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엇이 한국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가?

        강우진 한국정치정보학회 2020 정치정보연구 Vol.23 No.3

        What determines the Korean's satisfaction with life(Subjective Wellbeing)? Why does Korean people‘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life not improve despite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This article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institutional trust model, the social status model and the social mobility model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lso paid attention to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trust/dis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 trust and life satisfaction.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analyzed using the 7th World Value Survey is as follows. First, the determinants of Korean life satisfaction were multidimensional. The social status model, social mobility model, and institutional trust model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 satisfaction with life. In particular,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trust/distrust variables confirm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article showed that subjective perception has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 ' life satisfaction. It also confirmed that institutional trust over Korean democracy's main branches is an essential factor in the Korean's life satisfaction. 무엇이 한국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가? 한국 사회가 이룩한 경제발전에도 불구하고 왜 한국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는 개선되지 않는가? 이 글은 앞선 연구에 기반을 두어 도출한 두 모델(사회지위 모델과 사회이동성 모델)에 더하여 제도신뢰 모델이 한국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했다. 또한, 제도신뢰 변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인신뢰/불신 변수가 미치는 조절효과에 주목했다. 세계가치조사 7차 조사를 활용하여 분석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은 다차원적이었다. 시회지위 모델, 사회이동성 모델, 제도신뢰 모델이 한국인들의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데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이 글의 실증 분석 결과 대인신뢰/불신 변수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글의 분석 결과는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으로서 한국 사람들의 주관적 인식이 객관적 지위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민주주의를 구성하는 핵심 제도에 대한 신뢰가 한국 사람들의 삶의 만족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해 주었다.

      • KCI등재

        A Contextual Analysis of Electoral Choices in East Asian Emergent Democracies: The Case of the 2004 Taiwan Legislative Election

        강우진 한국정치학회 2013 한국정치학회보 Vol.47 No.6

        When voters are not systematically linked to a party system, what factors play a crucial role in voters’ decisions? This study contends that in order to explain electoral choice in new democracies, it is necessary to take contextual effects into account. When traditional partisan cues fail to provide shortcuts for electoral choices, voters tend to rely upon contextual factors to gather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make an electoral choice. Based on empirica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electoral choices in the 2004 Taiwan elect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relevance of the contextual framework to explain electoral choice in new democracies. In particular, this study finds that political discussion through informal networks is important in determining electoral choice and has an effect on voter’s conversion of preference in the 2004 Taiwan elec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electoral behavior.

      • KCI등재

        TV토론의 투표선택 효과: 제19대 대통령선거 사례분석

        강우진,배진석 대한정치학회 2018 大韓政治學會報 Vol.26 No.2

        The study highlights the political context in which TV debates can take effect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in 2017. In this political context, this study argues that TV debates are not limited to changes in perceptions such as change in favor of candidates, but also to concrete actions such as candidate change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posure to TV debates and candidate selection,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at voter efficacy of TV debates regarding comparison of candidates’ quality has a direct effect on candidate selection.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this study argues that the falling popularity of Ahn Cheol-soo came from his poor performance in the TV debate 이 연구는 2017년 제19대 대선에서 새로운 형식으로 실시된 TV 토론이 대통령선거 후보자에 대한 호감도 변경뿐만 아니라 후보변경에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치적 환경이 조성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제19대 대선에서 TV 토론 효과가 이미 지지하고 있는 후보에 대한 지지강화에 그치지 않고 지지후보를 변경하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지 검증한다. 기존 연구가 TV 토론의 시청 여부 혹은 시청 횟수와 후보선택 간의 인과관계에 주목했다면, 이 연구는 유권자의 TV 토론 효용성에 대한 평가가 후보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분석대상인 19대 대선은 대통령 및 측근의 국정 농단으로 벌어진 헌정사상 초유의 탄핵으로 조기에 실시된 선거인만큼, 그 반대효과로 후보자 개인의 자질에 대한 유권자의 관심이 증폭될 수밖에 없었다. 이 연구는 TV 토론에서 후보자 자질에 관한 비교가 유용했다고 평가하는 유권자일수록 지지후보를 변경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가설을 제시하고, TV 토론에서 부진이 두드러졌던 안철수 후보 지지자들의 이탈 원인이 TV 토론의 효과였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 민주주의 3국 시민들의 복지 태도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 아시아 가치와 제도 신뢰의 영향을 중심으로

        강우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9 아시아리뷰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t determinant of the welfare attitude in three East Asian democracies. The three East Asian democracies, known as dramatic cases, had attained rapid economic success along with modest wealth distribution. However, since the mid-1990s and in particular after the global economic crisis in 2007-2008, Economic inequality became the most salient issues in these societies. With these socioeconomic changes, are there changing patterns in the determinant of the welfare attitude in these societies? Based on the latest wave of Asian Barometer S urvey,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strong evidence that Asian values do not play a significant determinant for welfare attitude in East Asian society. The three dimensions that measures Asian values do not exercise a consistent effect across the four models. Furthermore, the direction of familism as the determinant of welfare attitude was rather opposite to the expectation of the Asian value approach. Those who put family interest first are more likely to demand an active governmental role in dealing with equality. On the contrary, citizen’s evaluation of fairness of income distribution has consistent effects across the models. This study documen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welfare attitude is no invariant. 이 글은 동아시아 민주주의 3국(한국, 대만, 일본) 시민들의 복지 태도 결정 요인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동아시아 3국은 급속한 경제 성장과 완만한 부의 분배를 같이 이룬 성장과 분배의 예외적인 조합으로 찬사를 받았던 대표적인 나라이다. 하지만 1997년 동아시아 경제 위기와 2007-2008년 세계 경제의 대침체를 겪으면서 성장과 분배가 결합되었던예외적인 축복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았다. 그렇다면 이러한 사회 경제적 변화와 함께 아시아 민주주의 3국의 복지 태도결정 요인에는 어떠한 변화가 발생했는가?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고자 한 것이다. 아시아 바로미터(Asian Barometer Survey, ABS)의 가장 최근 조사인 4차 조사를 이용하여 분석한 경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시아 가치(Asian Value)는 더 이상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 시민들의 복지 태도를 결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복지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선호에서 아시아 가치는 세 국가를 관통하는 일관된 영향력을 미치지 않았다. 특히, 전통적으로 아시아 가치의 중심 요인으로 복지 제공자 역할을 했던 가족 중심주의는 변화된 사회 경제적 조건에서오히려 적극적인 정부 정책을 요구하는 역할을 했다. 시민들의 소득 분배 공정성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동아시아 3국에서 모두 일관되게 정부의 적극적인 복지 정책에 대한 선호로 이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