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무선 인터넷에서 Jini기반 연동 System의 구현

        권영현(Young-Hyun Kwon),이경희(Kyoung-Hee Lee),이영준(Young-Jun Lee),박원배(Won-Bae Bark)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Ⅲ

        홈 네트워크는 가정내의 모든 기기들을 하나의 통신망으로 묶어서 정보를 공유하고 제어하는데, 이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홈 네트워크에서의 미들웨어이다. 국내에서는 정보가전 미들웨어의 중요성을 이식하고 있으나 기술 개발이 초기단계로 주요한 단체 표준 미들웨어를 외국기술에 의존하고 있어 미들웨어에 대한 종합적인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미들웨어 기술중 Jini를 이용하여 유무선인터넷에서 연동을 시키기에는 KVM기반인 소형 디바이스들에는 무리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소형 디바이스들을 Jini Network에 Join하기 위한 System을 구현한다.

      • 하이드로겔 물성에 따른 토양 수분보유력의 차이

        권영현(Young Hyun Kwon),양승혁(Seung Hyuk Yang),나양호(Yang Ho Na),이용하(Yong Ha Rhie)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식물은 토양에서 양분과 수분을 공급받으며, 생육에 있어 근권부 환경인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을 적절하게 조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채소, 화훼 등의 원예 작물의 생산성 증대는 자연 풍화된 토양이 아닌 인공배지(상토)의 사용으로 인한 근권부의 환경을 적극적으로 관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의 무게에 비해 수분 및 무기양분을 수 십, 수 천배 흡수할 수 있는 고흡수성 수지는 친수성 가교 망상 고분자로서 농업 및 산림 분야에서도 수분을 토양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수분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물성이 서로 다른 2가지 하이드로겔(경도가 강한, 경도가 약한)을 강모래와 각각 혼합하여 수분보유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대조구는 시중에 사용되고 있는 테라코템(TerraCottem) 내에 있는 하이드로겔을 사용하였다. 수분보유곡선은 Hyprop(UMS GmbH, Munich, Germany)를 이용하여 3가지 종류의 하이드로겔 0.32g 과 강모래 320g을 고르게 섞어 측정하였다. 각각의 토양에서 EAW(Easily available water)와 WBC(Water buffering capacity)구간을 계산하였으며, 수분량은 전체 토양 부피와 수분의 비율(v/v,%)로 표현하였다. EAW의 구간인 pF 1.0~1.7은 경도가 약한 하이드로겔, 기존 하이드로겔, 경도가 강한 하이드로겔 순서로 각각 33, 27, 19%의 수분보유력을 나타내었으며, EAW + WBC구간인 pF 1.0~2.0도 경도가 약한 하이드로겔, 기존 하이드로겔, 경도가 강한 하이드로겔 순서로 각각 37, 30, 21% 로 나타내었다. 또한 EAW의 구간에서는 수분 함량이 급격히 변하였으며, WBC구간에서는 완만하게 변하였다. 추가로 원예용 작물에 적용하기 위하여 토양수분센서(EC-5, Decagon devices, Pullman Washington, USA)로 포화 후에 강모래와 섞은 3종의 하이드로겔의 VWC(Volumetric water content, VWC, v/v)를 측정한 결과 기존 하이드로겔, 경도가 약한 하이드로겔, 경도가 강한 하이드로겔 각각 0.38, 0.35, 0.32m<SUP>3</SUP>·m<SUP>-3</SUP>으로 측정되었다.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의 변화의 경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원예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연구가 진행된다면 작물재배 및 관리에 유용한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개다래(Actinidia polygama)와 다래(A. arguta) 종자의 휴면유형 및 발아 특성

        권영현(Young Hyun Kwon),양승혁(Seung Hyuk Yang),정지영(Ji young Jung),김상용(Sang Yong Kim),이용하(Yong Ha Rhie)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현재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유용식물자원의 소비가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의 산림생명자원은 약 4,200여 종이지만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종자휴면의 생리적, 생태적 특성에 기반한 정확한 휴면유형의 분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다래나무과(Actinidiaceae)의 개다래(A. polygama)는 중국, 일본, 극동러시아와 대한민국 전국에 분포하는 식물로 열매와 뿌리는 약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개화는 6~7월로 열매는 타원형의 길이 2~3cm 정도로서 끝이 뾰족하고 9월 말에서 10월 초에 노란색으로 익는다. 다래(A. arguta)는 전국 표고 1,600m 이하에서 자라며 개화는 5월로 잎과 열매를 약용하는 유용식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약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개다래와 다래의 종자 휴면유형 및 발아 특성을 구명하기 위함이다. 실험은 종자수분흡수율, 발아적온구명, 저온층적처리, 생장조절제 효과, Move-along test를 진행하였다. 종자의 수분 공급시간(0, 10, 30분, 1, 2, 3, 6, 9, 12, 24, 48시간)에 따른 종자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개다래는 약 34.1% 증가하였으며, 다래는 43%증가하였다. 발아적온을 확인하기 위하여 25/15, 20/10, 15/6, 5°C(주/야)에 종자를 치상하고 발아 양상을 주간 조사한 결과 20주차에서 개다래는 모든 처리구에서 발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다래는 25/15, 20/10, 15/6, 5°C 처리구 각각 1.7, 6.7, 31.7, 58.3%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저온층적기간에 따른 발아양상을 알아보고자 각각 0, 4, 8, 12주 저온처리(5°C)를 한 이후 25/15°C에 배양시킨 결과 개다래는 저온 8주 처리에서 6주부터 발아가 나타났으며 20주에서 발아율 98.3%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저온 12주가 90%로 높았다. 나머지 처리구에서는 발아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래는 저온 0, 4, 8, 12주 처리구 각각 1.7, 53.3, 98.3, 76.7%로 저온 8주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생장조절제에 따른 반응을 보기위하여 GA₃(gibberellic acid)를 0, 10, 100, 1000 mg·L<SUP>-1</SUP>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개다래는 100, 1000 mg·L<SUP>-1</SUP> 처리구에서 71.6, 86.7%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다래는 0, 10, 100, 1000 mg·L<SUP>-1</SUP> 처리구 각각 0, 23.3, 48.3, 86.7%로 농도가 높을수록 발아율 또한 높았다. 계절성을 보는 Move-along test에서 개다래는 5°C → 15/6°C →20/10°C의 저온에서 시작한 처리구가 20주차에 발아율 91.7%였으며, 25°C 고온에서 시작한 처리구에서는 발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다래는 5°C → 15/6°C → 20/10°C 처리에서 80%, 25/15°C → 20/10°C → 15/6°C 처리에서 18.3%의 낮은 발아율이 나타났다. 개다래와 다래 2종 모두 저온층적 및 높은 농도의 GA₃ 조건에서 발아율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고온에서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종자 내・외부의 발아저해물질로 인해 발아가 억제되는 생리적 휴면(physiological dormancy, PD)을 가졌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산불의 공간적 확산이 농촌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권영현 ( Young Hyun Kwon ),김의준 ( Eui June Kim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4 농촌계획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regional economic effects of spatial diffusion of wildfire using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of agriculture and forestry. The analysis is applied to Gangwon and Gyeongbuk provinces where are the most damaged of wildfire in Korea. The damaged areas are derived from multiplied by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wildfire and diffusion areas of wildfire for micro-spatial unit level with ArcGIS techniques. The models of wildfire provides that the spatial diffusion of wildfire increases with the rising of highest temperature and average wind speed. Through the production function, value added of Agriculture and Forest sectors get damaged where the Cos-converted slope aspect of mountains are toward the South. The production model provides reductions of regional value added by increasing damaged areas of wildfire. It reveals that the most damaged region is Andong city in Gyeongbuk province, where value added loss is 1.25 billion Won, which is about 0.72% of total value added in agriculture and forestry of the city. As a view of policy makers, it needs to be considered to establish prevention policies against wildfires because regional economic losses from wildfire are depending on geographical conditions and performances of the major industry related to wildfire’s diffusion such as agriculture or tourism sect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 KCI등재

        지정폐기물 내 미량 무기물질의 특성

        권영현(Kwon, Young-Hyun),손병현(Shon Byung-H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7

        최근 들어 지속적인 폐기물 발생량의 증가와 화석 연료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폐기물을 이용한 열에 너지 회수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 여러 가지 신재생 에너지 중 폐기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에너지원의 잠재 적 가치를 비교하였을 때 가장 유망한 에너지원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폐기물을 고체연료로 가공하는 고형연료가 현실적이고 가장 경제적인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에는 세지역의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고형 연료의 원료가 되는 산업폐기물에 미량 존재하는 중금속 성분을 분석하였으며, Cl+S 함량은 B산업단지의 농도가 A 산업단지의 농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A-산업단지의 RDF는 모래성분이 많았으며, B-산업단지 RDF는 염화칼륨 과 염화나트륨 및 calcium alumina silicates의 성분이 많이 함유된 폐기물로 나타났다. 또한 C-산업단지 RDF는 lime 과 calcium alumina silicate 등이 포함된 폐기물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폐기물의 발생원과 연료로서의 RDF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interest on the recovery of thermal energy using the industrial waste has been rising to solve the problems of continuous increase of waste generation and the depletion of the fossil fuel recently. To recovery from the waste among the new recyclable energies has been proved as the most favorable when the potential value of energy source is compared. The RDF made from the industrial waste has been approved as the most economical method.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heavy metal components containing in the industrial waste. The concentration of Cl and S in the industrial waste generated in C-industrial complex are slightly high than that of the B- and A-industrial complex. The main components generated from A-industrial complex, B-industrial complex, and C-industrial complex are alumina-silicates, calcium alumina silicates, and the mixture of lime and calcium alumina silicate.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reveal the origin of inorganic components in industrial waste and utilized as a basic data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RDF as fuel.

      •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에너지 회수효율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권영현 ( Young-hyun Kwon ),강준구 ( Jun-gu Kang ),손지환 ( Ji-hwan Son ),유하녕 ( Han-young Yoo ),고영재 ( Young-jae Ko ),장미정 ( Mi-jeong Jang ),권준화 ( Jun-hwa Kwon ),전태완 ( Tae-wan Jeon ),신선경 ( Sun-kyoung Shi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현행 폐기물 소각시설에서의 에너지회수 관련 규정으로는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3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에너지 회수기준 및 검사방법, 검사기관 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에너지 회수기준으로는 75 % 이상(생산량 기준)으로써 회수된 열에너지를 스스로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공급할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에너지회수 기준마련에 대한 근거가 미비하며, 생산된 에너지를 기준으로 산정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유효 이용에 대한 평가가 곤란하다. 또한, 폐기물 소각시설에서의 연소 성능 및 경제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저위발열량은 연료가 완전히 연소될 때 단위질량당 발생하는 열량(수증기 잠열 제외)으로써 에너지 시장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저위발열량 산정방법으로는 원소분석에 의한 저위발열량, 단열열량계에 의한 저위발열량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있으나 폐기물공정시험 기준에 따라 시료를 분할 채취하여 균일화하여도 폐기물의 대표성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현행 산정방법으로는 지역적 특성 및 계절적 영향 등 소각로에 투입되는 폐기물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생활폐기물 소각시설(4개소)에서의 폐기물 투입량, 증기 생산량 및 사용량 등의 실제 계측기 측정데이터와 배출가스 보유에너지, 방열손실, 바닥재 배출열 등의 현장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저위발열량(Lower Heating Value) 및 에너지 회수효율(Energy Recovery)을 산정하였다. 산정결과를 바탕으로 「자원순환기본법」 시행(2018년 1월 1일부터)에 앞서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에서의 에너지 회수기준 및 산정방법에 대한 제도적 검토와 에너지회수율 기준 및 법적·제도적 정비 방향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