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가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및 문제해결 역량에 미치는 효과 분석

        차현진(Hyun-Jin Cha),계보경(Bokyung Kye),정광훈(Kwang Hoon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이외 요인으로 학습자 역량 중 자기조절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학교로 지정된 29개 학교에 초등학교 3,4학년과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 · 사후 검사 설계법(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을 활용하여 2014년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적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Cohen’sd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약 0.2 정도의 효과크기로 적지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학교급, 학년, 성별)에 따른 학생들의 변화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년별, 학교급별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자기조절학습에서는 4학년과 중 1 학생 모두 똑같이 3학년보다 좀 더 많은 변화를 보여주었고, 문제해결능력에서는 4학년이 가장 많은 변화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SRL) and problem-solving (PS) competencies rather than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in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the objective, 3<SUP>rd</SUP> and 4<SUP>th</SUP> grade elementary and 1<SUP>st</SUP>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rom 29 schools where the digital textbooks were utilized in the subjects of science in pilot schools in 2014. In thi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s were applied as a research method to analyze SRL and PS competencies. Additionally, the effect size of Cohen’s d was presented in order to display the prac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showed the positive impacts on SRL and PS competencies, in spite of a small effect size of about 0.2 through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ANC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impact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impacts on both SRL and 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grade and level. For SRL, both the elementary grade 4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than elementary grade 3. Moreover, for PS, the elementary grade 4 student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

        초ㆍ중등교육에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유형화 및 전략 개발 연구

        임철일 ( Lim Cheolil ),한송이 ( Han Songlee ),계보경 ( Kye Bokyung ),이다연 ( Lee Dayeon ),박주현 ( Park Juhyeon ),엄태연 ( Eom Taeyeon ),최재훈 ( Choi Jaehoon ),전민선 ( Jeon Minseon ),김은지 ( Kim Eunji ),권미영 ( Kwon Miyo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초ㆍ중등학교에서 메타버스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유형을 도출하고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시에 고려해야 할 요소를 확인한 후 이에 대한 교육적 활용 전략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선행연구 및 사례 분석,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여 유형과 전략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델파이 조사, 사용성평가,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섯 가지 메타버스 기반 교수학습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는 일반적인 교수학습 유형 중 메타버스 학습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강의형’, ‘체험형’, ‘토론ㆍ토의형’, ‘문제해결형’, ‘창작형’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전략의 경우 수업 준비, 운영, 후 단계에 따라 16개의 세부요소와 70개의 상세 전략으로 구성하였다.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는 물리적 수업 환경과 메타버스 내 수업 환경, 물리적인 교실 안전, 디바이스 착용 시 안전, 메타버스 내 가상의 안전, 윤리적인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초ㆍ중등학교 맥락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기 위한 고려사항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을 설계할 때 참고할 만한 실제적인 지침과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research aims to develop types of metaverse class in K12 education based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dentify factors to consider when using the metaverse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develop strategies for its educational use. This was achie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eachers experienced in educational utilization. The study also involved Delphi surveys, usability tests, and expert reviews to validate the developed types and strategies. Five types of metaverse-based teaching and learning were identified, focusing on those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a metaverse learning environment: Lecture, Experiential, Discussion/Debate, Problem-Solving, and Creative. In the case of strategy, it consisted of 16 detailed elements and 70 detailed strategies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operation, and post-stage of class. For the educational use of the metavers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physical classroom environment, physical classroom safety, device wearing safety, virtual safety in the metaverse, and ethical issu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rehensively presented considerations for using the metaverse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provided practical guidelines and information that can be referenced when designing education using the metaverse.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디지털 포용성(Digital Inclusion)의 국제 연구 동향 분석

        백송이(Beak, Song yi),박기웅(Park, Kiwoong),고사론(Ko, Saron),계보경(Kye, Bok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Web of Science(WoS)에서 제공하는 학술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포용성(Digital Inclusion) 이슈를 탐색하고 향후 포용적 디지털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WoS에서 제공하는 학술 논문 중 디지털 포용성과 관련해 출판된 SSCI, SCI, SCIE, A&HCI급 1,082편의 논문을 텍스트 마이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R과 Netminer를 활용해 주요 키워드에 대한 빈도 분석(TF, DF, TF-IDF), 토픽 모델링 기반의 디지털 포용성 이슈 분석, 그리고 각 이슈에 대한 연도별 출연 빈도를 분석하여 디지털 포용성 연구의 경향성을 탐색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사회담론(social discourse)’, ‘기술의 영향력(influence of technology)’, ‘디지털활용능력(digital literacy)’, ‘학습장소(learning space)’등의 10개 이슈로 분석되었고, ‘사회담론(social discourse)’, ‘기술의 영향력(influence of technology)’, ‘디지털활용능력(digital literacy)’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디지털 포용성에 대한 국제적 연구 동향을 기초로 우리나라 디지털 교육의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issues on ‘Digital Inclusion’ by collecting academic big data from Web of Science(WoS), to provide further implications for the inclusive digital education policies. Using the WoS, the authors collected 1,081 studies from SCI journal related to digital inclusion. After preprocessing the collected data, using R and Netminer, the authors obtained the TF, DF, TF-IDF values on main keywords, and analyzed issues on digital inclusion using topic modeling. Then the authors anlayzed research trend on the topic of digital inclusion while analyzing the frequency.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ten keywords had been driven: ‘social discourse’, ‘influence of technology’, ‘digital literacy’, ‘learning space’ et cetera. ‘Social discourse’, ‘influence of technology’, ’digital literacy’ appeared in a higher proportion relatively. Based on th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 on ‘digital inclusion,’ this thesis provided implications on digital education.

      • KCI등재

        ICT활용수업에서 정보문해 및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수,계보경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7 No.4

        본 연구에서는 최근 학교 현장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ICT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ICT 활용 유형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초등학교 3학년 남녀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정보 안내형 수업에서는 정보문해 및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주효과 및 상호 모두에 있어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보 탐색형 수업 정보문해와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의 측면에 있어 유의미한 효과 었다. 이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 분석 결과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 상위 집단 내에 정보문해에 따른 뚜렷한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매체에 대한 효능감의 경우 정보문해의 높고 낮음에 따라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현저히 나타남으로써 형 수업에서 매체에 대한 효능감이 낮은 학습자의 경우, 정보문해의 높고 낮음 따라 성취도에 영향을 받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among learner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 in an environment where ICT is applied to different learning tasks. To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In learning environments where ICT is applied, 1. What kind of influence do information literacy level and media self-efficacy make in learning presenting information? 2. What kind of influence do information literacy level and media self-efficacy make in learning exploring inform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 students drawn from 3rd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Before they were put into treatment information literacy and media self-efficacy test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of both tests were encoded as scores and at the same time as being ether high or low for each subject. Students were then put into classes where ICT was utilized as a main tool. In order to exclude prior knowledge effect, the content was selected from 4th grade context and reorganized for 3rd graders. After the learning programs the achievement test followed for both presenting and exploring information. At the end of the test two dropouts took place for insignificant reasons, thus leaving 78 subjects for analysis. The data was analysed with use of correlation analyses and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presenting information learning, the two-way ANOVA results yielded nether interaction nor main effect significant. The mason of these results may be sought from the nature of the learning task. In learning situation like this, teacher control is dominant and there is little opportunity for students to actively engage or discuss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learner characteristics as information literacy and media self-efficacy may have very restricted room t which to play a role. Second, in exploring information learning,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information literacy and media self-efficacy. That the interaction is present means that the achievement of high and low level of information literacy groups is dependent upon different levels of media self-efficacy. Specifically, the high level media self-efficacy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less of information literacy level. On the other hand, the low level media self-efficacy group showed that high information literacy group achieved more than the low level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re exists a three-way interaction among the learner's information literacy and media self-efficacy, and the nature of the learning task. Also, based upon these results, one may rightly argue that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must include alternative strategies in which the nature of the tasks taken into account at different learner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