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Z세대 미디어 활용 및 음악 소비 실태 분석을 통한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고대희,오지향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4 교과교육학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Z세대의 미디어 활용 실태와 음악소비 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음악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것이다. Z세대의 개념과 미디어 활용 특성 및 음악 소비행태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Z세대 고등학생 123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 하는 Z세대의 소통방식, 학습 경험 및 선호도를 학습 과정의 중심에 두고 학생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Z세대의 미디어 활동실태를 분석한 결과, 소셜 미디어를 음악교육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셋째, Z세대가 대중음악이나 대중 문화를 받아들이고 활용하는 현상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참여하고 몰입할 수 있는 학습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 넷째, 온라인 협업 도구를 통한 그룹 프로젝트나 토론을 장려하는 협력적 학습형태를 통해 Z세대의 개인화된 학습 경험이나 개인화 과정을 완충하고 조정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Z세대 혹은 미래 세대 학습자의 세대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체계적으로 하고자하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며 음악교육에서도 세대적 특성을 연계한 음악교육방법에 대한 다각도의 논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 usage and music consumption status of Gen Z,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A survey was conducted on 123 high school students from Gen Z, and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prioritizes the communication methods, learning experiences and preferences of the highly media-savvy Gen Z to maximize their potential. Second, an analysis of Gen Z’s media activities revealed that social media can be actively utilized in music education. Third, considering how Gen Z embraces popular music and culture, it is essential to apply learning methods that engage and immerse students. Fourth, collaborative learning formats that encourage group project and discussion through online collaborative tools can buffer and adjust the personalized learning experiences of Gen Z.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ongoing efforts to systematically ground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Gen Z or futures generations of learners, and confirms the necessity for a multifaced discussion on music educaton methods linked to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 메주 製造過程에 關聯된 Phytase 生産 菌株에 關한 硏究

        高大熙 서강정보대학 1992 論文集 Vol.11 No.-

        Three strains among 14 isolates from the feremented maeju were shown the strong phytase productivities. The phytase acticities in manufacturing maeju with these mold were maximized after incubating at 30℃, pH 6.0 for 5 day. The contents of same amino acids was increased in maeju manufactured with these phytase-producing mold and the rate of phytic acid degradation was much higher in maeju manufactured with a single or mixed cultures of these mold than in traditional maeju.

      • 유기산으로 처리한 냉장 닭고기의 이화학적 변화

        고대희,서석봉 서강전문대학 2001 산업과학연구 Vol.3 No.-

        Physicochemical evaluations of chicken treated with acetic acid (AA), lactic acid (LA), and citric acid (CA) during storage at 4℃ were studied. Chicken treated with 1%(v/v) AA, 1% LA(v/v) or 1% CA(v/v) for 5-10 min had a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pH compared to those of controls for storage of 12 days at 4℃. Treatments of acidulants for 5-10 min increased Hunter color L* values and decreased Hunter color b* values compared to the controls. Appearance scoress of chicken treated with 1%(v/v) AA, 1% LA(v/v) or 1% CA(v/v) for 5 min were a similar to the controls during storage for 8 days at 4℃.

      • 錄豆 發芽 중 窒素와 無機成分의 變化에 關한 硏究

        高大熙 서강정보대학 1981 論文集 Vol.2 N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certain the changes of all nitrogen and component of mineral during the mung-bean sprout. The mung bean was grown in the water by the following two methods : water culture (Control), ash culture (Ash). The mung-bean sprouts was sampled at 24 hours, 72 hours and 120 hours after the germin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ll nitrogen increased during 24 hours sprout and after 72 hours it was more increased in cotyledon than in hypocotyl. But it gradually moved in hypocotyl in large quantities as growth time goes by. 2. The content of H₃PO₄, Ca, Fe, Cu, Zn, K was high in hypocotyl than in cotyledon. 3. The content of Mn, Mg was high in cotyledon than in hypocotyl.

      • KCI우수등재

        Van Genuchten 모델을 활용한 간척지의 토양수분변화 분석

        고대희,손재권,이기성,김정균,송재도,박영준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2 No.4

        The laboratory model test was conducted by dividing domestic reclaimed tideland into Sandy Loam (SL) and Silt Clay Loam (SiCL) to estimate soilmoisture change and water supply according to soil characteristic when establishing irrigation plan for reclaimed tideland upland crop. In addition, theapplicability of each scenario was verified using Van Genuchten model,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mathematical model for analyzing soil moisturecharacteristics of reclaimed tideland uplands crops. The required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target soil moisture tension by reclaimed tideland is asfollow. In the case of SL, soil depths of 0∼10 cm, 10∼20 cm were analyzed as 19 mm, 35 mm to reach the field capacity, and SiCL, 33 mm, 63mm. The required water supply of SiCL was higher than that of SL. The study compared the simulation results from the scenarios of Van Genuchenmodel and the measured results from the laboratory model test based on according to the reclaimed tidelands. In the case of parameter, θs, θr, α, ηwere analyzed 0.55, 0.18, 0.064, 1.74 in SL and 0.46, 0.22, 0.105, 1.92 in SiCL. In terms of soil characteristics, SL with better water permeabilitywas found to have higher applicability than SiCL. By Soil depth, applicability was found in 0∼10 cm directly affected by water supply.

      • KCI등재

        대마(Cannabis sativa L.) 씨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고대희 한국식품영양학회 199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 No.2

        This investigation o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of hempseed through gas -chromatography analysis found the follwing results. Myristic acid and other ten materials were detected. And there was mainly composed of myristic acid 29.4%, palmitoleic acid 16.2%, linoleic acid 14.9%, oleic acid 12.4%. It also showed that heptadecanoic acid 10.8%, erucic acid 0.5%, docosahexaenoic acid 0.3% and essential fatty acid were contained 17.9% between them. As stearic acid, docosahexaenoic acid, lin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made lower cholesterol level in body, they will help prevention of senile disease with the oil of hemp seed.

      • 새만금 간척지에서 강우발생에 따른 암거처리 효과분석

        고대희 ( Daehee Ko ),손재권 ( Jaegwon Son ),송재도 ( Jaedo Song ),장태일 ( Taeil Jang ),박영준 ( Youngjun Park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우리나라 농업용으로 활용 가능한 국가소유 간척지는 준공 후 미처분 간척지 13천ha, 시행중인 농업용 간척지 17천ha등 총 30천ha로서 이에 대한 활용 방안 제시가 필요하다(한국 농어촌공사, 2017). 최근 국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2014년 65.1kg에서 2018년 61.0kg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며, 쌀 재고량의 계속적인 증가로 인해 간척지에서 쌀 생산은 고소득 밭작물 재배 등 타 작목으로 전환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신규로 조성되는 간척지를 대상으로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밭작물 우선 재배 농정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간척지에서 고부가가치 밭작물이 정상적으로 생육하기 위해서는 높은 토양염분에 대한 작물별 적절한 염분관리 및 여름철 집중 강우에 대한 재배지의 원활한 배수처리와 관리 등 기반여건상 대책방안 강구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 밭작물 재배를 위한 개선대책으로 지하암거배수시설을 시범적으로 설치하고 있는 상황이나 현재까지 암거처리에 따른 효과분석에 대한 구체화된 자료 및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농생명용지 5공구 첨단농업시험단지 내 시험포에서 지하암거배수시설을 5m, 10m 간격별로 설치하였고, 강우발생에 따른 강우량, 지하수위 변화분석 및 토양수분변화 등에 따른 암거배수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