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IS 자료를 활용한 도시 재개발 주변 지역의 일조 환경 분석

        강정은 ( Jung-eun Kang ),박수진 ( Soo-jin Park ),김재진 ( Jae-jin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8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4 No.5

        본 연구에서는 고층 건물 신축에 의한 주변 지역의 일조 환경 변화를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자료를 이용하여 부산광역시 부경대학교 일대를 중심으로 지형과 건물을 구축하고, 고층 건물 건설 전과 후에 대해 계절별로 일조 모델을 수행하였다. 고층 건물 단지 건설 전에도 대상 지역의 남동쪽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와 남쪽에 위치한 봉오리산의 영향을 받아 일조 차단 영역이 넓게 나타났다. 고층 건물 단지 건설에 의해 주변 지역의 일조 시간이 감소하였고, 일출과 일몰 시간대에는 일조 차단 면적이 증가하였다. 일출 1시간 후의 경우에는 춘분(1.60%), 추분(1.58%), 하지(1.50%), 동지(1.36%) 순으로 일조 차단 면적이 증가하였다. 부경대학교 동쪽(남쪽)에 건설된 고층 건물 단지는 일출(일몰)시 서쪽(동쪽)으로 1,000m(750 m) 이상의 지점까지 일조가 차단되었다. 특히, 부경대학교 내부에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에 각각 46.61%, 22.75%, 58.56%, 11.31%의 일조 시간이 감소하였다. 부경대학교 기숙사 건물에 대해 겨울철 1주일 동안 일조 시간을 조사한 결과, 남쪽 고층 건물 단지 건설은 기숙사 건물 서쪽(남쪽) 벽면의 일조 면적을 30.91% (49.45%) 정도 감소시켰다.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the sunshine environment due to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were analyzed by season.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data, the topography and the buildings were constructed aroun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KNU) in Busan. The numerical model was performed for a week in each season,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Even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high-rise building complex, the area of sunshine block is wide due to the apartment complex located in the southeast of the PKNU campus and the mountain in the south. After the construction, the sunshine-blocked area became wider after the sunrise and before the sunset. The area of sunshine block after 1 hour at sunrise increased by 1.60%, 1.50%, 1.58% and 1.36% in the vernal equinox, summer solstice, autumnal equinox and winter solstice, respectively. The building complex in the east (south) of the PKNU campus made shadow in more than 1,000 m (750 m) toward the west (east) just before the sunrise (sunset). Especially, the sunshine duration in PKNU campus decreased by 46.61%, 22.75%, 58.56%, and 11.31% in the vernal equinox, summer solstice, autumnal equinox and winter solstice, respectively. The analysis of the sunshine duration for a dormitory building show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complex in the south of the PKNU campus reduced the sunshine area of the western (southern) wall of the dormitory by 30.91% (49.45%) for a winter week.

      • KCI등재

        원과 관련된 문제에서 각과 호의 관점으로의 접근

        강정기 ( Jeong Gi Ka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2 수학교육 Vol.51 No.4

        It is not easy to find the auxiliary line to solve the problem in connection with the circle, where it is the problem finding the central angle or angle at the circumference in a circl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give an aid for this difficulties. The angle at the circumference is closely related to the arc. And so we looked into the problem in connection with the angle at the circumference in point of view of the arc. We have got the following the results. It is not necessary to draw the auxiliary line when solving the problem in connection with the angle at the circumference in point of view of the arc. And we can find the reason to draw the specific auxiliary in point of view of the arc. We hope that the results of research are given aids to a lot of students.

      • KCI등재

        교사들의 인지적·비인지적 교사학습을 반영한 세계시민교육 교사연수 모형 개발

        강정진(Kang, Jung-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3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연수 기간 동안 어떠한 인지적·비인지적 교사학습을 경험하였는지 사례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교사연수 모형을 교사학습 중심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각 연수 모형의 특징들을 도출하여 인지적·비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교사학습 중심의 교사연수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사학습 중심의 교사연수 모형을 2차례에 걸쳐 12주 동안 적용한 후(1차 2016.5.1. - 7.15, 2차 2016.9.5. - 11.30), 9명의 현장교사들의 학습 결과물, 연구일지, 온라인 채팅 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 교사들은 인지적·비인지적 교사학습의 과정을 경험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인지적 교사학습을 경험하는동안 개인적으로 학습하고 모듈을 개발하는 개인학습, 온·오프라인에서 다른 교사와 협력하여 학습하면서 수업 모듈을 수정 및 발전시키는 사회적 학습, 그리고 수업 적용 후 참여 교사들의 피드백과 개인의 성찰을 통한 성찰적 학습을 경험하였다. 둘째, 교사들의 비인지적 교사학습으로는 공감대 형성을 통한 심리적 안정, 개인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동기 발달, 연구자로서의 참여 의지, 개인의 내·외적 요구 해소 등을 경험하였다. 특히 비인지적 교사학습의 경험은 인지적 교사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였으며 연수의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 지적·비인지적 교사학습을 고려한 교사학습 중심의 교사연수 모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of in-service teachers who attended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rom the literature review,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were analyzed through the lens of the teachers’ learning perspectiv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models, a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 based on teacher-learning was developed and applied. After applying this model, nine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ir lesson plans, the researcher’s journals, online conversations, and so 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cognitive and non-cognitive teacher learning processes. First, while experiencing cognitive teacher learning, participants learned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and lesson modules by themselves, developed their knowledge and skills by interacting with other participants through on/offline meetings, and transformed their knowledge and practice by reflecting on their work. Second, the participants also experienced non-cognitive teacher learning, such as stabilizing their emotions, developing their motivations, engaging as researchers, and solving personal nee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 based on teacher-learning was suggested which considers teachers’ cognitive and non-cognitive perspectives.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초등 예비교사의 영어 수업분석 관점 탐색

        강정진(Kang, Jung-Jin),김종민(Kim, Chong Min)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21 영어교과교육 Vol.20 No.4

        This study explore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ewpoint on the analysis of English lesson, using text mining. For this purpose, seventy-nine pre-service teachers developed an English lesson analysis instrument by themselves and analyzed one English lesson video using this instrument. The authors analyzed, visualized, and compared the pre-service teachers’ lesson analysis using a text mining method, which was provided in R program. The text mining method shows frequent keywords on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viewpoint and their interests in the English lesson video. It categorizes eight topics of pre-service teachers’ viewpoint and interests as well as explains the relative comparison conducted by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It also drew the semantic networks using bi-gram. Based on the data analysis, pre-service teachers’ viewpoint on the analysis of English lesson analysis is various but unsystematic. Thus, teacher-educators need to design systematic lesson observation and analysis courses and scaffold pre-service teachers’ lesson analysis skills. Future research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long with various text mining techniques, are suggested.

      • KCI등재

        회전식 프레임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실내 3차원 모델링 및 정확도 평가

        강정인 ( Jeongin Kang ),이임평 ( Impyeong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6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2 No.5

        We propose a rotating stereo frame camera system to acquire indoor images with a low cost. For experiments, we selected a test site and acquired images using the proposed system and control points using a total station. Using these data, we generated various indoor 3D models using commercial photogrammetric software, PhotoScan. We then perform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generated indoor 3D model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he indoor modeling using the proposed system. From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generated indoor models using the proposed system can be applicable to the services not inquiring high accuracy.

      • KCI등재

        지자체 도시기본계획의 홍수예방정책 평가: 미국 플로리다 사례를 중심으로

        강정은 ( Jung Eun Kang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환경정책연구 Vol.11 No.4

        계획가들은 지자체가 기후변화로 심화되고 있는 홍수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지고 적절한 홍수예방정책을 도시계획에 통합하고 반영한다면 홍수피해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이러한 계획가들의 생각을 검증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지자체 도시기본계획에 채택된 홍수예방정책들의 종류와 수준을 계획평가 방법론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주요 홍수예방정책들로 구성된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플로리다 53개 지자체 도시기본계획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도시별로 도시기본계획에서 채택한 수해예방정책의 종류와 수준이 상당히 다양함을 보였다. 플로리다에서는 홍수터의 토지이용 규제, 습지개발허가제 등 토지이용규제를 활용한 홍수예방정책들이 폭넓은 동의를 얻어 활용되고 있는데 반해, 취약지에 대한 토지수용, 인센티브를 활용한 홍수예방정책들은 자주 채택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해안가 도시들이 내륙도시보다는 도시계획을 통한 홍수예방에 훨씬 더 높은 관심을 보였다. 연구대상인 53개 계획의 평가점수는 평균 38.55로, 획득가능한 점수의 약 35.69%에 해당하여 여전히 지자체 차원에서 다양한 홍수예방정책이 수립되고 활용되고 있지 않으며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더 많은 관심과 개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계획평가의 개념과 방법론은 기존계획의 수준을 평가하거나, 새로운 정책이나 계획을 준비하는데 유용한 틀을 제공하므로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환경, 재해 이슈에 적용할 수 있다. ‘Planning researchers’ believe that losses from floods can be reduced if governments address this issue and adopt appropriate policies in their plan. As a starting point for examining this idea, this research assessed the ability of local government to incorporate flood mitigation policies in their local comprehensive plans using plan quality evaluation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d 53 local comprehensive plans in Florida against the protocol developed by including key flood mitigation policies. While flood mitigation through land use management tools, such as permitted land use in floodplain areas and wetland permit, gained widespread acceptance at the local level in Florida, incentive based tools/taxing tools and acquisition tools were rarely adopted. Study results show that 53 local plans in the sample received a mean score for total flood mitigation policy quality of 38.55, which represents 35.69 % of the total possible poi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still considerable room for improvement by local governments on flood issues. The scores of local plans varied widely, with coastal communities receiving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non-coastal communities. Because the concept of the plan quality and its methodology offer an objective and straightforward tool for studying plan quality and guiding plan preparation, they can be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al and hazard issues in Korea.

      • 트위터에서의 악성코드 유포 실태조사

        강정인 ( Jung-in Kang ),도희성 ( Heesung Do ),이희조 ( Heejo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7 No.2

        최근 전세계적으로 마이크로-블로그 형태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확산되어가고 있으며, 트위터(Twitter)란 이러한 가장 대표적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트위터를 매개로써 이루어지는 악성코드 유포 행위를 조사하기 위해 트위터에 올라오는 게시물(Tweet)들에서 약 93 만개의 링크를 임의 추출하여 다운받았고, 이중 7 개의 악성코드 배포 계정을 검출하여 해당 게시물과 계정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