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더십과 봉사활동’ 교과목 수강 과정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견주연(Kyun Ju 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경험적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 보고, 자원봉사활동관련 교과목인 ‘리더십과 봉사활동’ 수업을 수강한 후의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본 교과목을 수강한 K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인 예비유아교사 총 9명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본 수업의 실시 전·후에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개별면담 1회, 집단면담 2회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크게 3단계인 자료의 개방 코딩, 주제 발견, 주제 확정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경험적 인식은 1) 기대와 다른 실제, 2)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과 평가, 3) 부족한 자원봉사활동의 유형, 4) 1순위에서 밀려나는 자원봉사활동, 5) 소소한 보람과 행복을 얻게 되는 자원봉사활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더십과 봉사활동’ 교과목 수강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크게 자원봉사활동의 가치와 의미에 대한 인식과 교과목의 강좌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교육과정의 자원봉사활동 관련 교과목 지도 및 현장에서의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olunteering exper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analyze the their awareness during and after taking a course ‘Leadership & volunteer activit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include 9 second-year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K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volunteering for pre-service teachers involved, (a) different reality compared to expectations, (b) orientation and evaluation inadequacies, (c) lack of variety in volunteer work, (d) volunteer work pushed back in priority, and (e) volunteer work that brings happiness and worth.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awareness from the course included their awareness of the lesson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volunteer work.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instruction and on-site issues regarding courses on volunteer work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 KCI우수등재

        유아 교실 내 다문화교육 수행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제

        견주연(Ju Youn Kyun),하은실(Eun Sil Ha),정계숙(Kai Sook Chung) 한국아동학회 2012 아동학회지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current problems and the direction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teacher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actual practice of it within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a total of 7 teachers and 41 young children (3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ata were gather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7 teachers and non-participant observations in two classrooms. The results of our examination of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as follows. It is addressed only when there ar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esent in the classroom. Furthermore, it is only addressed in terms of specific life themes, and it requires external supporting instruction and resources becaus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by most teachers. The current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being addressed through an assimilative approach. It was also clear that teachers respond ambivalently to the issue of cultural particularity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use an individualized educational approach situated within the cultural deficit model. etc.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수업나눔 경험의 의미

        견주연(Kyun Ju-You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수업나눔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K대 유아교육과의 ‘유아사회교육’ 교과목에서 모의수업을 수행한 4학년 예비유아교사 6명, 8년차 이상의 경력을 가진 현직유아교사 3명, 총 9명이었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주로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 계획, 수행, 평가의 전반적 과정 및 집단면담, 현직유아교사의 수업분석, 수업비평 및 집단면담 등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현직유아교사의 예비유아교사에 대한 수업나눔 경험의 의미는 1) 수업역량에 대한 ‘낮은 기대인식’에서 보다 ‘높은 기대인식’의 제공자로, 2) ‘저자극제’에서 ‘자극과 반성적 성찰의 기폭제’로, 3) ‘단순한 예비유아교사’에서 ‘함께 성장해가야 할 협력자’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현직유아교사에 대한 수업나눔 경험의 의미는 1) ‘불안감과 떨림의 근원자’에서 ‘기대감과 자신감 상승의 지지자’로, 2) 갈팡질팡했던 ‘진로 고민의 무관련자’에서 ‘진로 확정의 조언자’로, 3) ‘그저 어렵고 불편한 존재’에서 ‘동행할 수 있는 동반자’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와의 수업나눔 경험이 이들 상호 간에 보다 긍정적이고 의미 있는 계기가 되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가 보다 질 높고 다채로운 수업 실현 및 예비유아교사(교원양성기관)와 현직유아교사(유아교육현장) 간의 긍정적 관계 형성을 위한 하나의 기초 연계방안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lesson-sharing between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6 fourth-grade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ho conducted mock classes at K university 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more than 8 years of experience, and 9 in total.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mainly based on the overall process and group interview of the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s mock class planning, performance and evaluation, class analysi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lass review, and group interview.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lesson-sharing was changed positively. Seco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through the lesson-sharing was changed positively as well.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experience of lesson-sharing between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became a more positive and meaningful occasion for the changes.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linkage plan for the realization of higher quality classes and the formation of positive relation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아 인성그림책 읽어주기에 토대한 부모소모임의 참여 경험: 시작, 실행, 그리고 기대

        견주연 ( Kyun¸ Juyou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에게 인성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에 토대한 부모소모임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떠한 과정을 거쳤으며, 그 과정에서 나타난 어머니들의 변화와 기대는 무엇이었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보다 나은 자녀양육을 위한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부모참여 활동의 활성화 및 이에 대한 폭넓은 지원 강화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부모소모임에 참여해본 경험이 있는 유아기 자녀를 둔 5명의 어머니였으며, 이들을 개별면담 및 집단면담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인성그림책 읽어주기에 토대한 부모소모임의 참여 과정은 ‘개인적 관심과 불안 및 설렘으로부터의 모임 결성, 세상과의 소통이 물꼬를 튼 본격적 시작, 확산된 긍정적 결과를 낳은 만남의 과정, 코로나 19(COVID-19) 확산으로 잠정 중단된 모임에 대한 앞으로의 기대’가 의미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자녀양육을 위한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부모참여 활동이 더욱 다양화되고 강화되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유아기 자녀양육을 위해 보다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부모참여 활동의 중요성을 밝히고 그 방향성 및 실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parental gathering started, what process it went through, and what changes appeared to mothers in the process, based on the activity of reading personality-related picture books to young children. Furthermore, the ultimate purpose was to strengthen and broadly support voluntary and subjective parental participation activities for better child rearing. 5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ho ha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parents’ meeting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parental group participation based on the child's personality-related picture book reading is from the formation of a group that started with anxiety and excitement in general, to a full-scale start of a group that has positive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sharing child-raising information and relational healing. And the process of meeting that has resulted in diffuse positive results, and future expectations for meetings that were temporarily suspended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were derived as the subjects of meaning of the result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voluntary and subjective parental participation activities for better parenting of young children will be strengthened, and various measures to support this will be prepared. In addition, this study ha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at it reveals the importance of more voluntary and subjective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for the parenting of young children, and suggests its direction and practical measures.

      • KCI등재

        다문화 유아교실을 만들기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견주연 ( Ju Youn Kyun ),정계숙 ( Kai Sook Ch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6

        본 연구는 연구 참여교실인 햇살반이 다문화 유아교실로 되는데 궁극적 목적을 두고 교사-연구자 간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해 교실의 변화 과정과 변화된 모습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만 5세반인 햇살반 담임교사와 다문화가정 유아 2명을 포함한 총 21명의 유아들이었으며, 우선 다문화교육 현장으로서 실행연구 전 햇살반의 모습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후 교사-연구자 간 협력적 실행 과정을 통해 다문화 유아교실을 만들기 위한 6가지 실천 방안을 찾아 계획, 실행, 반성 후 재실행해가는 과정을 그려내었으며, 이 과정을 통해 나타난 다문화 유아교실로 변화된 햇살반의 모습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overall process of transforming a selected A(Haesal) classroom into a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a teacher in charge of the A classroom for 5 year-olds and 21 preschoolers at a child-care center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 study first describes the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classroom before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took place and then describes the processes involved in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conducted by the classroom teacher and the researcher together as they attempted to find ways to transform the class into a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classroom through planning, acting-out, reflection and re-acting-out as the A classroom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processes of the transformation are analyzed and their implications for use in other classrooms are discussed.

      • KCI등재

        ‘버디프로그램(Buddy Program)’을 통한 프로그램 참여자의 인식 탐색

        견주연(Kyun Ju 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a ‘buddy program’ conducted by a university as an interactional program between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and any possible changes in the awareness of the Korean and Chinese participa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nine select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buddy program’ in the university. They were interviewed to gather data,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Concerning changes in the awareness of the participants, there were largely two different sorts of changes that they underwent. The students realized at the system of the program, and their perspectives also changed while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college interactional programs between Korean students and International students was discussed,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programs were discussed as well. 본 연구에서는 K대학에서 실시된 한국인 재학생-중국인 유학생간의 교류프로그램인 ‘버디프로그램(buddy program)’의 참여를 통한 연구 참여자의 프로그램 수행에 대한 인식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K대학의 버디프로그램에 참여한 한국인 재학생 5명과 중국인 재학생 4명, 총 9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6년 3월 17일~6월 2일에 이루어졌으며,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집단면담 총 3회를 실시하였다. 또한 자료분석은 크게 3단계인 자료의 개방 코딩, 주제발견, 주제 확정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프로그램 참여 후 변화한 학생들의 인식은 1) 다른 나라와 문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전환의 시작, 2) 다른 나라 언어에 대한 관심 및 언어습득능력 향상, 3) 다른 나라와 다른 민족에 대한 관심 증진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체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1) 프로그램 내용 선정의 자율화, 2) 프로그램의 지속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 3) 사전교육과 사후평가회를 통한 탄탄한 시작과 끝맺음, 4) 자원봉사활동 점수로 연계되는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프로그램, 5) 프로그램에 대한 아쉬움, 그리고 앞으로의 기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교육과정에서의 다양한 한국인 재학생-외국인 유학생간 교류프로그램의 개발 및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부적응 행동 지도, 무엇이 고경력 교사에게 어려움을 느끼게 하는가?

        견주연(Kyun Ju 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actical difficulties and problems of highly experienced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the continuous maladjusted behavior guidance of young children, and to derive improvement plans. 6 highly experienced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more than 9 years of experience who have had difficulties or were serious in teaching maladjusted behavior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o conduct an in-depth inter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rst was the personal aspect of the teacher, 1) increased burden and lack of self-confidence due to the position of ‘highly experienced teacher’, 2) lack of appropriate coping and effective skills, 3) lack of knowledge of children s maladjusted behavior guidelines. Second was the aspect of the parental aware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parent, 1) lack of trust in teacher expertise, 2) negativity or vague hope for maladjustment behavior of young children, 3) demand for a one-way notification method or complaint request to a higher level organization. Third was the aspect of the climate and struc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1) relatively large number of young children and excessive working hours, 2) lack of the support and system of expert-level human resources, 3) structural problems of the educational field that must be independently solved by teachers. The last was the aspect of the pre-service edu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that were not satisfied, 1) the pre-service education that requires active reflection of the voice of the field, 2) the in-service education, which was more various or less autonomous. I hope that this topic which has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will be resolved urgently, and various support and continuous efforts will be made.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유아의 부적응 행동 지도에 대한 고경력 교사들의 실제적 어려움과 개선 요구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9년차 이상의 고경력 유아교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개별적으로 심층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실제적 어려움인 걸림돌 하나는 교사 개인적 측면, 걸림돌 둘은 학부모의 인식 및 교사-학부모 간의 관계적 측면, 걸림돌 셋은 유아교육기관의 풍토와 구조의 측면, 마지막 걸림돌 넷은 흡족치 않은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의 측면으로 나타났다.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다루어져왔던 본 논제가 유아교육현장에서 조속히 해소되길 바라며, 교사를 둘러싼 다각적 차원에서의 지원과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지역대학 유아교육과 중국인 유학생들의 삶의 경험 변화:

        견주연(Kyun, Ju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4

        본 연구는 K대학 유아교육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이 지닌 강점에대해 보다 깊이 있게 탐색해보고, 강점 탐구(AI)의 4-D 프로세스 활용을 통한 유학생으로서의 이들의 삶의 긍정적인 경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K대 유아교육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3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6년 5월 23일~2017년 3월 7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강점 탐구의 4-D(discovery, dream, design, destiny) 프로세스를 토대한 이들의 유학생활의 삶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자료분석은 크게 3단계인 자료의 개방 코딩, 주제 발견, 주제 확정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인’이 되어가는 과정, 1)유학생 삶의 터닝 포인트(turning point), 2) ‘유아인’으로서 기대하는 삶 상상, 3) ‘유아인’이 되기 위한 삶 계획, 4) 진정한 ‘유아인’으로 되어가기 등이 도출되었다. 둘째,더 나은 유아교사로서의 삶에 대한 기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외국인(중국인) 유학생의 삶에 대한 제언 및 교육적 시사점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which life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are proceeding with making as those who are attending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local university, and to examine a change in experience of life in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based on strong points that these people have, through applying the appreciative inquiry.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3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being in senior for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K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it was drawn the process of becoming ‘an early childhood educator, - 1) turning point in the life of an international student, 2) imagination of the expectant life as ‘an early childhood educator’, 3) a plan for becoming ‘an early childhood educator’, 4) proceeding with becoming a true ‘early childhood educator’. Second, it was indicated to be the expectation for life as a better early childhood teacher.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 discussion was made about suggestion and educational implication on the life of foreign (Chinese) students who are living in Korean society.

      • KCI우수등재

        ADHD 유아에 대한 일반유아의 성별 상호작용 전략 탐구

        견주연(Ju Youn Kyun),정계숙(Kai Sook Chung) 한국아동학회 2011 아동학회지 Vol.3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action strategies used by typically developing boys and girls in their dealings with young children with ADHD in free play situations in inclusive classes. This was done in order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ir interaction strategies. The subjects were 5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mprising 27 boys, 25 girls) and 3 young children with ADH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frequency of interaction strategies with the young children with ADHD was greater among the young female children (n = 372) than the young male children (n = 298). Second, when the utterance strategies of the male and female children were sub-categorized, both the male children (79.5%) and the female children (57.0%) mostly made use of avoidance strategies, one of the typical withdrawal strategies. Third, the interaction strategy of control represented 42.0 percent and as such was identified as the most prevalent interaction strategy utilized by the young male children studied. In the case of the young female children, obliging strategies were the most common interaction strategies representing 33.1 percent of the total used. In the light of the findings yielded from this study, some educational recommenda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영유아 참여 모의수업의 수행과정 및 수업 만족도 분석

        견주연 ( Kyun Ju-youn ),임상도 ( Lim Sang-d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4

        본 연구에서는 K대학 유아교육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유아 참여 모의수업의 수행과정을 소개하고, 모의수업 실시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양적ㆍ질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3학년 총 37명이며, 모의수업에 참여한 유아교육 기관 수는 총 10곳, 영유아들은 총 214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 참여 모의수업의 전반적인 수행과정은 영유아 참여 모의수업의 계획과 준비, 수행 및 종합평가로 나뉘어졌다. 둘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영유아 참여 모의수업 수행의 양적 평가를 살펴본 결과, 예비유아교사들 중 영유아가 직접 참여하는 모의수업이 적절하다고 인식한 총점 평균은 36.3/40 점이었으며, 영유아 참여 모의수업을 다음 학기에도 다시 계획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응답한 총점 평균은 36.5/40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영유아 참여 모의수업의 질적 평가 결과는 ① 상대적 긴장감 뒤에 다가오는 더 큰 만족감의 획득, ② 사실감 있는 수업 체감, ③ 향상된 수업 수행력, ④ 궁금증과 관심의 증폭: 영유아의 발달적ㆍ심리적 특성및 의사소통기술, ⑤ 다음 모의수업 준비에 대한 열의 증진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연구의 교육적 시사점 및 추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introduce the procedure of simulated classes with the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that is implement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K University and to analyz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simulation as perceiv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 37 third-year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10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at participated in the simulation, and 214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general procedure of the simulated classes for the young children was divided into lesson planning, lesson preparation, performance,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Second,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imulation’s quantitative evaluation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who perceived it appropriate to hold simulated classes with young children participation gave a score of 36.3/40 while those who responded that it was appropriate to plan a simulated classes with the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for the following semester gave a score of 36.5/40. Third, the simulation’s qualitative evaluation as perceiv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include: (a) relatively greater satisfaction of achievement after the feeling of tenseness, (b) a realistic feel to the lesson, (c) an upgrade in performance capability, (d) increase in curiosity and interest: the development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ommunication techniques of young children, and (e) an increase in enthusiasm for the preparation of subsequent simulated class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