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물리치료 전공대학생들의 진로선호도와 학습동기에 관한 연구
강준구,복원주,서유리,이도영,한동국,손경현,이경현,Kang, Jun-Gu,Bok, Won-Ju,Seo, You-Ri,Lee, Do-Young,Han, Dong-Guk,Son, Kyung-Hyun,Lee, Kyung-Hyun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15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22 No.2
Purpose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 career preference after gradu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Methods : This survey implement with 400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from 3 college and university in korea, jeonnam 394 of 400 attended this survey. The measured date were analysed by using repeated anova, frequency analysis, $x^2$-test, t-test.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areer prefer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department of orthopedic physical therapy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ll by workplace(general hospital, special hospital). Career preference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y schol system(college, university)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work place. Learning motivation(inner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male by gender. Learning motivation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y school system.
강준구 ( Jun Gu Kang ),장미정 ( Mi Jeong Jang ),권준화 ( Jun Hwa Kwon ),손지환 ( Jihwan Son ),권영현 ( Young Hyun Kwon ),전태완 ( Tae Wan Jeo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추계학술연구발표회 Vol.2017 No.-
우리나라는 자원이 부족하여 총 공급에너지의 95.8 %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신재생에너지의 개발과 합리적인 이용방안이 절실하다. 폐기물 에너지는 재생에너지 종류 중 하나로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열분해를 통해 고형연료, 폐유 정제유, 플라스틱 열분해 연료유, 폐기물 소각열 등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어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그 중 고형연료는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인정된 생활폐기물(음식물류 제외), 폐합성수지, 폐지 등 가연성물질만을 선별·분리하여 제조한 연료로 현재 SRF(Solid Refuse Fuels) 와 BioSRF(Biomass Solid Refuse fuel)로 관리되고 있다. 폐기물 연료는 화석연료뿐만 아니라 바이오매스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부분적인 이산화탄소 중립연료로 간주될 수 있다. 특히 혼합된 폐기물연료를 소각하는 곳에서 배출되는 가스 중에는 바이오매스 기원물질을 제외 할 때에 비로소 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에너지 중 가연성폐기물을 원료로 한 고형연료제품 종류별 사용시설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포집하여 CO<sub>2</sub> 중의 생물학적 기원물질의 바이오매스를 <sup>14</sup>C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고형연료에 대한 분석을 SDM(Selective Dissolution Method)방법과 <sup>14</sup>C 방법으로 분석하여 비교하였고 배출가스에서의 측정·분석을 수행함으로서 폐기물에너지 사용시설에 적용 가능한 가장 적합한 측정·분석방법을 고찰해보았다.
강준구(Jun-Gu Kang),김진희(Jin-Hee Kim),김준태(Jun-Tae Kim) 대한설비공학회 2009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
The photovoltaic/thermal collectors (PV/T collectors) combine the solar thermal collector and photovoltaic modules. They can produce thermal energy in the form of hot air or hot water, and converts solar radiation into electricity. The collecctors can improve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PV modules as the heat from the PV module carried away by the thermal part of the system keeping temperatures lower. The basic water cooled PVT collector has metallic water pipes attached to the back of a PV collector. There are main parameters affecting the performance (electrical and thermal) of PVT collectors. This paper analyzed the experimental performance of glazed water PVT module, considering the parameters of solar radiation, inlet water temperature and ambient temperature. It found that solar radiation is the dominant factor for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the collector, and for the thermal performance the inlet water temperature and ambient temperature appeared to be more related.
강준구 ( Jun-gu Kang ),권준화 ( Jun-hwa Kwon ),손지환 ( Ji-hwan Son ),장미정 ( Mi-jeong Jang ),권영현 ( Young-hyun Kwon ),전태완 ( Tae-wan Jeon ),신선경 ( Sun-kyoung Shi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추계학술연구발표회 Vol.2017 No.-
IEA의 에너지 전망 시나리오에 따르면 세계의 에너지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에너지 수요 증가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를 제한하기 위한 에너지와 기후 정책이 시행 되고 있다. 파리협정은 2020년 만료 예정인 교토의정서를 대체하기 위해 2015년 채택 된 신기후체제로, 적극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한다. 이에, 유럽에서는 이미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연료의 바이오매스 함량을 측정하여 이를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차감하는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정책이 시행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에 따르면, ‘35년까지 1차 에너지의 11.0%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여 전체 전력량의 13.4%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것이 목표이다. 신재생에너지로서 폐기물에너지의 정책 목표 비중은 14년 67%에서 25년 38.8%, 35년 29.2%로 점차 줄어들지만, 신재생에너지의 전체 공급 목표량이 증가하므로 폐기물 에너지의 연평균 증가율은 2%를 목표로 하고 있다. 2016년 신재생에너지 백서에 따르면 폐기물에너지의 이론적 잠재량은 2013년 기준 13,977,173 toe/yr 에 이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신재생에너지로서 폐기물에너지의 가치를 평가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 개선 방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건물 적용 유형별 공기식 BIPVT 유닛의 전기 및 열성능 비교에 관한 연구
강준구(Kang Jun-Gu),김진희(Kim Jin-Hee),김준태(Kim Jun-Tae)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0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30 No.5
The integration of PV modules into building facades or roof could raise their temperature that results in the reduction of PV system's electrical power generation. Hot air can be extracted from the space between PV modules and building envelope, and used for heating in buildings. PV/thermal collectors, or more generally known as PVT collectors, are devices that operate simultaneously to convert solar energy from the sun into two other useful energies, namely, electricity and heat. This paper compares the experimental performance of BIPVT((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Thermal) collectors that applied on building roof and facade. There are four different cases: a roof-integrated PVT type and a facade-integrated PVT type, the base models with an air gap between the PV module and the surface, and the improved models for each types with aluminum fins attached to the PV modules. The accumulated thermal energy of the roof-integrated type was 15.8% higher than the facade-integrated regardless of fin attachment. The accumulated electrical energy of the roof-integrated type was 7.6% higher, compared to that of the facade-integrated. The efficiency differences among the collector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pins absorbed heat from the PV module and emitted it to air layer.
커튼월 적용을 위한 CIGS 박막 모듈의 특성 분석 연구
강준구(Kang, Jun-Gu),장현호(Jang, Hyun-Ho),김진희(Kim, Jin-Hee),김준태(Kim, Jun-Tae)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3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4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types of experimental models of BIPV curtain wall units with CIGS modules were built, and their thermal and electrical performances were analyz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ear side of the CIGS module with the application of an insulation in the curtain wall spandrels was higher than a CIGS module standalone by 22℃, which results in a reduction in the power generation of the former by 8.3 % at most. Accordingly, when ventilation was applied to the model to improve th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the module temperature was observed to be 14.2 ℃ lower compared to the enclosed type, and th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improved by 5 %. It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increase in the rear side of the CIGS module with insulation layer reduced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the module. Based on this, it is claimed that providing sufficient ventilation at the CIGS applied spandrels contribute to improve the power generation of the CIGS module.
케이블 특성에 의한 점화위험성 예측에 관한 실험적 연구
강준구 ( Kang Jun Gu ),권영철 ( Kwon Yeong Cheol ) 한국공업화학회 2003 공업화학 Vol.14 No.5
케이블 특성에 의한 점화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RLC 변화에 대한 불꽃점화 실험과 케이블 허용인덕턴스의 L/R 비율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허용인덕턴스의 비율은 Bass와 IEC/EN의 계산과 서로 비교하였다. 불꽃점화시험을 위해 표준불꽃 점화시험 장치를 그리고 다른 농도를 가진 3종류의 혼합가스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저항성, 용량성, 유도성의 점화위험성은 서로 다르게 관찰되었다. 불꽃점화시험에 의한 전압과 전류파형은 저항성과 유도성의 경우에 구형파를 용량성의 경우에 톱니파의 형태를 가졌으며, 회로 개폐순간의 발생전압은 유도성이 저항성과 용량성보다 크게 나타났다. 한편, 허용 L/R 비율은 전원저항과 케이블저항이 높을수록 증가하며, 전압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park test by RLC changes and the L/R test by cable allowable induction was carried out to predict the ignition risk by cable characteristics. Experimental data obtained from L/R test were compared with the those of Bass and IEC/EN. The standard spark test apparatus and three gas mixtures with each different concentration are used as the experimental apparatus and explosive gas mixtures. From the present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resistive, capacitive and inductive properties were shown different risk characteristics. The inductive voltage measured during circuitry on/off was much larger than resistive and capacitive cases. As a result of L/R ratio test, it was found that the allowable L/R ratio increased as the circuit resistance and the cable resistance increased and decreased as the voltage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