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 프레임워크 개발

        강영옥,피민희,조아라,이주연,Kang, Young-Ok,Pi, Min-Hee,Cho, A-Ra,Lee, Joo-Y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2 No.1

        The goal of U-Eco City testbed is improving the technical completion of ubiquitous technology/Services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other core projects in U-Eco City, by implementing newly developed ubiquitous technology/Services to testbed. When the newly developed ubiquitous technology/Services are implemented in the testbed, we will monitor whether the developed ubiquitous technology/Services can be applied in the real situation and if they have problems we will find out the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s. Final goal of this reaserch is framework development for the U-Eco City construction guideline. We developed the framework development for the U-Eco City construction guideline by i)analyzing steps for construction of U-Eco City, ii) analyzing details of each steps for construction of U-Eco City, and iii) including results of research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other core projects in U-Eco City. 현재 유비쿼터스 도시개발과 관련한 사업계획 수립이나 설계과정은 사업수행자의 역량에 따라 과정이나 고려사항이 다양하고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지방자치단체는 유비쿼터스 도시 개발 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요소들이 제대로 분석되지 않아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은 유비쿼터스 도시개발의 전 과정과 U-Eco City R&D 사업의 성과물을 체계화하여 지방자치단체 및 사업수행자가 활용할 수 있는 지침서 작성을 목적으로 한다. 본격적인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의 개발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U-Eco City 구축의 세부단계별 과정 및 핵심고려사항을 체계화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레임워크는 관련단계에서 수행해야할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U-Eco City 사업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며, U-Eco City 사업의 성과물을 체계적으로 담아내는 기본틀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서울시 화재위험지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강영옥,박미라,Kang, Young-Ok,Park, Mi-Ra 한국방재학회 200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5 No.1

        지금까지 재난에 대한 대비는 재해 발생시 대응 및 복구에 초점을 두었지만 예방적 차원의 접근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재해에 취약한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도시관리차원에서 필요한 방재지도의 유형으로 화재를 상정하여 화재위험지역을 선정하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 기준에 맞춰 서울시 종로구 창신동을 사례지역으로 하여 화재위험지도를 시범적으로 구축하였다. 화재위험지도 작성은 방재업무에 있어 지역성에 기초하여 취약지구를 사전에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지구단위계획등의 도시계획업무에서 방재를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수립 및 도시계획시설 배치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area of disaster management, we have more focused on the rapid response and recovery, but preventive approach for disaster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For mitigation of disasters, we need to analyze the vulnerable area according to each disaster, and need to manage those area systematically. In this research, we selected the fire as a type of disaster, developed guideline of construction of vulnerability map of fire, and built the vulnerability map of fire in Changshin-Dong, Jongro-Gu, Seoul as a case study area. The vulnerability map of fire can be applied to grasp the vulnerable area in advance and manage it systematically. In addition, it can also be applied in the landuse planning and the rearrangement of infrastructure for the mitigation of disaster when we build detail city planning.

      • 국가기초구역기반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전략

        강영옥,강애띠,Kang, Young Ok,Kang, Ae Tti 한국공간정보학회 2013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2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이용하여 합리적 의사결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축적된 사람, 건물, 토지, 사업체 등에 대한 공간정보가 필요하다. 해외에서는 공간의 최소단위를 정의하고 이 기반으로 정보를 구축하여 공간적 의사결정서비스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국가기초구역이 고시되었지만 국가기초구역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속성정보의 구축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가기초구역단위 공간데이터 축적을 통해 국가기초구역기반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구축하는 전략제안을 목표로 한다. 전략은 정보시스템 구성요소에 맞도록 제도부문, 데이터 및 시스템 부문, 서비스 부문으로 나누어 제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국가의 최소 공간단위로서 국가기초구역의 역할이 더욱 견고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The accumulation of spatial information - people, building, land and businesses- is required to make a rational decision successfully by utilizing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SDSS). Many foreign countries have utilized the SDSS by defining the minimum unit of spatial area and implementing the spatial database based on it. Even though in Korea, National Basic Districts were created for the purpose of utilizing these districts as a basic area, they have not been utilized as a basic area of managing the spatial database due to the lack of attributes data. Therefor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strategies of building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through the accumulation of the spatial data based on National Basic Districts. We propose the strategies in three different fields - legal system, database and application, services. We expect that the role of National Basic Districts w ill be strengthened by executing our strategies as a minimum spatial unit of Korea.

      • 건축물관련 행정자료의 정비방안 : 건축물관련 정보 통합활용을 중심으로

        강영옥,이주일,박미라,Kang, Young-Ok,Lee, Joo-Il,Park, Mi-Ra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6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8 No.3

        건축물관련정보는 도시관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이다. 건축물관련 행정자료는 건축물대장을 비롯하여 과세대장, 등기부자료, 위법건축물자료, 개별주택특성조사자료등 다양한 자료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나름대로의 특징이 있으며, 건축물 정보로서 활용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정보화시대에 있어 효율적이고 과학적 도시관리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점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건축물 관련 행정자료들의 특성과 활용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둘째, 건축물 관련자료 정비를 위한 기본방향을 정립한 후, 마지막으로 문제점 유형별로 정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도시관리를 위해 가장 중요한 정보인 건축물관련 정보를 정비하고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Building related inform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ramework data for the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However, building related registers have its own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t have limitation to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Those situations are obstacle for the efficient and scientific urban management in the information era. This research focused on three aspects first,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building related registers, second, set the direction to improve accuracy of building related information, and finally suggested solution to improve the accuracy of buil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its problem typ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set detail guideline to improve building related information, which could be immediately used in local government for the systematic urban management.

      •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다중집합장소의 시민서비스 고도화 방안 : 지리공간 웹 기반 서비스 제공을 중심으로

        강영옥,김희원,Kang, Young-Ok,Kim, Hee-Won 한국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6 No.1

        유비쿼터스 기술을 실생활에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은 기업은 물론 중앙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사업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다중집합장소를 중심으로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하여 시민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한 전략적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해 지면서, 유비쿼터스 서비스 모델은 보편적 지도위에 참여와 협업을 전제로 하는 모델이 구상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으로 이용 가능한 디지털 지도의 구축, 디지털 지도기반의 컨텐츠 제작, 이와 관련된 유비쿼터스 시설 설치, 그리고 컨텐츠 확보를 위한 기존 홈페이지의 웹 표준화 및 자료정비, 기존자료를 인터넷지도와 연계하여 지리정보 및 속성정보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인터넷고도화 사업을 제안하였다. 향후의 유비쿼터스 서비스는 기술적 관점 뿐 아니라 그 장소를 활용하는 시민, 기업, 공공부분의 특성과 이들이 요구하는 수요에 기반 하는 서비스 모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 기반에는 지리공간 웹이 핵심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Enterprises as well a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tried to apply ubiquitous technology to the actual life on the various types of business and projects. In this paper we develop strategic plan to provide public service on public areas based on needs analysis of public services as well as trend analysis of ubiquitous and web technology. Ubiquitous service model should be based on geospatial web which can incorporat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concepts, as the wire/wireless network system develop rapidly. To achieve this purpose, we suggest the following projects; 1), construction of internet map based on geospatial web technology, 2), development of web contents based on geospatial web, 3), installing ubiquitous equipment, and 4), upgrad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homepage and internet system which can incorporate web 2.0 concepts. Ubiquitous service model should be based on not only development of ubiquitous technology but also needs of consumer such as citizen, enterprises, and public sectors which have an interest in that place. Geospatial web will be the core of development of ubiquitous service models.

      •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

        강영옥,Kang, Young-Ok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2

        U-Eco City 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은 U-Eco City사업 단의 타 핵심과제에서 개발된 요소기술과 타 연구과제의 기술을 테스트베드에 적용하여 각 기술의 현장 적용 시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완체계를 수립해 나감으로써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와 함께 테스트베드 구축의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지방자치단체 및 해외 시장에 U-Eco City 건설 경험을 체계화하여 이를 판매하고자 하는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U-Eco City 적용 기술 평가, U-Eco City 테스트베드 대상지에 대한 종합시설계획 수립, 상세계획 수립, U-Eco City 테스트베드 구축 및 모니터링 등 전 과정의 경험과 지식을 체계화하고, 이를 국내 및 국외 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의 작성이 필요하다. U-Eco City 테스트베드 구축의 1차년도 연구목적은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기존 U-City 추진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생태도시와 U-City와의 연계성을 파악하였으며, U-City 구축 단계를 체계화하고, 단계별 고려사항을 정리하였다. The goal of U-Eco City testbed is im proving the technical com pletion of ubiquitous technology /services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other core projects in U-Eco City, by implementing newly developed ubiquitous technology/services to testbed. When the newly developed ubiquitous technology/services are implemented in the testbed, we will monitor whether the developed ubiquitous technology/services can be applied in the real situation and if they have problems we will find out the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s. In addition to this we have goal to sale experience of construction of U-Eco city testbed to the local governments and foreign cities. To accomplish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make the guideline for the construction of U-Eco City. Final goal of this research is develop guideline for the construction of U-Eco City. I developed the framework of U-Eco City construction guideline by i) analyzing problems when the local governments try to construct U-City, ii) finding out general idea of Eco City and investigate connection between Eco City and U-City, iii) analyzing main steps of constructing U-City, and iv) matching the all the issues and considerations into process of u-Eco city construction steps.

      • 지방자치단체의 Enterprise GIS 고도화전략: 데이터중심에서 서비스중심 아키텍처로

        강영옥,Kang, Young-Ok 한국공간정보학회 2007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3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사업은 1995년 건설교통부에서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으로 대축척의 수치지도를 구축하고, 이와 관련 GIS 업무시스템들이 구축되면서 본격화되었다. 그러나 GIS업무시스템별 정보화의 추진은 데이터의 중복 구축, 표준기술의 중복현상으로 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효율적으로 활용할수 있는 기틀마련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였고, 이러한 요구에 따라 Enterprise GIS도입에 대한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서울시도 Enterprise GIS 개념을 토대로 한 공간데이타웨어하우스를 구축 및 운영하여 여러 가지 결실을 보았지만 활용성의 부족, 정보화 환경의 급격한 변화등은 Enterprise GIS를 고도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사례로 데이터중심의 아키텍처에서 서비스중심 아키텍처로 지방자치단체의 Enterprise GIS를 고도화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GIS has been rapidly developed since 1995 when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started the First National GIS Construction Project and built large scale topographic map at local governments level. From that time local governments have been built several application system such as road management system, waterworks management system, sewer management system, undergroun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and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etc. However, the construction of GIS application system at different department level brings the problem of data sharing and overlapping database construction. To overcome this environment Enterprise GIS concepts has been introduced. In case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patial Data Warehouse have been constructed. Howeve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till have the problem of inactive use of GIS system and adaption to the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present Strategic plan to uggrade Enterprise GIS concenpt from data centric to service centric architecture at local government level.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김수환 추기경의 생명문화관

        강영옥(Kang, Young-ok)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1 인간연구 Vol.0 No.22

        본 논문은 김수환 추기경의 내적, 정신적 지주였던 생명사상과 외적으로 표출된 생명문화운동을 중심으로 그의 생명문화관을 조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본론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 되어 있다. 본론 첫 번째 장에서 한국사회의 현실적 맥락에서 쟁점이 되는 인구정책을 살펴보고, 두 번째 장에서 김수환 추기경의 생명사상을 살펴본 다음, 마지막 세 번째 장에서 김수환 추기경의 생명문화운동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론은 인문학과 사회학의 영역을 통합하는 사회인문학의 방법론을 따르고 있다. 1960년대 이후 한국사회는 인간 생명이나 인간 존엄성에 대한 별다른 고려 없이 경제성장만을 우선적인 가치로 내세워 근대화와 산업화를 추진하여 왔다. 또한 경제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정부는 출산억제정책을 강력하게 시행하였고, 낙태를 합법화하는 ‘모자보건법’을 제정하였다. 김수환 추기경은 낙태의 합법화는 단순히 출산율을 낮추기 위한 인구정책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경제, 사회, 윤리, 가치관 등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크나큰 영향을 미친다고 진단하였다. 그리하여 김수환 추기경의 생명사상은 낙태에 관한 반대 입장 표명과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세우기 위한 일련의 생명문화운동들을 통해 분명하게 드러난다. 낙태를 허용한다는 것은 그의 입장에서 볼 때, 단순히 인구 조절의 효율성에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생명의 존엄과 직결되는 사안이었다. 태아의 생명을 생명으로 다루지 않을 때, 생명의 존엄성은 무너지고 인간의 가치는 물질보다 하위에 놓이게 됨으로써 사회-문화 전반에 걸친 가치전도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김수환 추기경은 경제 발전보다 먼저 인간존중의식이 바로 서야 인간다운 사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한국의 인구정책을 둘러싼 일련의 과정과 역사들을 살펴보면,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 추진된 정책들이 오늘날 세계 최저 출산율이라는 또 다른 문제에 봉착하게 함을 보여 준다. 그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의 공공성과 개인의 내면성을 통합하여 해답을 찾으려는 ‘사회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사회인문학은 한마디로 ‘사회의 인간화’를 그 목표로 설정한다. 인문주의 없이 발전한 사회는 물질적 성장은 이룰 수 있지만, 그 안에 몸담고 사는 사람들의 영혼과 정신적 삶은 위기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회인문학에서 시도하는 ‘사회의 인간화’를 김수환 추기경은 가톨릭사상에 토대를 두고 197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주장하였고 몸으로 실천하였다. 그는 외적으로는 민주적인 사회 발전을 지향 하였고, 내적으로는 신앙의 차원에서 인간의 존엄성이라는 토대 위에서 사회의 인간화를 추구하였다. 김수환 추기경의 생명사상은 낙태의 이슈를 넘어서서 사형, 생명윤리 일반, 전쟁을 포함하는 사회적 이슈로 확대되어 갔고 생명문화운동으로 발전되었다. 무엇보다도 김수환 추기경은 우리 사회의 근본 가치관을,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가치관으로 바꾸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이 땅에 평화와 생명의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노력하였다. 김수환 추기경의 생명사상과 생명문화운동은 오늘 우리 사회가 어떻게 인간화된 사회로 구축될 수 있을지 그 방향을 제시해 준다. 김수환 추기경이 제시하는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의 가치관은 한국 사회에 만연한 사회 문제들에 대해서도 새로운 전망을 열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view of pro-life culture according to Cardinal Kim Sou-hwan. This article consists of three parts: In the first part, I will describe the shift of the population policy that was undertaken by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second part, I will examine the pro-life view of Cardinal Kim Sou-hwan. In the third part, I will try to identify the pro-life activities and culture led by Cardinal Kim. The Korean government launched a full-scale national family planning program in 1962. Since then, the national family planning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rapid socioeconomic development, has been very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record high fertility rate. Among the goals of the population policy, the first is designed to decrease the fertility rate. Cardinal Kim Sou-hwan vocally supported the dignity of human life against the population control policy of the government. In 1970, when the government attempted to legalize abortion by introducing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Cardinal Kim opposed it vigorously and started a pro-life movement. According to Cardinal Kim, the government policy urged to people being unconscious of their self-denegation. Also, a contraceptive mentality and culture is actively fostered by powerful economic and political currents that encourage the idea of society as excessively concerned with efficiency. Faced with a political population policy and contraceptive culture and mentality, Cardinal Kim has struggled to overcome the so called “culture of death”. He emphasized human dignity and tried to build the social quintessence of humanity. Ironically, our society now faces other hardships caused by the population. The low fertility rate has brought about many problems such as an aging population, labor shortages, and an unbalanced sex ratio. Since 2004, the population policy has been changed to increase the birth rate. Nevertheless, the contraceptive mentality and culture remains strong. As the Korean birth rate has decreased to the lowest in the world, the damage caused by contraceptives reaches not only families but also society and culture as a whole. In order to transform our culture and society, we must learn something from Cardinal Kim’s pro-life beliefs and activities.

      • KCI등재

        천주교 여성 지도력의 특성과 한계

        강영옥(Kang Young Ok) 한국종교학회 2010 宗敎硏究 Vol.58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studying the intrinsic Catholic source of feminine leadership in the perspective of dogmatic theology. In fact, extraordinary feminine leaders have been existed in history, but theories about feminine leadership came out since 1990’s. The one of elements that consist human conscious structure comes from religious-cultural tradition. A new perspective of feminine leadership regarding experience of women and wisdom of ancestors in religious-cultural tradition by ages can be illuminated rather than just feminine characters determine the feminine leadership. This article researches the process how the feminine leadership theories have developed in modem times. Then, the article argues the source of Catholic feminine leadership perspective on the basis of John Paul II’s apostolic letter Mullieris dignitatem-on the dignity and vocation of women(1987). The source of Catholic feminine leadership in this article consist in three elements: dignity of women by image of the God, vocation of women as motherhood-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as the spirituality of Catholic lead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