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성은(Seongeun Kang),응웬부렁(Nguyen Vu Long),정수환(Souhwan Jung) 한국정보보호학회 2018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8 No.3
본 연구는 안드로이드 정적분석을 기반으로 추출된 AndroidManifest 권한 특징을 통해 악성코드를 탐지하고자 한다. 특징들은 AndroidManifest의 권한을 기반으로 분석에 대한 자원과 시간을 줄였다. 악성코드 탐지 모델은 1500개의 정상어플리케이션과 500개의 악성코드들을 학습한 SVM(support vector machine), NB(Naive Bayes), GBC(Gradient Boosting Classifier), Logistic Regression 모델로 구성하여 98%의 탐지율을 기록했다. 또한, 악성앱 패밀리 식별은 알고리즘 SVM과 GPC (Gaussian Process Classifier), GBC를 이용하여 multi-classifiers모델을 구현하였다. 학습된 패밀리 식별 머신러닝 모델은 악성코드패밀리를 92% 분류했다. This study focuses on detection of malicious code through AndroidManifest permissoion feature extracted based on Android static analysis. Features are built on the permissions of AndroidManifest, which can save resources and time for analysis. Malicious app detection model consisted of SVM (support vector machine), NB (Naive Bayes), Gradient Boosting Classifier (GBC)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 which learned 1,500 normal apps and 500 malicious apps and 98% detection rate. In addition, malicious app family identification is implemented by multi-classifiers model using algorithm SVM, GPC (Gaussian Process Classifier) and GBC (Gradient Boosting Classifier). The learned family identification machine learning model identified 92% of malicious app families.
아이의 안전한 성장을 위한 실시간 IOT 다기능 요람 서비스
강성은(SeongEun KANG),박경용(KyunGyung PARK),유무종(MooJong YU),남중길(JoongGil NAM),오지원(JiWon OH),류정규(JeongGyu Ryu),문상국(SangKug MO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9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9 No.11
요람은 요람의 단일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제작하는 요람은 36개월 이하의 성장기 아이들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을 파악할 수 있고 일별, 주별, 월별 그래프로 나타내어 아이들이 적절하게 수면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아이들의 낙상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한 방법은 부모님이 좀 더 안심하고 다른 일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들어있는 온·습도 센서와 가스 센서, 미세먼지 센서 등 아이들을 위한 많은 기능의 정보들을 APP을 통해 제공하고자 한다. The current cradle can only use a single function of the cradle. However, the cradle we make can show the average sleep time of growing children and show them in daily, weekly and monthly graphs to see if they are sleeping properly. In addition, the method developed to prevent the fall of children allows parents to do other things with more peace of mind. In addition, the APP will provide information on many functions for children,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gas sensors, and fine dust sensors.
돌발상황 시 현장 도로 시설물 및 차량 통제를 위한 교통경찰용 단말기 개발에 관한 연구
박지혁(Ji-Hyuk Park),강성은(Seongeun Kang),김봉섭(BongSeob Kim),채석민(Seokmin Chae),윤경수(Kyungsu Yun)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머지않은 미래에 우리는 자율주행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이 일반도로에서 주행하는 모습을 목격할 것이다. 이에 따라 자율주행 차량과 일반차량이 혼재된 도로교통 흐름에서 교통사고, 공사, 정지, 역주행, 지 · 정체와 같은 돌발상황이 발생할 때 이런 긴급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현장 제어 기술과 효율적인 대응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하지만 자율차와 일반차가 혼재된 상황을 고려한 현장 제어 기술이나 시스템이 전무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자율차와 일반차가 혼재된 도로에서 돌발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무선으로 신호제어기와 같은 현장 도로 시설물과 차량들을 제어하기 위한 교통경찰용 단말기 개발에 관한 연구를 다루고자 한다. 본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돌발상황 정보와 신호 현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주변 교차로 현시 신호를 제어하여 돌발상황에 신속히 대처하여 교통류 혼잡을 해소하고자 한다. 향후 본 단말기의 실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수요기관의 요구사항을 적용하여 개발할 예정이다.
Dithiopyr에 노출이 zebrafish의 유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오준영(Junyoung Oh),박은진(Eun-Jin Park),강성은(Seongeun Kang),이승헌(Seungheo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16 생명과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발아전처리 제초제인 Dithiopyr (DTP)를 시험물질로 사용하여 급성 독성시험을 평가하고, zebrafish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급성 독성시험 결과 zebrafish에서의 DTP의 LC50값은 14.49 μM이었다. 또한 DTP 노출이 유영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아치사농도(2.5-20 μM)에서 novel tank test(NTT)와 open field test (OFT)의 두 가지 행동실험을 실시하였다. NTT를 실시한 결과, 하층부의 머무는 시간 및 최초로 상층부에 들어간 시간, 회전각, 부동 시간의 경우 control 그룹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또한 상층부에 진입한 횟수 및 평균 유영속도에서 통계적인 유의성 있는 감소현상이 확인되었다(p<0.05). OFT를 실시한 결과, 총 이동 거리 및 평균 유영속도에서 유의성이 있는 감소현상이 확인되었다(p<0.05). 부동 시간 및 회전각, 굴곡유영에서는 유의성 있는 증가 현상이 확인되었다(p<0.05). 또한 Whole-body cortisol level 측정 결과, 저농도 노출 그룹에서만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으나(p<0.05), 5와 10μM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dithiopyr (DTP), a herbicide, on behavior in zebrafish. The toxicity of DTP has rarely been investigated in fish. In the present study, zebrafish were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DTP in the range of 10-20 μM for 48 h in a test container, in order to measure the value of median lethal concentrations (LC50). Behavior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cluding the novel tank test (NTT) and the open field test (OFT), to assess stress responses or locomotion. After exposure to the DTP solution at a sublethal concentration of 2.5–10 μM for 6 min, the behavior of the zebrafish was observed for 6 min. In the acute toxicity test, the LC50 value of DTP showed as 14.49 μM in the zebrafish. The NTT showed that the duration of immobility and the veloc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exposure at a concentration of 5 μM of DTP,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p<0.05). However,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DTP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istance moved and the frequency at the top of the tank,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urn angle and duration at the bottom,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p<0.05). In addition, in the OFT, exposure to DTP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istance moved and veloc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Exposure to DTP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uration of immobility, the turn angle, and the meandering movemen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p<0.05). Further, exposure to DTP at a low concentration elevated whole-body cortisol levels in the zebrafis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us suggest that DTP induces a toxic response and negative effects on behavior and the endocrine system in zebrafish.
유아들의 물질성 탐구를 통한 놀이의 의미 : 신문지 놀이를 중심으로
문서연(Seoyeon Moon),정가윤(Kayoun Chung),김진욱(Jinwook Kim),강성은(Seongeun Kang),정동재(Dongjae Cheong),안세은(Seeun Ah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포스트휴머니즘의 물질적 전환의 관점에서 만 5세 유아들이 신문지라는 물질과 만나 물질성을 탐색하며 몰입하는 놀이의 모습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파악해봄으로써 유아의 놀이를 바라보는 스펙트럼을 넓히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자료수집은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만 5세 반에서 2020년 6월 1일부터 9월 29일까지 4개월, 총 77일 동안 유아들의 놀이를 관찰하는 것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사진 및 동영상, 현장노트, 연구일기, 배움공동체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료를 다각적으로 수집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유아들은 신문지와 자유롭게 마주쳐 다양한 물질성을 발현하며 놀이하며, 1차적으로 신문지 놀이 과정을 신문지 자체 놀이, 신문지 재현 놀이, 신문지 크게 놀이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신문지 놀이 과정에서 물질성이 가장 잘 발현되는 순간을 중심으로 ‘몸으로 물질을 느껴요-특개성’, ‘물질의 힘을 따라가요-확장성’, ‘물질과 하나되어 시공간을 창조해요-창조성’의 의미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들이 물질성을 탐색하는 놀이 과정이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주목하는 진정한 유아 주도 놀이임을 시사하며, 물질성을 탐색하는 놀이의 가치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물질성에는 유아가 감각을 통한 경험으로 자신만의 의미를 만들어내는 물질의 본질을 파악하는 능동적인 배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유아들의 물질성 탐색을 통한 유아 주도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놀이지원자로서의 교사의 지원에 대해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expand the spectrum of children play by examining the appearance of 5-year-old children in terms of material transformation of posthumanism, exploring materiality, and finding out the meaning of it. Methods To this end, data collection is four months from June. 1st. 2020 to September. 29th. 2020 at the age of five class during the spread of COVID-19, A total of 77 days of observation of children’s play was conducted, and the data was collected in various ways through photography and video, field notes, research diaries, and interactions in the learning community. Results According to this study, children freely play by interacting with newspapers and revealing various materialities, and the classification of newspaper play was newspaper play, newspaper reproducing, and bigger newspaper play. Finally, there were meanings such as “specificity-feeling material with the body,” “extensibility-following the power of matter,” and “creativity-creating space and time in one with matter,” focusing on the moments when materiality is most expressed in newspaper pla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lay process in which childhood explore materiality is truly children-led play, which is not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found the value of play in exploring materiality. It also suggests that there is an active learning in materiality in which children understand the essence of material that creates their own meaning by experience through the senses. It is expected to provide direction for teachers’ as play volunteers to support children-led play through the exploring for materiality of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