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제해결스타일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순(Jiang, Xun),안혜영(An, Hye-young),안성익(Ahn, Seong-Ik) 한국경영학회 2015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08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and its antecedents(problem solving style, core self evaluation, supervisor support), and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core self evaluation and supervisor support on the base of trait activation theory.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surveys of 228 employees in an large state-owned enterprise in China. The results shows as follows. Firstly, only intuitive problem solving style among two problem solving styles, core self evaluation, and supervisor support show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Secondly, only supervisor support except core self evaluation moderated significantly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uitive problem solving style and innovative behavior. with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 KCI등재

        학습 환경 요인이 화행 실현에 미치는 영향

        미함(Jiang Mei ha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5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학습 환경 요인이 화행 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 내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습자(CC), 한국 내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습자(CK), 그리고 한국어 모어 화자(KK) 각 50명을 선정해 서면 DCT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했다. 의견불일치 상황에서 세 집단 화자의 화행 실현 양상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어떤 집단의 중국인 학습자 발화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더 가까운지를 검토했다. 결과적으로 CC보다 CK의 발화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더욱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환경 요인이 화행 실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현실적으로 인정될 수밖에 없다. 학습 환경 요인의 구체적 영향관계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환경 요인은 화행 전략 사용의 다양성에 일정하게 영향을 끼친다. 목표어 환경의 학습자가 현지 학습자보다 더 다양한 화행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 환경은 학습자 화행 전략의 선택에 영향을 끼친다. 목표어 환경의 학습자는 원어민 화자와 비슷한 화행 전략을 선호하지만 현지의 학습자는 이와 다른 전략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 셋째, 학습 환경 요인은 상황에 따른 학습자의 화용 전략 조절에 영향을 끼친다. 목표어 환경의 학습자는 현지 학습자보다 사회적 변인을 중시하면서 상황에 따라 화행 전략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 환경 요인은 화행 실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목표어 환경의 학습자는 목표어 또는 목표문화의 잘못된 이해로부터 화행 전략을 적절하지 않게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다섯째, 학습 환경 요인은 보조 화행의 사용에 영향을 끼친다. 현지 학습자보다 목표어 환경의 학습자가 상황에 따른 보조 화행 전략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ing environment factor on the learner' speech act realization. Therefore, subjects in this study are 50 Chinese learners in China (CC), 50 Chinese learners in South Korea (CK) and 50 native Korean speakers (KK). I adopted writing DCT as our data collection method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patterns of speech act realization in disagreement situations in these 3 groups in order to find out which group's Chinese learners are closer to native Korean speakers in the manner of speaking in hope of finding out the specific effect of learning environment factor on the learners' speech act realization. The study shows that CKs are closer to the native Korean speakers compared with CCs,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effect of learning environment factor on the learners' speech act realization. The effect of learning environment factor on the learners' speech act realization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learning environment factor has effect on the diversity of the usage of speech act strategy. Compared with the learners who study in their first language environment, the learners who study in the target language environment are able to use more varieties of strategies in speech act. Second, the learning environment factor has effect on the learners' selection strategies of speech act. The learners who study in the target language environment select similar speech act strategies to native speakers, while the learners who study in their first language environment select more other speech act strategies. Third, the learning environment factor has effect on the learners' strategies of adjusting speech act according to the situations. Compared with the learners who study in their first language environment, the learners who study in the target language environment attach more importance to social variables and are able to adjust their speech act strategies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ituations. Fourth, the learning environment factor has negative effect on speech act realization. The learners who study in the target language environment sometimes use speech act strategies inappropriately due to the misunder- standing of the target language or culture as well. Fifth, the learning environment factor has effect on adjuncts. Compared with the learners who study in their first language environment, the learners who study in the target language environment are better at using adjuncts strategies according to different circumstances and have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adjuncts.

      • KCI등재

        문제해결 스타일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핵심자기평가와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강순 ( Xun Jiang ),안성익 ( Ahn Seong Ik ),김성용 ( Kim Seong Yong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8 No.1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기업이 경쟁에서 이길 수 없게 됨에 따라서 모든 조직들이 혁신을 간구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서 조직혁신을 증진하는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는 가운데, 개인 수준의 행동을 통해 조직혁신을 도모하고자 혁신행동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런 배경 속에서 탄생한 혁신행동은 꾸준히 주목을 받아왔고, 그와 더불어 혁신행동을 증진하는 방안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최근 혁신행동에 대한 종합적 문헌연구를 실시한 Kwon & Kim(2020)의 연구에서는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으로서 개인특성의 중요성이 매우 낮게 다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특성과 혁신행동간 관계를 다룬 기존 연구를 간략히 살펴보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성격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 대해서는 많이 연구되었으나, 이외의 개인특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행동 연구 초기에 다루어졌던 개인특성인 문제해결 방식과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개인특성인 핵심자기평가에 주목하게 되었다. 그리고 성격과 같은 개인특성과 혁신행동을 다룬 연구들은 혁신에 대한 성격의 주효과에도 많은 관심을 보였지만, 특성활성화 이론에 입각하여 성격 등의 특성이 혁신행동으로 발현되게 하는 상황요인에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러한 기존 연구 흐름에 따라서, 본 연구는 문제해결 스타일이 혁신행동으로 발현되는 과정에서 관련 상황요인으로 상사지원에 주목하고,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특성활성화이론을 확장하여, 개인특성이 관련 행동으로 발현하는 과정에서 특정 개인이 이 관계를 증폭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핵심자기평가가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중국의 공기업에 근무하는 228명으로부터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문제해결 스타일의 두 하위 차원 중에서 직관적 문제해결 스타일만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였다. 또한 핵심자기평가는 혁신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였지만, 직관적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그리고 체계적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간 관계 모두에 대해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상사지원인식은 혁신행동에 대해서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였고, 직관적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간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인 반면에 체계적 문제해결 스타일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 대해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놓고,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함의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s the competition among the firms, the conventional way of firms became useless for the competition and tried to search for innovation. In pursuing innovation, firm realized that firms’ innovation starts from individual members’ behaviors and created the concept of innovative behavior. Innovative behavior draw lots of attention and a large number of studies has been conducted up to now. Recent Kwon & Kim’s (2020) literature review on innovative behavior showed little attention to individual trait like personality. In this background, our study shortly reviewed on the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set the direction of this study. After short review, we found that there is not a few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innovative behavior but littl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behavior and the personal traits except personality. So we focused on the problem solving style which drew the attention as antecedents of innovative behavior at early stage of research on innovative behavior and core self-evaluation which are suggested relatively recently and very limitedly studied as the antecedents of innovative behavior. The studies on personal traits pay attention not only to their effects on consequences but also to the relevant situation that can activ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and trait relevant behavior following trait activation theory. In the vein, we also considered in the supervisory support as the potential moderating variab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solving style and innovative behavior. For the empirical test, we collected data from the 228employees belong to Chinese public companies with survey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rst, only intuitive problem solving style except systematic problem solving styl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in the case of core self-evaluation, its main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was supported but none of its moderating effects on the two path from problem solving style to innovative behavior. Last, in the case of supervisory support, its main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was support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path from intuitive problem solving style to innovative behavior was support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고객기반의 호텔 브랜드자산에 관한연구 -브랜드 확장의 관점으로-

        양 ( Yang Jiang ),곽용섭 ( Young Sub Kwock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2 Tourism Research Vol.34 No.-

        호텔이나 레스토랑과 같은 서비스 산업에 있어서 브랜드자산의 구축 및 관리에 초점을 두는 것은 기본적인 성공요인이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많은 서비스 기업들은 브랜드 확장을 함으로써 모회사 브랜드 영향력의 레버리지 효과를 이용하기 시작한다. 이 전략은 고객들이 다양한 경우에 회사의 여러 브랜드를 단골로 다닐 수 있게 만들려는 노력인 것이다. 이 연구는 호텔 산업을 중심으로 하며, 다른 학자들이 개발한 이미 공시적으로 인정된 다차원 브랜드자산의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고객 기반 호텔 브랜드자산의 잠재적인 차원을 탐색할 것이다(모회사 브랜드자산 및 자회사 브랜드자산 동시적으로 존재하여 고객이 호텔을 선호하는 데 있어서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한다). 그 밖의 또 호텔브랜드 자산과 고객이 지각된 가치 및 재방문의사의 상호관계도 연구할 것이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AMOS 5.0을 돌려 확인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라 브랜드 자산에 관련된 모두 요인이 전적인 브랜드 자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브랜드 인지도/연상도 요인은 전적인 자회사 브랜드가치와 전직인 모회사 브랜드가치를 구축하는 데 아주 큰 긍정적인 영향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적인 모회사 브랜드자산은 자회사 브랜드 자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였으며, 고객의 재구매의사에도 간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객의 지각된 가치는 단골고객을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이 나타났다.

      • KCI등재

        알렉산더 에크만(Alexander Ekman)의 무용 작품에 나타난 연극적 특성연구: 작품 「play」를 중심으로

        리군 ( Lijun Jiang ) 대한무용학회 2021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9 No.4

        Starting With the creation and emergence of TanzTheater, a new dance style relying heavily on expressiveness, by Pina Baush, the representative dancer of neo-expressionism, the fusion between dance and theater gained popularity and the boundary between both art forms became more ambigu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atricality of the dance performance art work "play" by Sweden choreographer Alexander Ekman. Born in 1984, Alexandre Ekman has choreographed about 50 dance works as a freelancing choreographer for world-famous dance companies, such as the Nederlands Dans Theater, Paris Opera Ballet, and The Royal Swedish Ballet. Additionally, he has won several awards for his works. His creative style is known for its theatricality, notably its humorous and bold expressiveness, as well as for Ekman’s excellent imagination and creativity, which have influenced modern dance styles around the world. In this study, I will focus on "Play", a work Ekman created for the Paris Opera Ballet in 2017. This dance performance art work recalls the memories of childhood and emphasises the importance of games in life. It challenges the word definition by applying it to adulthood and the chase of the meaning of life and happiness. Ekman was not only involved in the creative process of the choreography but he also designed the set and costume for his piece. Ekman has an affinity for his narrative, giving the audience a unique visual experience.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Play" is still continuing to gain attention and popularity. In this study, the dramatic effects of this work (movement, props, music, stage effects, costumes) are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圜丘与明堂

        姜波(Jiang Bo) 중국고중세사학회 2013 중국고중세사연구 Vol.29 No.-

        ‘환구제천(圜丘祭天)’과 ‘대향명당(大享明堂)’은 당제국의 가장 중요한 제사활동이었다. 양자는 모두 황실의 조상을 호천상제(昊天上帝)에게 배향(配享)했는데, 두 제사를 거행했던 예제건축은 바로 고고발굴로 나온 서경 장안성의 환구 유지와 동도 낙양성의 명당 유지이다. 당대(唐代)의 환구는 교천(郊天), 기곡(祈穀), 우사(雩祀)의 기능이 하나로 모여있었으며, 환구단은 4층으로 만들어져 12辰의 방위에 따라 12개의 계단을 두었다. 이는 현존하는 명청시기 북경성의 환구와 분명하게 구별되는 것이다. 무측천이 두 차례 축조했던 낙양의 명당은 궁중의 정전으로서 건축된 것이었는데 중앙에 중심기둥을 세우는 방식으로 만들어져 ‘상원하방(上圓下方)’의 고례(古禮)에 부합했다. 무측천은 명당의 기단부를 팔각형으로 설계하면서 명당과 벽옹을 하나로 합쳤다. 문헌에 기재된 내용을 살펴보면 환구와 명당의 제사의식과 제사대상 및 제사자의 신분 등은 당시 궁정의 정치적 배경을 매우 깊게 반영하고 있었다.

      • 관개기 시험구 논에서의 오염물질의 부하특성

        결 ( Jiang Jie ),김진수 ( Kim Jin Soo ),오광영 ( Oh Kwang Young ),권성일 ( Kwon Sung Ill ),송철민 ( Song Chul Min ) 한국농공학회 200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6 No.-

        Characteristics loading of pollutants at experimental paddy plots were investigated by a series of short time during irrigation season of 2006. In generally the concentrations of TN in ponded water after tillering and panicle fertilization were much higher than the other period during later irrigation season likely due to fertilization and low uptake by young rice crops and it straightly decreased day by day. But the concentrations of TP and COD increased three days after tillering fertilization. In the other hand the change of the loading in ponded water of TN and TP after tillering fertilization were show the same that during the first three days it straightly decreased but at the forth day increased. The other side the loading of COD in ponded is increased in the first three days but decreased at the forth 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