트는 검출이 되지 않았고, DEP와 BBP는 정량한계 미만이었다. 일부 품목인 된장, 면류, 고추장, 고형차, 곡류가공품, 기타가공품에서는 DBP가 불검출~1.16 mg/ kg, DEHP는 불검출~0.67 mg/k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검출된 식품류에서 포장 재질의 용출시험을 한 결과, 포장 재질은 불검출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프탈레이트는 원재료에서의 노출과 제조공정 중의 기구, 용기에서의 이행 등으로 잔류되는 것으로 보인다. 추후 식품 중의 프탈레이트 감소를 위해서는 원재료의 오염 노출 감소와 가공식품의 설비 개선 등의 품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