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 치료제로서 렘데시비르의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한 문헌고찰

        고민정(Minjeong Ko),김유리(Youree Kim),민진기(Jingi Min),박민정(Minjeong Park),윤소정(So-Jung Yoon),최성아(Seong-A Choe),유봉규(Bong Kyu Yoo) 대한약학회 2021 약학회지 Vol.65 No.2

        Remdesivir is a nucleotide analog that demonstrates antiviral activity by decreasing viral RNA production inside the host cells. In this literature review, we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emdesivir in the treatment of COVID-19. A total of 168 articles were identified in the Pubmed and Embase databases. Six clinical trial articles (two placebo-controlled and four open-labeled) and two re-analysis articles were selected for this review. Evaluation of efficacy in the two placebo-controlled prospective trials showed contradictory results. However, re-analysis of the clinical trials revealed that remdesivir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treating moderately severe COVID-19, while it failed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the critically ill patient subgroup, requiring invasive mechanical ventilation. To treat moderately severe COVID-19 disease, a 5-day treatment is recommended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5-day and 10-day regimens. Severe adverse events were more frequently reported in the placebo group than in the remdesivir group because adequate COVID-19 treatment was not provided to the placebo group. Although remdesivir is a single option in the treatment of COVID-19 currently, clinicians should be aware of the risk of possible fatal side effects that have not yet been reported.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establish the efficacy and safety of remdesivir in the treatment of COVID-19.

      • 인간 타액으로부터 농축된 엑소좀의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연구

        고민정 ( Minjeong Ko ),박상휘 ( Sanghwi Park ),황효진 ( Hyojin Hwang ),김정권 ( Jeongkwon Kim )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2022 충남과학연구지 Vol.39 No.1

        Exosomes were isolated from human saliva using ExoQuick, PEG 8,000, and PEG 10,000, and the degree of exosome enrichment was confirmed using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SEC). All of the three enrichment methods showed enrichment of exosomes based on the comparison of SEC chromatograms, where the ExoQuick method demonstrated the most efficient enrichment followed by PEG 10,000 and PEG 8,000.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코로나 19 전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리뷰 비교분석 연구 – 정서 중심 대처와 노스탤지어를 중심으로

        고민정(Minjeong Ko),이상원(Sangw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본 연구에서는 팬데믹 전후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이용자들의 리뷰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코로나 19 시대를 살아가는 소비자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코로나 19 이후 통제감 상실이 회피 동기의 발현으로 이어져 정서 중심 대처 수단으로써의 OTT 서비스 이용과 노스탤지어를 해소해주는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이를 텍스트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먼저 블로그 제목 분석결과, 코로나 19 이후 넷플릭스 경쟁사에 대한 언급이 줄었으며, 국내 콘텐츠에 대한 소개와 회피-거부 전략으로써의 OTT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였다. 이어 블로그 본문 분석결과, OTT 서비스의 실용적인 장점을 중요시한 코로나 19 전과는 달리 코로나 19 이후 콘텐츠의 분위기, 감정, 대사에 초점을 두었으며 코미디와 로맨스 장르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또한, 코로나 19 이전의 현실을 잘 표현한 일상 콘텐츠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처음으로 살펴본 연구로써 코로나 시대의 OTT 서비스 이용자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OTT 서비스 시장에 실무적 제언을 제시함으로써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 behavior during the COVID-19 by comparing blog reviews of an over-the-top (OTT) online video service from before and during the pandemic. We anticipate that the COVID-19 outbreak prompts the use of the OTT service as part of an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derived from the loss of personal control and the subsequent avoidance motivation. We also posit that a strong yearning for life before COVID-19 will increase interest in the content that fulfills a need for nostalgia. Our analysis of Netflix reviews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f the effects of an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and nostalgia on OTT service usage. First, the titles of the reviews posted during COVID-19 indicate that consumers were less likely to mention OTT services other than Netflix, more interested in domestic content, and used OTT services as an avoidance-denial strategy. Second, the blog content demonstrates that while pre-COVID reviews tend to focus on the practical benefits of OTT services, those posted during the pandemic focus on mood, emotions, and dialogue. In addition, interest in comedy and romance genres increased during COVID-19. Third, we identified a greater preference for realistic or everyday content that depicted the pre-pandemic era. This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VID-19 on video streaming usage in Korea. In addition,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field of marketing by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online video service users during COVID-19 and identifi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OTT services in the midst of a pandemic.

      • KCI등재

        제주개의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

        고민정(Minjeong Ko),권슬기(Seulgi Kwon),김혜란(Hye-Ran Kim),변재현(Jae-Hyun Byun),김대철(Dae-Cheol Kim),최봉환(Bong-Hwan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6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토종견인 제주개의 보존·보호를 위해 그에 대한 유전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개 7품종 (제주개, 동경개, 독일 세퍼트, 진도개, 라브라도 레트리버, 풍산개, 삽살개)에 대해 총 139두와 microsatellite 마커 16종을 이용하여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6종의 marker에서 131개의 대립유전자 좌위를 확인하였고, 이 중 FH3381에서 18개의 가장 많은 대립유전자형이 확인되었으며 FH2834는 대립유전자형이 2개로 가장 적게 확인되었다. 또한, 마커별 기대되는 이형접합도의 전체적 평균치를 보았을 때 기대이형접합도와 관측이형접합도가 외래견보다 토종개가 높게 나타났고 PIC값은 0.000부터 0.862로 확인되었다. 제주개와 다른 품종 간의 계통수를 분석한 결과 삽살개와 94%로 가장 가까운 것으로 확인 되었다. 제주개와 다른 품종들 간의 유전적 거리를 확인한 결과 삽살개가 0.393으로 가장 가깝게 나타났고 토종개 중에서는 동경개와의 거리가 0.507로 가장 먼 것으로 나타났다. 개체별의 분포도를 살펴보면 제주개는 레트리버, 삽살개와 같은 그룹 내에 존재하였고 풍산개, 동경개, 진도개, 셰퍼트가 같은 그룹 내에 존재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된 유전적 특성 정보들은 제주개의 유전적 특성 연구에 이용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Jeju dog for preservation and protection. A total of 139 dogs from 7 dog breeds, including the Jeju dog, were genotyped using 16 microsatellite markers. The results revealed 2-18 alleles per locus, with a total of 131 alleles among the 16 markers. Most alleles were identified for FH3381, which had 18 alleles, whereas FH2834 had the fewest alleles, with just 2. When the total mean value was observed, the expected heterozygosity and observed heterozygosity were higher for than for outgroup dogs, and the PIC values ranged from 0.000 to 0.862, respectively. The phylogenetic tree analysis of the Jeju dog and other dog varieties revealed that the Jeju dog is closest to the Sapsal dog (0.393). The phylogeny between the Jeju and Korean domestic dogs showed that the Jeju dog is most distant from the Dongkyung dog (0.507). Looking at the distribution individually, the Jeju dog is in the same group as the Labrador Retriever and the Sapsal dog. Meanwhile, the Poongsan, Dongkyung, and Jindo dogs and the German Shepherd were in the same group. Genetic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tudy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Jeju dog.

      • KCI등재

        콘텐츠명의 개념적 유창성이 콘텐츠 호감에 미치는 효과 : 정보처리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민정(Minjeong Ko),이루리(Luri Lee),김규리(Quri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9

        국내 콘텐츠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왔다. 이에 더해 코로나 19를 기점으로 콘텐츠 소비량이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콘텐츠 관련 소비자 행동에 대한 심층적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핵심요인으로서 콘텐츠명에 주목하였다. 콘텐츠명의 개념적 유창성(conceptual fluency)이 콘텐츠에 대한 호감도(liking)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또한 소비자의 정보처리성향(언어적 vs. 시각적)을 조절변수로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개념적 유창성이 높을 때 소비자는 콘텐츠에 대해 더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소비자의 언어적 정보처리성향과 콘텐츠명의 개념적 유창성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호감도를 높이는 전략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특히, 정보처리성향이라는 소비자 특성 변수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 The domestic content market has grown continuously. Furthermore, content consumption has rapidly increased in the COVID-19 era.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consumer behavior related to content business. This study focuses on content names as a key factor that induces consumers interest in the content. In particular, this research examines if the conceptual fluency of the content name affects consumers liking for the content. In addition, it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 of style of information processing (verbalizer vs. visualizer).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shows that the conceptual fluency on the content name is positively influential for liking content.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verbalizers and conceptual fluency on content name. This study has important findings in terms of content marketing strategies. Above all, it has strong points because this research examines the style of information processing as an important consumer characteristic variabl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서로 다른 두 개의 LCD에서의 CIE 색도 불일치 - 메타메리즘 현상을 중심으로

        고민정(Ko, Minjeong),곽영신(Kwak, Youngshin) 한국색채학회 202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7 No.1

        Recently, various studies have observed the phenomenon that the two colors having the same CIE 1931 XYZ tristimulus values on two different displays are perceived as different colors. This study conducted a color matching experiment at a 4° viewing angle using two LCD displays with different spectral characteristics followed. Participants performed three color matching experiments: two adjustment methods and one color selectio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re was an observer variability of 2.78±1.96 △E<SUB>00</SUB>, it was confirmed that the CIE colorimetric mismatch magnitude was approximately twice as large as the observer variability magnitude; 5.49±2.27 △E<SUB>00</SUB>. Based on the color matching experiment results, the color appearance experiment which evaluates hue and color difference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ults of the color matching experiment and the color appearance experiment were consistent. For the colors matched by each individual,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colors were neutral colors which felt a little or no hue, and the color difference with the reference stimulus was low. This study confirmed that CIE 1931 color matching function failed to explain the color matching results, and research on new color matching functions considering huma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s needed.

      • 컴포넌트 기반 WAP 응용 자동 생성기의 구현

        고민정(Minjeong Ko),강이지(Izzy Kang),이성혜(Sunghye Lee),박은희(Eunhee Park),음두헌(Doohun Eum)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Ⅱ

        모바일 기반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성장해 2004년 아시아 시장에서는 8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급증하는 모바일 전자 상거래의 수요에 맞게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WAP 응용의 생산성 향상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WAPSiteGen은 데이터베이스부터 구축해야 하는 WAP 응용과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WAP 응용의 신속한 작성을 위해, 무선 응용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WML 데크들과 함께 이 데크를 구성하는 카드를 통해 이뤄질 질의를 처리하는 JSP 웹 컴포넌트 및 EJB 컴포넌트들을 자동 생성하여 WAP 응용의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는 도구이다. WAPSiteGen은 EJB 및 JSP 컴포넌트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3-계층 구조를 갖는 WAP 응용의 확장성, 재사용성, 이식성 등을 향상시킨다. 또한, 비슷한 기능을 지원하는 타 상용 도구들과 달리 WAPSiteGen이 생성하는 응용은 질의의 대상인 개체와 이 개체와 연관된 모든 개체들의 집합을 한 단위로 검색 할 수 있어 연관된 정보들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