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환경 역량강화를 위한 환경 교양교육의 새로운 모색: 동국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강윤재(Kang, Yunjae) 문학과환경학회 2019 문학과 환경 Vol.18 No.2

        이 글은 환경 교양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찾기 위한 출발점으로, ‘환경 역량강화’라는 개념에 주목하고 있다. 환경문제가 단순한 참여를 넘어서서 문제해결 역량을 갖추는 것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환경 관련 활동 및 정책에서도 전문성에 포획되지 않고 시민적 자율성을 유지하는 것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의 문제의식은 동국대의 환경 교양교과목인 〈지구, 환경, 공생〉에서 비롯되었다. 이 글에서 주목하고 있는 주요한 이론적 개념은 ‘환경 역량강화’와 ‘시민과학’이다. 전자가 환경 교양교육의 목표라면, 후자는 유용한 수단이자 새로운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현실적 사례로는 동국대의 교양수업인 〈지구, 환경, 공생〉에 주목하고 있고, 실패를 통한 학습의 차원에서 환경 교양교육의 새로운 모색에 필요한 교훈을 도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동국대의 경험을 바탕으로 환경 역량강화를 목표로 하고자 했을 때 요구되는 환경 교양교육의 과제를 시론적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민과학의 활용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This essay aims to look at the new direction and possibilities of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Even though citizen engagement is regarded as having a key role in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it is evaluated to be unsatisfactory in our case. In turn, we need good programs for civil education of environment, and, as part of those,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can be given as a good option. Based on the case study of 〈Earth, environment, symbiosis〉, the course of general education in Dongguk Univ., I try to search for the new direction of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and explore what we have to do for good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suggest two key concepts: ‘environmental empowerment’ and ‘citizen science’. Especially, I want to focus on ‘citizen science’, because large parts of citizen science programs include in ecological research area and have a potential to be good tools for new direction of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Based on my experience on running the course of 〈Earth, environment, symbiosis〉 and case studies on that course, I try to suggest some factors for reconstructing the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by interconnecting between citizen science programs and the courses of general education for environment in colleges. 이 글은 환경 교양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찾기 위한 출발점으로, ‘환경 역량강화’라는 개념에 주목하고 있다. 환경문제가 단순한 참여를 넘어서서 문제해결 역량을 갖추는 것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환경 관련 활동 및 정책에서도 전문성에 포획되지 않고 시민적 자율성을 유지하는 것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의 문제의식은 동국대의 환경 교양교과목인 〈지구, 환경, 공생〉에서 비롯되었다. 이 글에서 주목하고 있는 주요한 이론적 개념은 ‘환경 역량강화’와 ‘시민과학’이다. 전자가 환경 교양교육의 목표라면, 후자는 유용한 수단이자 새로운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현실적 사례로는 동국대의 교양수업인 〈지구, 환경, 공생〉에 주목하고 있고, 실패를 통한 학습의 차원에서 환경 교양교육의 새로운 모색에 필요한 교훈을 도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동국대의 경험을 바탕으로 환경 역량강화를 목표로 하고자 했을 때 요구되는 환경 교양교육의 과제를 시론적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민과학의 활용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This essay aims to look at the new direction and possibilities of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Even though citizen engagement is regarded as having a key role in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it is evaluated to be unsatisfactory in our case. In turn, we need good programs for civil education of environment, and, as part of those,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can be given as a good option. Based on the case study of 〈Earth, environment, symbiosis〉, the course of general education in Dongguk Univ., I try to search for the new direction of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and explore what we have to do for good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suggest two key concepts: ‘environmental empowerment’ and ‘citizen science’. Especially, I want to focus on ‘citizen science’, because large parts of citizen science programs include in ecological research area and have a potential to be good tools for new direction of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Based on my experience on running the course of 〈Earth, environment, symbiosis〉 and case studies on that course, I try to suggest some factors for reconstructing the environmental general education by interconnecting between citizen science programs and the courses of general education for environment in colleges.

      • KCI등재

        식품위험정책과 전문성의 정치

        강윤재(Yun-Jae Ka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1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6 No.2

        이 글은 우리나라에서 대표적 식품위험사건으로 알려져 있는 세 사건―우지 사건, 우유 사건, 만두 사건―을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 세 사건은 우리나라 식품위생정책의 후진성을 잘 보여주는 예로, 식품위생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언론에 반복해서 등장한다. 후진성 극복 담론은 전문성의 강화와 선진제도 도입을 해결책으로 제시한다. 시대적 환경 변화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음으로써 후진성 극복 담론은 전문성의 프레임에 갇힐 수 있다. 그 현실적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전문성(선진화)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 식품위험정책은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낳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악용될 소지도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식품위생정책은 전문성과 함께 대표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런 현실을 직시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의 정치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전문성의 강화를 통한 문제해결전략은 기술관료적 위험거버넌스를 낳을 수 있는데, 이는 결국 소비자운동을 비롯한 시민참여를 체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성은 물론 대표성을 함께 고려한 참여적 위험거버넌스의 확립이 요구된다. This essay focuses on the lessons drawn from three food risk accidents―so called “tallow accident”(1989), “milk accident”(1995), and “dumpling accident”(2004), which have been known as the most famous food risk accidents in Korea. These risk accidents has been repeatedly appeared in the mass media as the symbol of the backwardness of Korean food hygiene policy. The catching-up discourse on food hygiene has a tendency to put out the adoption of advanced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the enhancement of expertise as a solution. Without considering the real world’s change properly, the catching-up discourse is likely to be trapped in the frame of expertise, because the politics of expertise has been rapidly becoming a matter of concern in Korean food hygiene policy. We need to be aware of the side effect of expertise-dependent food hygiene policy. So, we should consider not only expertise but also representativeness in the food safety policy. This means that we also try to replace the traditionally technocratic risk governance as the participatory risk governance.

      • KCI등재

        위험 인식론과 STS적 관점

        강윤재(Kang Yun-Jae) 한국과학기술학회 2008 과학기술학연구 Vol.8 No.2

        이 글은 과학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더 위험해졌다는 현대사회의 딜레마를 출발점으로 삼아 STS적 관점의 위험 인식론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근대적 이원론에 근거한 전통적 위험 인식론은 위험의 객관성과 위험의 맥락성 어느 한 쪽만을 주목한 채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의 관계는 소홀히 다루는 경향이 있다. STS적 관점은 이와 같은 근대적 이원론을 넘어서서 통합적 위험 인식에 대한 새로운 요구에 기반한다. 이 관접은 객관적 위험(자연)과 맥락적 위험(사회)의 “다리 놓기”를 넘어서서 “공동생산”으로 나아가고 있는데, 그 중심에는 새로운 하이브리드의 출현과 이질적 네트워크의 복잡화가 자리잡고 있다. 이런 특징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으로 기술권(technosphere)을 제시한 후, 개념의 잠재성을 평가한다. This essa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risk epistemology based on STS perspective. The starting point is the modern society's dilemma that the more technoscience has been developed, the more modem society has become riskier. The conventional risk epistemology, based on modernist dualism, has a tendency to be neglig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society and technoscience, since it has only paid attention to either side of objectivity of risk or context of risk. In contrast, STS perspective on risk makes a point of focusing on the need of constructing the comprehensive risk epistemology, instead of the traditional approach based on modernist dualism. Now, this perspective goes ahead through "bridging" between objective risk(nature) and contextual risk(society) toward co-production of risk, as a result that we can no more turn our head from the emergence of new hybrids and, in turn, increase of complexity of heterogeneous networks. As such I suggest the concept of technosphere so as to reflect and display these characteristics of this perspective, and assess the potentiality of the concep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구성된 위험과 위험의 사회학의 새로운 모색: 불확실성과 시민과학을 중심으로

        강윤재(Kang, Yun-jae) 한국이론사회학회 2020 사회와 이론 Vol.37 No.-

        이 글은 불확실성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의 위험문제를 새롭게 이해하려는 노력이다. 불확실성은 위험문제의 전통적 해결방식에 난관을 조성하고 있으며 동시에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성찰을 요구함으로써 대안적 모색을 위한 기회를 제공해준다. 위험의 사회학은 바로 이런 불확실성의 이중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곧 자연-사회의 이원론을 그대로 유지한 채 사회적 영역의 비중을 늘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 신[新]분업체계를 구축하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위험문제의 대안적 해결방식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모색에 나서야 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위험정책 과정에서의 시민참여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한 걸음 더 나아가서 과학지식의 생산 과정에서의 시민참여의 활성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지식생산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시민과학은 흥미로운 연구대상인데, 시민과학 단체 세이프케스트(Safecast)의 사례는 그 유용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This essay aims to look at risk problems in modern society in a new perspective, centered on the concept of uncertainty. Uncertainty tends to have an opposite role in the risk debate or risk governance; it is likely to become obstacles hard to overcome, but it could be given as a new opportunity to seek an alternative ways to overcome crisis. The Sociology of risk needs to give much attention to the duplicity of uncertainty, however, it must not be understood that this means that the sociology of risk tries to increase social dividends under the neo-division-of-labor system, based on nature-society dualism. Rather it needs to go on an adventure to find out new way to “heart of risk problems”, which mainly related with risk knowledge product. For this, the reach of civic engagement needs to be extended to the process of risk knowledge production, not stayed within the process of risk policy. Citizen science could be regarded as one of best candidates to this extension of civic engagement, and the case study of Safecast, a grass-root citizen science organization, shows its potential.

      • KCI등재

        황우석과 파스퇴르 그리고 ANT

        강윤재(Kang Yun-Jae) 한국과학기술학회 2007 과학기술학연구 Vol.7 No.1

        STS는 황우석 사건의 이해에서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 STS의 분석도구를 이용하면 황우석 사건을 다룬 전통적 사회과학에 입각한 분석들이 드러내지 못한 새로운 함의를 도출할 수 있을까? 이 글은 이런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STS의 대표적 분석도 구라 할 수 있는 행위자연결망이론의 일부 관점과 개념을 이용하여 황우석 사건을 분석하고 있다. 황우석 사건이 정상적 과학 활동과 거리가 먼 일탈적 현상이 아니라는 점을 성공한 대표적 과학자인 파스퇴르와의 유사성을 통해 말하고자 했고, 파스퇴르의 성공의 길과 황우석의 실패의 길을 비교분석하는 개념으로 이동, 번역, 치환을 동원했으며, 그 둘의 갈림길에는 “실험실 정치력”의 차이가 놓여 있음을 밝혔다. 파스퇴르는 실험실을 지렛대로 삼아 “이중적 이동”에 성공함으로써 자신의 세계를 구축할 수 있었던 반면, 황우석은 실험실을 상징적 존재로만 활용했을 뿐 ”진정한” 정치력의 원천으로 만들지 못함으로써 이동의 원동력을 상실하고 “과학 정치꾼”으로 전락하고 말았던 것이다. Could STS throw another-colored light on the Hwang's Affair, the scientific fraud committed by Hwang Woo-Suk and his research team in Korea? And could analytic tools of STS unfold another meanings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most of the traditionally social-sciences-oriented analyses? In this essay, I try to answer these questions by analyzing the Hwang's Affair in the view of STS, especially by using some concepts of actor-network theory(ANT): movement, translation and displacement. I want to say that the Hwang's Affair seems to be a part of normal scientific activity, not an abnormal phenomenon, and as an evidence, focus on the similarities of their life styles between "pure/real scientist" Louis Pasteur and "impure/political scientist" Hwang Woo-Suk. I try to mobilize some concepts of ANT, especially movement, and find out why scientists came to move toward the opposed direction on the pure/real-impure/political line. I suggest that there exists "laboratory politics" as the key factor in this bifurcation. My tentative conclusion is that Pasteur can take a position to make his great world, so-called the Pasteurian world, owing to the success of "double movement" in which he treated his laboratory as a fulcrum to lift up the world, but Hwang degrades himself to "ugly scientific politician" due to the loss of the momentum of his movement; Hwang treated his laboratory only as the symbolic resources and in tum failed to solidify material entities, his real political resources, even though he knew the importance of laboratory.

      • KCI등재

        원전사고와 민주적 위험 거버넌스의 필요성

        강윤재(Kang Yunjae)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91

        이 글은 후쿠시마 원전사고에서 배울 수 있는 교훈으로서 원전 위험 거버넌스에서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현재 지배적인 전문가 중심의 위험 거버넌스로는 원전사고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대안으로서 민주적 위험 거버넌스로의 전환을 모색한다. 이론적으로, 위험관리의 가능성과 관련하여 정상사고론과 고신뢰조직론을, 불확실성의 대응전략으로 탈정상과학을 검토하고 있다. 그리고 전문가 중심의 위험 거버넌스의 한계와 문제점을 밝히고 있다. 먼저, 공학적 토대인 심층방어시스템의 취약성을 살펴보고, 전문가적 통제의 한계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그 대안으로 민주적 위험 거버넌스를 제안한다.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민주적 위험 거버넌스의 현실화 방안인데, 선택력과 선택지의 공진화적 관계와 에너지 시나리오를 통한 접근을 개념적 차원에서 제시했다. This essay emphasizes the need of paradigm shift in the risk governance of nuclear power plants by hint of the lessons of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disaster. We should find out an alternative risk governance, because expert-centered risk governance, now dominant, is not a good option for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In theory, I compare NAT vs HRT, which are opposed to the unavoidability of the accident of nuclear power plants, and review post-normal science, which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uncertainty of technological systems. I attempt to clarify the limits and problems of the expert-centered risk governance, especially through the weakness of defense-in-depth system and the limit of expert control in the nuclear power plants. I propose the democratic risk governance as an alternative, and try to find out the conditions for actualization of it. As a concept, I propose the co-evolutional relationship between selective power and options, and an energy scenario approach.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과학 고전읽기 수업의 개선 방안 모색 : 동국대학교 <“자연과 기술” 세계명작세미나>의 사례를 중심으로

        강윤재(Kang, Yunjae)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4 교양학연구 Vol.- No.27

        이 글은 과학 고전읽기 수업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대학 교양교육에서 과학 고전읽기 수업의 전개 과정과 현황을 살펴보고 있다. 그리고, 동국대의 <“자연과 기술” 세계명작세미나>의 사례를 분석하고, 운영 방식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도출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과학 고전읽기 수업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먼저, 독서 프로그램에서는 텍스트의 난이도에 따라 텍스트 읽기와 이해하기가 분리되는 현상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으로 미니퀴즈의 효과적 활용과 문답식 수업 및 수업참여 점수 활용을 제안하고 있다. 후속 프로그램은 발제・토론 수업과 에세이 작성으로 구분되는데, 전자에서는 조 구성 및 발제의 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과 발제의 질(質) 보증 및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를 촉진하는 방안으로 과학기술의 사회적 논쟁 사례연구 방법론의 도입과 (비)대면 면담의 적극적 활용에 더해 노트북 등 전자기기의 적극적 활용 권장 및 수업참여 점수의 활용 등을 제안하고 있다. 에세이 작성에서는 학생들의 부담을 덜어주면서도 성취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발제 주제와 에세이 주제의 연동을 제안하고 있다. This article seeks ways to improve science classics reading classes. We review the short history of science classics reading classes in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case study of Dongguk Universitys <“Nature and Technology” Great Books Seminar>, we try to derive some problems that need to pull up the process and contents of science classics reading classes. We propose some distinctions between reading program and follow-up programs. In reading program, effective use of mini-quizzes and question-and-answer classes were introduced as a way to independently promote text reading and text understanding. The use of class participation scores is proposed as an improvement plan. In the case of the follow-up program, the presentation/debate class emphasized the need for a new approach to group composition and presentation methodology, guaranteed the quality of presentations, and prepared ways for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while essay-writing relieved students of their burden and gave them a sense of accomplishment. The task was to come up with a new way to feel it. In addition to the introduction of a case study methodology for social debat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active use of (non) face-to-face interviews, it is proposed to encourage active use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laptops and use class participation scores. Regarding essay-writing, linking the topics between presentations and essays is suggested as an improvement plan.

      • KCI등재

        광우병 위험과 촛불집회

        강윤재(Kang Yunjae)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89

        이 글은 2008년 한국사회를 휩쓸었던 광우병 위험과 촛불시위를 과학(위험)과 정치라는 분리된 별개의 영역이 아니라 과학과 정치가 뒤섞여 있는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해하기 위한 시도이다. 또한, SARF(위험의 사회적 증폭 프레임)라는 분석틀을 통해 낮은 위험에 대한 과도한 사회적 반응이 예외적이고 비합리적이며,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정상적이고 일반적이며, 반복적인 사회적 메커니즘임을 보이고자 했다. 이를 위해 SARF를 간략하게 소개하고, 2008년 미국산 쇠고기에 따른 광우병 사태를 SARF의 분석틀에 맞춰 그 진행과정을 재해석했다. 이를 통해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관점과 접근에 주목해야 할 필요성과 함께 광우병 사태의 원인과 경과에 대한 합리적 인과론에 집착할 필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부의 위험관리기관의 신뢰성과 시민들의 적극적 참여 보장이 더욱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우병 사태의 핵심에 소통의 부재가 자리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이 글은 소통 부재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진단해보고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과 유용성을 강조함으로써 사회적 갈등(논쟁)에 대한 생산적 해결책 마련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essa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BSE risk and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 swept away Korean society in 2008, as a continuous process in which the science(risk) and politics is mixed. Through SARF(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framework), it shows that we need not to consider the low-risk-however-social-overreaction phenomenon in the BSE affair as an extraordinary, irrational, and unique one. Rather, we have a chance to find a way to explain the phenomenon as an ordinarily, normally, and reiteratively social mechanism. To this end, I introduce SARF briefly, and analyze and reconstruct the process of 2008 Korean BSE affair due to importing U.S beef by applying SARF to it. We have a conclusion that we should pay our attention into the significance of the viewpoint and approach of risk communication for understanding BSE affair comprehensively, as well as we need not to stick to the reasonal casuality about the process of BSE affair. Rather, we ascertain that the trust of risk management agency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eople are more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is case. It is well known that lack of communication lies in the center of BSE affair. In this aspect, this essay systematically diagnoses the cause of lack of communication, and give some suggestions about a productive solution to the social confl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