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북도립미술관건립에 나의 모든 것을 기증합니다

        고승관,Go, Seung-Gwan 대한인쇄문화협회 2008 프린팅코리아 Vol.7 No.8

        홍익대학교 고승관 교수가 지난 7월 3일 충북도립미술관 건립을 위해 자신이 만든 작품과 함께 수집품 등을 기증했다. 특히 이번 기증은 고승관 교수가 20년간 작업해 온 286개의 돌탑과 작품 300여점 및 그동안 수집해 온 민속품 및 공예품 200점도 함께 기증했다. 이와 아울러 도립미술관 부지와 함께 미술관 건물도 함께 기증했다. 다음은 고승관 교수의 글이다.

      • 중·고등학교 물리용어의 연계성 연구

        고승관,김규용 濟州大學校 師範大學 科學敎育硏究所 1996 科學敎育 Vol.13 No.-

        In course of middle school, the textbook has about 112 physical terms in number on the average. Among these, the following terms have frequently appeared : force, electric current, work, motion, speed, electric resistance, energy, voltage, electricity, electron etc. The number of physical terms used in high school is 356 in number. Among these, the following terms are often used in textbook : power, motion, speed, mass, temperature, work, heat, elecmc current, charge, wave, atomic nucleus, etc. When we examine frequency distribution of physical terms in each textbook of high school, we have find out following facts ; force and motion : 21.5%, heat and energy : 18.38, elecmc and magnetic : 26.9%, wave and particle : 33.3% Therefore, the unit using physical terms most ofen is wave and particl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ome units, such as force and motion, energy and heat, electric and magnetic, have close correlation of contents. One the other hand, unit of wave and particle doesn't.

      • KCI등재

        기녀시조에 형상화된 절의와 언어적 인식

        고승관 한국시조학회 2020 시조학논총 Vol.52 No.-

        Through exchanges with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people save meanings in language, deliver these meanings to others, and express momentary feelings using many linguistic forms. The language at this time does not refer to the language of a certain country or ethnic group, but instead pays attention to the interactiv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language as a universal medium and semantic delivery through human thinking. Likewise, all of the natural landscape, artificial structure, and social space shown in Ginyeo Sijo compose the semantic network of concepts or ideas that were aimed to be expressed by writers; they did so by forming a semantic structure through the reflection of Ginyeos’ cultural background and social environment of the time. Applying the perspective above to the genre of Sijo, in particular Ginyeo Sijo, it is possible to fully infer that the social environment surrounding Ginyeos in the Joseon Dynasty was concretely expressed as a semantic being in the literatur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socio-hierarchical characteristics and divisions shown in Ginyeo Sijo not only have existential meanings, but also maintain an organic relationship by working as important elements forming an overall semantic network of literary work entitled Ginyeo Sijo. In particular, the meanings in literary work formed by the cultural background surrounding the social class of Ginyeos do not simply have an existential meaning of an object, but represent a literary value or ideology as semantic beings. The concept of “fidelity” as used in this thesis is based on the thinking, cultural background, and social background of Ginyeos as a special class of the time, and their roles and position as female members of society. Therefore, this thesis attends to the fact that the language and thinking, language and meaning, language and ideas, cultural background, and semantic beings were represented as images in the literary genre of Ginyeo Sijo. In such literary works, Ginyeos thought of “fidelity” as an ideology through metaphorical symbolism, and they eventually perceived it as “something beautiful” through literary symbolization. 인간은 주변 환경과의 교융을 통해 의미를 언어에 저장하고 또 타인에게 전달하며 순간의 감정을 여러 언어형식으로 표현한다. 이때의 언어는 어떤 국가나 민족의 언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라고 하는 보편적 매개체와 인간 사고를 통한 의미전달과의 상호작용의 관계를 주목한다. 마찬가지로 기녀시조에 등장하는 산수경물이나 인공건조물, 그리고 사회적 공간 등이 모두 기녀의 문화적 배경과 당시 사회적 환경의 반영에 의한 의미구조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관념을 의미망으로 구성한다. 이상의 관점을 시조장르 특히 기녀시조에 적용해 보면 조선조 시대 기녀를 둘러싼 사회적 환경이 구체적으로 문학 안에 의미존재로서 형상화되어 있음을 충분히 유추해 볼 수 있다. 기녀시조에 등장하는 인간관계나 사회계층적 특징과 구분 등은 단순한 존재적 의미로서만이 아니라 기녀시조라는 문학작품의 전체적 의미망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들로 작용하며 유기적 관계를 유지한다. 특히 기녀라는 신분계층을 둘러싼 문화적 배경에 의하여 생성된 문학작품에서의 의미는 단순히 대상의 존재적 의미가 아니라 오히려 의미존재로서 문예적 가치를 혹은 이념을 표상한다. 이 논문에서 다룬 ‘절의(節義)’라는 관념은 당시 기녀라는 특수계층의 사고와 문화적 배경, 사회적 환경, 그리고 여성이라는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위치 등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언어와 사고 그리고 언어와 의미, 언어와 관념, 문화적 배경과 의미존재 등이 기녀시조라는 문학 장르 속에서 의상화(意像化)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문학작품에서 기녀들이 ‘절의’를 은유적 상징을 통해 이념으로 사유하였으며 문학적 상징화를 거쳐 궁극적으로는 ‘아름다운(美) 것’으로 인식하였음을 밝혔다.

      • KCI등재

        노계(蘆溪) 시가의 전원락(田園樂)과 농민문학적 특성- 「누항사」를 중심으로 -

        고승관 배달말학회 2023 배달말 Vol.73 No.-

        This study studies Nogye's poetry from a current affairs perspective that provides insight into the history of the time, and examines that Nogye had the consciousness of a writer representing the peasant class. Existing studies on Nogye's poetry viewed Nogye's poetry as literature of the nobility and gentry class and attempted to analyze it in terms of the gentry's world view or view of poetry. But Nogye's poetry well embodies the oppression, dissatisfaction, and class disadvantage of farmers resulting from the national disaster at the time. In addition, the hardships and difficult sufferings of farmers and rural life as grassroots citizens due to economic alienation and the pain of farmers, who had to bear most of the actual damage after the war, are expressed in a straightforward manner. Nogye's poetry is not only set in rural areas, but it can be said to be a very realistic type of peasant literature in that it literary expresses the real life difficulties and agricultural life of the marginalized class of farmers living in rural areas. This point can be said to have opened up a unique and traditional area of ​​realist peasant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at it has farmers as its theme, even when compared to literature on the urban poor, such as ‘bincheo’ in the 1920s. 이 연구는 노계 시가를 당시의 역사를 알 수 있는 시사(詩史)적 측면에서 연구하고, 노계가 농민계층을 대변하는 작가의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살펴본 것이다. 노계 시가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노계의 시가를 양반사대부 계층의 문학으로 보고 사대부들의 세계관이나 시가관으로 분석하려 하였다. 그러나 노계 시가는 당시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오는 농민들의 억압과 불만, 계층적 불리함을 잘 형상화하고 있다. 그리고 전쟁 후 대부분의 현실적 피해를 감당하게 된 농민의 고통과 경제적 소외로 인한 기층민으로서의 농민과 농촌생활의 고난과 험난한 고통을 직설적 화법으로 표현하고 있다. 노계 시가는 농촌을 배경으로 했을 뿐만 아니라, 농촌에서 살아가는 농민이라는 소외된 계층의 현실 생활의 어려움이나 농경 생활을 문학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면에서 대단히 사실주의적 계통의 농민문학이라고 할 것이다. 이 점은 1920년대 「빈처」와 같은 도시빈민을 주제로 한 문학과 비교해 볼 때도 농민을 주제로 하였다는 점에서 우리 문학사에서 고유하고 전통적인 사실주의적 농민문학의 영역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고시조에 형상화된 여성상과 그 변용

        고승관(Ko, Seung-Gwan) 한국시조학회 2019 시조학논총 Vol.50 No.-

        이 연구는 고시조에 나타난 여성상의 전형(典型)을 세 가지로 특징지어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시조에 형상화된 여성상의 문학사적(文學史的) 함의(含意)를 시대적 변용의 맥락 속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유가적(儒家的) 이념을 실천하는 여성상과 인륜세정(人倫世情)의 확산이다. 이현보(李賢輔)의 어머니 권씨(權氏)의 시조에서는 자식의 교육이라는 가치를 생활화하는 여성상의 일면을 볼 수 있었고, 노진(盧禛)의 어머니 정부인(貞夫人) 권씨(權氏)의 시조에서는 효(孝)와 충의(忠義)라는 유가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는 여성상을 발견해 볼 수 있었다. 둘째, 절의(節義)로 대표되는 연정(戀情)과 사랑의 불변성을 노래하는 서정(敍情)의 탐미(耽美)이다. 기녀들은 사대부와의 사랑에 있어서 사랑의 불변성을 절의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런 기녀들의 태도에 신분을 초월하는 찬사와 격려가 있었음을 홍랑과 최경창의 시조에서 찾아보았다. 또한 이 개성적 연정은 유교적 이념인 윤리세정(倫理世情)의 변용(變容)이요 기녀라고 하는 특수계층의 또 다른 서정적 탐미라고 할 것이다. 셋째, 기녀시조(妓女時調)의 절의정신(節義精神)은 절의파(節義波)의 도통(道統)이라는 조선조 유학의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다. 조선조 기녀와 지식계층의 교류 양상을 분석해보았을 때, 조선의 성리학적 가치관은 기녀 시조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곧 임에 대한 불변의 사랑과 절의정신은 절의파의 도통이라는 사회적 맥락을 그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고도 할 수 있다. 넷째, 능동적 존재 의미를 자각하는 근대적 현실인식이다. 조선 후기 사설시조 속 여성화자의 사랑은 한 사람에 대한 절의와 불변을 노래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 상황에 따라 변하는 선택적 사랑으로 인식되었다. 이들의 시조에서 화자는 신분이 낮음에도 자신이 사랑하는 상대를 선택하고 거부할 수 있는 대등한 위치의 존재로 인식하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자신의 존재 의미를 자각하는 적극적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사설시조(辭說時調)에서는 남녀의 애정과 가족관계 혹은 사회계층적 질서에 있어 새로운 변화를 시도해 나가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이와 병행하여 여성의 삶에도 직접적 변화가 일어났으니, 현실인식을 통한 본성의 발휘와 인간관계의 변혁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충실한 여성상의 변용을 초래하였다. This study was done by characterizing the epitome of a female image reflected in an gosijo as three elements. Based on this, the implication of the female image featured in sijo on the literature history was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changes in eras.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an image of women who practiced the Confucian ideology and human affection spread. In sijo of Mrs. Kwon, a mother of Lee Hyeon-bo, an image of a woman who valued the education for children is revealed, and in sijo of Mrs. Kwon, a mother of No Jin, an image of a woman embracing Confucian values of filial piety and loyalty can be found. Second, the aesthetics of romanticism represented by fidelity and the lyricism expressing an unchangeability of love. Ginyeo often expressed their constant love for a nobleman as fidelity, and a praise and encouragement of overcoming a difference in social standing in the attitude of ginyeo can be found in sijo of Hong Lang and Choi Gyeong-Chang. Also, this characteristic romanticism can be seen as a transformation of the ethics in Confucian ideology and another form of lyrical aesthetics within ginyeo, the unique class of the society. Third, fidelity shown in ginyeo"s sijo can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Confucianism, especially in Do Tong from a loyalty faction in the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e pattern of exchanges in ginyeo and intellectuals, it is assumed that neo-Confucianism values had a profound impact on sijo of ginyeo in the Joseon dynasty. So it implies that the unchangeable love for a lover and fidelity is based on the social context of Do Tong from the loyalty faction. Fourth, the modern way of understanding realities and meanings of active beings. Their love was recognized as a flexible one that might be changed over the realistic circumstances, rather than fidelity and unchangeability for one person. Poetic narrators in their sijo show an attitude of recognizing themselves as an equal being who can choose or reject lovers despite the low social standing and reveal their activeness through a self-awareness of their own existential meanings. In a form of sijo with no restrictions on the length of the first two verses, an attempt to change the concept of love between men and women, family relationship, or social class order is reflected. In addition, there had been direct changes in the lives of women, and it led to the transformation of images of women who were eager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including the display of their own nature through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changes in human relations.

      • KCI등재

        聾巖李賢輔山水詩의 山水樂과 意境

        고승관(Ko, Seung-Gwan) 한국시조학회 2018 시조학논총 Vol.48 No.-

        이 글은 농암시가(聾巖詩歌)가 산수문학(山水文學)의 전형적(典型的) 작품(作品)으로 문화사적(文化史的) 원형(原型)을 이루었다는 점을 중심으로 농암시가의 산수문학적(山水文學的) 접근(接近)과 해석(解析)을 통해 그의 시가에 내재된 의경(意境)을 파악하고 산수락(山水樂)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치사귀은(致仕歸隱)의 성격과 분천(汾川) 농암(聾巖)바위에서의 유상(遊賞)의 양상을 살피고, 경세학적(經世學的) 실천유학(實踐儒學)의 실현으로서의 도덕실천(道德實踐)과 구로회(九老會)를 중심으로 한 영남사림(嶺南士林)과의 활발한 교류 양상을 살폈다. 그리고 농암의 어부가(漁父歌)에 내재된 고의전승적(古意傳承的) 성격과 독창적(獨創的) 서경(叙景)의 전형제시(典型提示)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농암시가에 내재된 산수락(山水樂)을 설명하였다. 첫째, 산수미(山水美)의 발견(發見)과 긍정적(肯定的) 서정(叙情) 영역의 확장이다. 농암은 반세기에 가까운 관리생활을 순탄히 마치고 스스로의 의지로 치사귀은(致仕歸隱)하여 산수를 즐기며 노년의 삶을 개척하였다. 이는 농암이 산수미를 발견하고 긍정적 서정을 확장할 수 있었던 심리적 환경이 되었다. 둘째, 치사귀은(致仕歸隱) 후 농암은 산수유상(山水遊賞)을 통한 현실초탈의 초연한 심경과 산수락을 농암(聾巖)바위와 점석(簟石)을 통해 정신화하였다. 이를 통해 산수경물의 의경(意境)을 내면화하고 객관적 사물과 주관적 가치를 융합하여 정신적 시경(詩境)을 개척하여 산수경물의 상호교융을 통한 의경의 형상화를 시도하였다. 셋째, 자족(自足)의 심경(心境)과 분천가단(汾川歌壇)의 형성(形成)이다. 농암의 부귀(富貴)와 공명(功名)을 동반한 장수(長壽)의 삶은 그에게 생의 목표를 분명히 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였고, 그의 시가가 인생의 여유로움과 통찰, 그리고 자족(自足)의 심경(心境)을 노래하게 되는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농암은 영남사림과의 교류를 통해 분천유상(汾川遊賞)의 감정을 공유하게 되니 이를 분천가단(汾川歌壇)이라고 하였다. 넷째, 체험적 서정의 형상화를 통한 산수의경(山水意境)의 전형제시(典型提示)이다. 「어부가(漁父歌)」에 형상화 된 산수락(山水樂)은 현실적이며 즉 물적인 유가적(儒家的) 성격(性格)의 산수락이니, 농암은 고의전승(古意傳承)을 통해 그 참된 의미를 깨닫고 체험적 실천을 통해 독창적 서경을 형상화 하였다. 또한 유교적 이념이 반영된 자연친화적 산수락은 퇴계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고산에게까지 이어져 유가적(儒家的) 가어옹(假漁翁)의 전형(典型)을 제시(提示)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underlying poetic concept and define features of love for nature in Nongam(聾巖)’s poems through expla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nature lover. It’s believed that Nongam’s works are typical literature describing love for nature. This study examined features of politics’ life in seclusion and mellow time on the Jeomseok(簟石) flat rock in Buncheon(汾川) village. This study also examined practical morality as practical confucianism of politics and active exchange between the Gurohoe(九老會) and the confucian scholar group in Yeongnam region. Transmission of old philosophy and creative description of nature underlain in Nongam’s Eobuga were researched and love for nature in his poems were explained. First, beauty of nature was more discovered by Nongam and positive feeling was expanded. Nongam had retired from work as an official worker before he voluntarily decided to live in seclusion to enjoy the nature and pioneered his later life. This provided the psychological surrounding where he could discovered the beauty of nature and expand positive feeling. Second, Nongam sublimated the transcendence of reality and love for nature through Nongam rock and Jeomseok flat rock after he began to live in seclusion. By doing that, he tried to shape poetic concept of mountains and streams through interchange of natural objects by internalizing poetic concept of nature, fusing objective matters and subjective value and pioneering the mental poetic landscape. Third, self-sufficiency was developed and Buncheon(汾川) poem circle was formed. His wealthy and honorable long life offered opportunities to set up life goals and to write his poems that describe relaxed life, insight and self-sufficiency to him. Nongam shared the feeling of mellow time in Buncheon (汾川) with the confucian scholar group in Yeongnam region. The poem group was called Buncheon(汾川) poem circle. Fourth, Nongam tried to show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in his life as a governor. He was categorized into the politics-focused early confucian scholar group. After he retired, he fulfilled the life of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through Aeildang(愛日堂) detached house and Gurohoe(九老會). The active exchange with the confucian scholar group in Yeongnam region was significant literature activity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ifth, Nongam’s poems suggested prototype of poetic concept about nature by shaping up experiential feeling. Love for nature in Eobuga(漁父歌) is realistic, practical and confucian. He realized real meaning of the love by transmission to next generations and formed creative poetic landscape by action. His love for nature that confucianism ideology reflected on largely influenced Teogye and Gosan and suggested prototype of confucianism based secluded life.

      • KCI등재

        회재의 「임거십오영」과 노계의 「입암이십구곡」에 나타난 원림의 명명과 상징미학

        고승관(Ko, Seung-Gwan) 한국시조학회 2021 시조학논총 Vol.55 No.-

        이 논문은 조선시대 창작된 대표적인 원림문학 중 한시(漢詩) 갈래의 회재 「임거십오영」과 시조 갈래의 노계 「입암이십구곡」속 원림 구성물 명칭의 상징성을 파악함으로써, 작품에 함유된 유학적 내용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은 귀거래 이후 중심이 되는 생활공간으로 서원이나 누각 등을 세우고 주변 산수와 어울리는 산수원림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이상과 가치관에 따라 각각의 산수경물이나 누각·사우·별서 등 원림 구성물을 명명함으로써 자신들의 사상과 미의식을 상징적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이처럼 조선시대 산수원림은 단순한 지리적 공간이 아니라 작가의 문화공간으로 변용되고 있었다. 둘째, 회재의 「임거십오영」에 나타난 원림 구성물인 계정과 독락당은 유학적인 대자연의 원리와 수기의 즐거움을 상징하였으며, 독락이라는 역사적 의의가 더 보태어진 미적 의경을 형성하였다. 셋째, 노계의 「입암이십구곡」에 나타난 원림 구성물 명칭은 학자적 삶과 학문에 대한 동경을 상징하고 있었다. 노계는 입압 원림의 구성물 명칭을 통해 성리학적 의식을 공유하면서도, 실천윤리로서 자신의 삶과 미래에 대한 지향점을 노래하였다. This thesis examines the Confucian content in the works by grasping the symbolism of the name of the Wonrim composition in "Imgeosipohyoung" of the Hansi branch, among the representative Wonrim literature cre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Nogye "Ipamisipgugok" of the Sijo branch.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eo-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built a Seowon or Nugak as the central living space after the return of trade and constructed a landscape garden that matched the surrounding landscape. Further, they expressed their thoughts and sense of beauty in symbolic images by naming each Wonrim composition, such as a landscape painting or Nugak, Sau, Byeolseo, according to their ideals and value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landscape garden was transformed from a simple geographical space into a cultural space for the artist. Second, Gyejeong and Dokrakdang, the elements of Wonrim shown in Hoejae"s "Imgeosipohyoung", symbolized the Confucian principles of Mother Nature and the joy of writing, and formed an aesthetic medical scene enriched by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Dokrak. Third, the name of the Wonrim composition in Nogye"s "Ipamisipgugok" symbolized academic life and the longing for learning. Nogye shared the Neo-Confucian consciousness through the names of the components of Ipam Wonrim, while she sang of the practical direction and goal for her future.

      • KCI등재

        권호문(權好文) 시가(詩歌)에 형상화된 독악(獨樂)과 처사문학(處士文學)

        고승관 ( Ko Seung-gwa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8 퇴계학논총 Vol.32 No.-

        松巖 權好文(1532∼1587)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 嶺南士林이며 退溪學派의 정통성과 學脈을 계승하였다. 조선 초기 經世學위주의 儒學이 士林派를 통하여 점차 실천철학적 윤리적 규범을 더욱 강조하게 되면서, 『小學』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이것은 학문의 진리를 생활 속에서 실천을 통하여 증명하고 人格修養의 기본으로 삼고자 한 道學的 학풍으로 계승되었다. 이와 같은 성리학의 理論哲學과 實踐哲學의 兩面은 분리될 수 없는 士林의 이념이었으며 道學의 기본을 형성하는 학문적 기반이었다. 그런데 송암과 같이 과거를 통한 관리로서의 經國濟民의 이상을 접고, 오로지 산수에 은거하여 이론철학으로서 성리학적 진리를 생활 속의 실천을 통하여 실현하고자 한 사림계층은, 비록 정치적 관심을 버리지는 못하였을지라도 그 산수은거의 목적을 性理學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적 가치의 구현을 이념으로 삼았으니 이들을 일컬어 處士階層이라 하였다. 조선조 대표적인 처사 중 한 명인 송암은 구체적으로 자신의 산수생활을 閑居라고 하였다. 한거는 공간적 의미로는 隱居이면서 內面的의미는 정치적 삶에서 벗어난 산수생활이라 할 수 있다. 송암은 이 無悶齋 閑居를 통한 感情的 孤獨을 理性的 認識을 통해 자아성찰의 가치실현으로 전환하였다. 곧 현실 초탈적 시적 서경으로서 고독의 시경을 개척하였다고 할 것이니, 獨樂의 詩境이 여기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Song-am Kwon Ho-moon lived a practical life of Confucianism living with nature in Muminjae, realized the principle in living with nature and attained the perfection of moral through the nature union, and proposed typical treatments. Therefore, Songam accumulated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Sansuyusang and a poet who symbolized it in his work. We thus studied poetic boundary and aesthetic representation of Hangeo and dokrak in Kwon Ho-moon's poetry from Sansu aesthetic point of view. First, Songam's Hangeo is the recovery of self-reflective life rejecting the state of overbearing, and the practice of moral. He said that Hangeo is to experience the pleasure of seeking after moral in nature, and emphasized practical discipline in real life rejecting the state of overbearing for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Second, Songam's Sansueungeo is the greatest conversion of life, the firm commitment to a new life, and the execution of resolution. As Songam tried to keep his life as a Confucian scholar, he was trying to set a new goal of life and find a new direction. Third, Song-am escaped from the realistic goal of Imperial examination, was aware of Daeah consciousness, and pioneered a new spiritual boundary through self-reflection. Fourth, due to Songam's emotional loneliness of failure of Imperial examination, he pioneered the realm of real-world lyricism by combing with the feelings of Sansuchinhwa through living in Muminjae. He could realize the value of self-reflection by rational awareness in emotional loneliness through psychological awareness in living Muminjae. It will be said that he pioneered lone lyricism as poetic lyricism transcending reality, and the lyricism of Hangeo and Dokrak is included. Fifth, Songam's poetry symbolized the pleasure of realizing Daea consciousness by rational awareness. Therefore, the pleasure originated from the loneliness of Songam's poetry is not merely physical pleasure but the pleasure from the moment of enlightenment by recognition of the self - consciousness derived from the practice of moral. In short, Songam regarded the garden forest, which is called Muminjae, as an aesthetic object and symbolized its beauty in the art form of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