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을 대상으로 한 공유가치창출(CSV) 활동의 유형화

        강충,이동민,문정훈,Kang, Chung Han,Lee, Dong Min,Moon, Jung Hoo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6

        CSV(Creating Shared Value)는 Porter and Kramer (2011)가 기업이 사회와 진정으로 공생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해 제안한 모델이다. 이는 기업의 비즈니스적 가치와 사회적 문제 해결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활동이다. 본 연구에서는 CSV의 개념을 식품기업에 적용하여 농촌을 대상으로 식품기업이 수행하고 있는 CSV의 사례를 발굴하였다. 특히 Porter and Kramer (2011)가 제시한 CSV창출의 세 단계와 Peterson et al. (2001)이 제시한 생산자와 기업 간의 관계형태를 준거로 하여 CSV활동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프레임워크를 통해 발굴된 사례를 분석한 결과, 로컬푸드형, 후방지원형, 공동법인창업형 세 가지 유형의 CSV활동이 발견되었다. 로컬푸드형은 일시구매나 상세계약의 관계형태를 기반으로 하여 CSV를 창출하는 유형이며, 후방지원형은 주로 관계기초 제휴 형태의 관계형태를 기반으로 하여 CSV를 창출하는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공동법인창업형은 자본기초 제휴 형태의 관계형태를 기반으로 하여 CSV를 창출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는 농촌을 대상으로 하는 CSV사례를 발굴하였다는 점과,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이를 유형화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CSV(Creating Shared Value) model was proposed by Porter and Kramer (2011) to address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es and society. Namely, it means that CSV deals with business value and social problem solving simultaneously. In this paper, the notion of CSV was applied to the food enterprise, and the cases of CSV with farming area were discovered. Especially, this paper proposed the framework for analyzing CSV activity based on the three-level of CSV suggested by Porter and Kramer (2011) and strategic options for vertical coordination proposed by Peterson et al. (2001).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applying the proposed framework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CSV activity were discovered: Local food type, downstream support type, and joint corporate establish type. Local food type creates CSV based on momentary purchase or specification contract as strategic options for vertical coordination. Downstream support type creates CSV mainly based on relation-based alliance as a strategic option for vertical coordination. Lastly, joint corporate establish type creates CSV based on equity-based alliance as a strategic option for vertical coordination. This paper contributed to the CSV literatures for discovering cases of CSV with farming area and categorizing discovered cases applying proposed framework.

      • KCI등재

        한국 농촌교육 법제의 쟁점과 발전과제

        임연기(Im, Youn-Kee),강충서(Kang, Chung Seo) 대한교육법학회 2021 敎育 法學 硏究 Vol.33 No.3

        이 연구는 한국 농촌교육 법제의 쟁점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하여 발전적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농촌교육 법제를 넓게 보면 거의 모든 초중등학교 법제를 포함시킬 수 있으나 좁게 보아 농촌교육에만 작용하고 있는 법제를 대상으로 한다. 농촌교육 법제의 쟁점별로 발전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교육 지원대상을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농촌교육 육성주체로서 국가의 역할을 명료화해야 한다. 셋째, 농촌학생의 균등한 교육기회를 보장하기 위하여 농촌교육 여건개선과 함께 결과적 평등을 지향하고, 농촌교육의 공공성을 제고하는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농촌교원의 안정적 확보를 바탕으로 전문화를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 다섯째, 학령인구 감소추세에 대응하여 농촌학교 운영구조의 효율화와 작은학교 간의 협력을 조화롭게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ssues of the Korean rural education law and to suggest related developmental tasks. Considering the rural education legal system broadly, it is possible to include almost all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gal systems, but by limiting the scope, this study is aimed at the laws and systems that are applied only to rural education. The tasks for each issue in the rural education legal system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target of rural education support. Second, the role of the state as a nurturing agent should be clarified. Third, in order to guarante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rura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ramework to aim for consequential equality and to enhance the public nature of rural education. Fourth, stably securing rural teachers and attempts are needed to secure their expertise in rural school. Fifth, in order to respond to the declining trend of the school-age population, a foundation for harmonious cooperation between small schools should be laid.

      • KCI등재

        성(性)과 지역에 따른 대학교육 기회의 불평등: 언더매칭(undermatching) 현상을 통한 설명

        윤민종(Youn, Min-Jong),강충서(Kang, Chung-Seo)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여학생과 남학생이 자신의 성적에 걸맞은 대학에 진학할 가능성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분석을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의 2008년 대학 입학생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능과 내신 성적에 비해 위세가 낮은 고등교육 기관에 진학하는 현상을 일컫는 “언더매칭”을 경험했는지 여부를 종속변수로 활용하였으며, 성별, 지역, 그리고 두 변수의 상호작용항을 주요 설명변수로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언더매칭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수도권 및 광역시 지역이 아닌 그 외 도 지역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 격차가 없다고 가정하더라도, 거주 하는 지역에 따라 언더매칭 과정으로 인해 여학생이 불평등한 대학 입학 기회를 경험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달리 말하면, 대학 진학에 있어서 점수로 표현되는 “능력”이 대학을 입학하는 데 특정 지역의 남학생과 여학생에게 공평하게 작동하지 않는 지점을 보여준다. 논의 및 결론: 언더매칭으로 인한 고등교육 기회에서의 성차를 줄이기 위해 수도권 및 광역시가 아닌 지역에서, 특히 여학생을 대상으로 자신의 능력에 걸맞은 고등교육 기관에 진학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진학 지도와 지원이 요구된다고 제언하였다. 이 연구는 성별에 따른 지역 간 고등교육 기회 분배 구조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여 한국 사회에서 여성들의 교육 기회가 남성들에 비해 불리하다는 사실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Method: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gender and college undermatching, which refers to a student who is attending a less selective college than his/her qualification would have permitted, and whether the association between gender and undermatching vary by region. Results: Results revealed that fe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 undermatched than male students, and this negative relation was mostly found in the group of non-metropolitan area. It indicates that, in the non-metropolitan area, female students were disadvantaged in college access even if the female students performed similarly to the male students. Conclusion: To alleviate the problem of undermatching for the female students, we proposed more proactive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and support for the female students to find a better-matched college based on their qualification.

      • KCI등재

        우측 간내담관으로 개구하는 부 담낭관

        강충 ( Chung Kang ),남동인 ( Dong In Nam ),정일형 ( Il Hyung Jung ),문현기 ( Hyun Gee Moon ),윤보람 ( Bo Ram Youn ),양준승 ( Joon Seung Yang ),이남훈 ( Nam Hun Lee ),서영호 ( Young Ho Seo ) 대한췌장담도학회 2015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0 No.1

        Anatomic variations in the biliary tree may not be detected until adulthood and they can cause unexplained jaundice and biliary pain. Recognition of these anatomic variations is important to avoid an incorrect diagnosis and significant ductal injury during biliary surgery. Although there are numerous anatomic bile duct variations, an accessory cystic duct draining into the right hepatic duct is rare. We report a case of an accessory cystic duct draining into the right hepatic duct with cholelithiasis, in which the abnormality was identified b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and confirmed by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 재진입기구를 사용한 풍선재진입술을 통해 내막하-내막하공간으로 얕은넙다리동맥 폐쇄를 성공적으로 재개통한 1예 난외표제 : 말초혈관질환에서의 풍선재진입술

        송호영 ( Ho Yeong Song ),정일형 ( Il Hyung Jung ),강충 ( Chung Kang ),남동인 ( Dong In Nam ),안홍주 ( Hong Ju An ),이상선 ( Sang Sun Lee ),강훈 ( Hun Kang ),조상철 ( Sang Cheol ),황선호 ( Sun Ho Hwang ),김완 ( Wan Kim ),강원유 ( W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4 全北醫大論文集 Vol.38 No.1

        혈관내재개통술은 말초혈관질환의 만성완 전폐쇄의 치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재진입기구의 성장은 이런 중재술을 더욱 용이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복잡한 혈관상태는 재진입술을 어렵게 한다. 이에 저자들은 왼쪽 얕은넙다리동맥의 만성완전폐쇄를 가진 85세 남환에서 내막하공간에서 다른 내막하공간으로 재진입기구를 삽입하여 풍선재진 입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Endovascular revascularization is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chronic total occlusion of the peripheral artery disease. The development of re-entry devices has made this intervention easier. However, complicated vascular conditions make re-entry challenging. Here, we report a case of an 85-year-old man with complicated chronic total occlusion of the left superficial femoral artery successfully treated by using a re-entry device from a subintimal space to another subintimal space by balloon re-entry techniq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