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소설에서 재자의 형상과 그 변화 양상- 17세기 소설사를 중심으로

        강상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5

        I found that a young male protagonist who is superior to a literary talent but can not succeed to the past yet, has begun to form from an Jeongi(傳奇)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Jeongi novel of early Chosun Dynasty made the issue of love and faithful the main theme of the novel. In particular, the love of a novel seems to be straightforward and impulsive. But even though it may be the first time, the narrative turns into a story of devotion and commitment. So it seems innocent even if it does not seem polite. The 17th century Jeongi novel still preserves these themes on the one hand, but on the other hand it is trying to make a difference. The work of <Joo-Saeng-Jeon> shows that The passionate love, the firm oath, can be corroded before the power of time and destiny. In addition, <Wun-Young-Jeon> defends the feelings of love that can not be suppressed even by discipline with the value of supreme. In the so-called folk novels of the late 17th century, these forms of diverse characters are extensified and stylized in another direction. The characters such as Soyoo Yang of <Ku-Woon-Mong>, A young nobleman Yoon of <Chang-Sun-Kam-I-Rok> , Woonseong So of <So-Hyoung-Sung-Rok>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at they look for their own mates and that their marital relations are also active prosperous figures. However, there is no way to match the qualities of the qualities and the virtues that will illuminate the family. <Chang-Sun-Kam-I-Rok> and <So-Hyoung-Sung-Rok> emphasize that the temperament should be suppressed for the family. The authors of folk novels demanded that women should not be jealous and the bias toward men was criticized as a cause of home-crush. However, the mutual exclusive fantasy of love that Jeon-Gi novels have shaped has not completely disappeared from literature. It emphasized the energy of love, which is both saving and killing people. At the end, we looked at how the shape of this character disappears. First, when novels are extended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male and female groups of gender and the middle and lower levels of the audience, when the writer who demonstrates his or her ability is unable to imagine or sympathize, the hero emerges. The hero form was shaped like Soyoo Yang and Woonsung So, but the hero casts off the fragility of the paperback in its essential qualities. The main characters of present novels have been written about the 19th century are those who have similar qualities to those of a literary talent, or who are mistaken for being resurrected. These novels are ordinary human stories with a vulgar body. 본고는 한국 고소설에서 남성 주인공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문재(文才)에 뛰어나지만 아직 과거로 출세하지 못한 젊은 남성 주인공 ‘재자(才子)’라는 인물 형상이 출현한 것을 조선전기의 전기소설로부터 찾았다. 문치주의가 강화된 조선전기에 이르러서야 재자가 소설의 남성 주인공으로 일반화되었다. 조선전기의 전기소설은 사랑과 신의의 문제를 소설의 주된 테마로 삼았다. 전기소설의 사랑은 직입적이고 충동적으로만 보인다. 하지만 곧 서사는 신의에 기반한 진중한 약속과 헌신의 이야기로 바뀐다. 17세기 전기소설은 이러한 테마를 한편에서는 보존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그것의 변주를 시도하고 있다. 열정적 사랑도, 굳은 맹세도 시간과 운명의 힘 앞에 부식될 수 있다는 것을 <주생전>은 보여주고 있다. 그런가 하면 <운영전>은 훈육으로도 억압할 수 없는 사랑의 감정을 지고의 가치로 옹호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주생전>과 <운영전>은 사랑의 가치에 대해 정반대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 소설이다. 17세기 후반의 이른바 규방소설에서는 이런 다양한 재자의 형상이 또 다른 방향으로 극단화되고 정형화된다. 풍류를 좋아하고 여색을 밝히는 ‘풍류재자’는 사대부 남성층의 낭만적인 이상을 담고 있는 인물이다. <구운몽>의 양소유, <창선감의록>의 윤공자, <소현성록>의 소운성 같은 인물들은 스스로 짝을 찾고 부부관계도 능동적인 풍류재자형 인물이란 점에서 서로 닮았다. 하지만 풍류재자의 자질과 가문을 빛낼 덕성이 일치하란 법은 없다. <창선감의록>과 <소현성록>은 가문을 위해 기질을 억제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작품이다. 규방소설의 작가들은 가문을 창달시키고 일부다처의 중혼관계를 옹호하기 위해 여성들에게 질투하지 말기를 권장하며 남성들에게는 치우친 사랑을 가중화란의 원인으로 비판적으로 지목했다. 하지만 상호독점적인 사랑의 속성을 벗어난 부부관계는 유희이거나 예의의 관계, 아니면 우정적 연대일 뿐이다. 그렇다고 전기소설이 형상화했던 상호독점적인 사랑의 환타지가 문학사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야담이나 필기 등 한문단편소설을 통해 이는 지속된다. 여기서는 사람을 구원하기도 하고 파멸시키기도 하는 사랑의 힘이 강조된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재자의 형상이 어떻게 소멸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소설이 사대부 남성층이나 규방 여성층의 범위를 넘어 중하층 독자층에게까지 확산되었을 때 영웅소설의 영웅 형상이 출현한다. 영웅은 재자의 후예이지만 재자의 자질을 무력으로 바꾸어놓는다. 재자를 추락시키는 것은 세태소설도 마찬가지다. 19세기 세태소설은 재자의 형상이 유지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성리학적 귀신론의 틈새와 귀신의 귀환-조선 전․중기 필기․야담류의 귀신이야기를 중심으로

        강상순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0 고전과 해석 Vol.9 No.-

        본고는 성리학적 사유체계를 받아들이고 실천하고자 한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정신세계에 어떻게 귀신이 귀환하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우선 1절에서는 성리학적 사유체계와 귀신의 관계에 대해 검토한다. 성리학적 사유체계는 귀신을 자연원리화함으로써 혹은 자연의 운동 그 자체를 귀신화함으로써 인격적 실체로서 초자연적인 성격을 지닌 귀신의 존재 근거를 제거해버렸다. 하지만 성리학적 귀신론은 그 체계성과 논리성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차원의 틈새, 곧 이론적․윤리적․실재적 틈새라고 부를 수 있을 만한 균열들을 안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2절에서는 이러한 틈새에 대해 검토한다. 우선 귀신을 음양의 운동으로 자연화하는 성리학의 역학적 우주론과 제사를 흠향하는 조상 신령의 실체적 존재를 요청하는 실천적 윤리학 사이에 이론적 균열이 존재했다. 이 틈새는 종법적 가족질서가 강화되고 유교적 상제례가 중시될수록 더욱 커질 수밖에 없었다. 다음으로 성리학의 일원론적이고 현세주의적인 사유체계와 목적론적이고 도덕주의적인 세계관 또한 심각한 자기모순 혹은 균열을 노출할 수 있다. 특히 전란이나 전염병, 사화나 당쟁 같이 부조리해 보이는 재난은 이러한 균열을 더욱 심각하게 인지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귀신에게는 성리학적 귀신론으로 결코 해소할 수 없는 비논리적인 존재감과 주체를 매혹하는 무의식적인 힘이 있다. 이는 성리학적 이념과 도덕에 의해 억압되거나 배척된 욕망과 충동들을 환기시키는 그와 같은 외밀한 존재들에게 주체의 무의식이 공명하기 때문이다. 귀신은 이와 같은 틈새들을 통해 상징화/의미화될 수 없는 실재가 환각적인 이미지의 형태로 되돌아올 때, 그리고 주체가 상상적 이미지의 형태로 되돌아온 실재의 조각을 통해 틈새를 봉합하고 재구축하고자 시도할 때 출현한다. 3절에서는 특히 어우야담 에서부터 대거 출몰하기 시작하는 祖靈을 중심으로 그러한 귀신이 두드러지게 출현하게 된 역사적 맥락과 의미에 대해 검토한다. 조령은 16세기 이래 사족층을 중심으로 고조된 상제례에 대한 이론적 관심과 실천적 열의를 타고 재래의 신비주의적이고 주술적인 귀신 숭배 관념과 결합하였다. 즉 재래의 다양한 귀신들을 배척하고 추방하여 생긴 빈 공간을 새롭게 채우며 존재론적 불안을 달래준 것은 조상귀신들이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전란으로 인한 도덕적 무규범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성리학적 예의 규범, 특히 유교적 상제례를 더욱 강조했던 것도 이러한 귀신에 대한 믿음을 더욱 확산시킨 계기가 되었다고 여겨진다. 그런데 이러한 조령의 존재는 한편으로는 성리학적 가치와 도덕을 고무하고 지탱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성리학적 귀신론이 해체하고자 했던 주술적이고 신비주의적인 귀신 관념을 다시 불러들인다. 그런 점에서 조선 중기 이후 유교적 상제례와 함께 조령 숭배 관념이 확산되어 간 것은 유교화의 진전이면서 동시에 유교의 신비주의화 과정이기도 하다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guishins returned in the spiritual world of Joseon Dynasty scholar(士大夫). The neo-confucian system of thought naturalized the supernatural being, or described movement of the universe as pantheism. Therefore, supernatural guishins was expelled in the neo-confucian theory of ghosts. But the neo-confucian theory of ghosts had fissures of three dimensions: theoretical․ethical․réel fissures. First, there was the theoretical fissure between the neo-confucian theory of ghosts that naturalized the supernatural being and the practical request that believed in the existence of ghosts undergone ancestral rites. Next, there was the ethical fissure between the secularism and moralism of neo-confucianism. Finally, there was the réel fissure between the neo-confucian theory of ghosts that denied the supernatural being and a unconscious fascination to the guishin. Guishins returned through these fissures. Guishins revealed and sutured the fissures of the symbolic. The ancestral spirits was the representative present among these guishins returned. The ancestral spirits performed a role that supported the neo-confucian moral and patriarchal family system. But at the same time it reinstated mysticism that neo-confucian intellectuals was trying to deconstruct.

      • KCI등재

        Business Ethics and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Market in Joseon

        강상순,최주희 한국학술연구원 2014 Korea Observer Vol.45 No.3

        This paper analyzes the Daedongbeop tax reform to understand management ethics adopted by the kings and elite of late Joseon. Unlike other interpretations that view such reform as evidence of a linear movement towards a capitalist market system, this paper argues that such tax reform represented efforts at defending manorial and mercantilist modes of exchange and highlights the economic and ethical incentives of the Confucian goodwill that reinforced the traditional economic basis of the dynasty. The moral justifica- tion of the tax system was Confucian in nature and emphasized its humanitarian principle in contrast with justifications of efficiency for the market mode. As such, the Confucian ethical persuasion helped Joseon to hold on to firm manorial and mercantile rule in East Asia and maintained its hold going into the 19 th century.

      • KCI등재

        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에 잠복된 사회적 적대

        강상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民族文化硏究 Vol.56 No.-

        성과 계급, 신분, 집단 등에 따라 적대적으로 분열된 사회에서 귀신은 무언가 결여된 존재로 표상되며, 그것의 출현은 사회적 갈등과 모순을 환기시키고 불안과 공포를 유발한다. 이에 본고는 귀신을 사회적 적대의 증상적 표현으로, 귀신 이야기를 사회적 적대에 대한 공동체 구성원들의 무의식적 불안과 공포의 산물로 파악하고, 이를 조선 전기 필기에 수록된 귀신 이야기의 분석을 통해 검토해보려 한다. 본론에 앞서 2절에서는 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에 나타나는 전반적인 특징을 검토한다. 조선 후기 귀신 이야기의 주종을 이루는 조상의 신령에 관한 이야기가 거의 없다는 점, 반면 鬼物·妖物 등으로 불리는 기괴한 사물로서의 귀신에 관한 이야기가 많다는 점, 그리고 민간신앙의 대상이기도 했던 이러한 귀물들을 퇴치하는 이야기가 많다는 점 등을 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의 전반적인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다음으로 3절에서는 조선 전기의 귀신 이야기 가운데 원귀 혹은 여귀로 분류될 수 있는 귀신 이야기 세 편을 중심으로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적 적대의 문제를 분석한다. 먼저 『용재총화』에 등장하는 유계량의 원귀 이야기는 정치권력을 장악하기 위한 지배집단 간의 갈등과 투쟁, 승자와 패자의 원한과 죄책감, 그리고 패자에게도 울분의 근거를 인정하였던 민중들의 상보적 인식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안생>으로 잘 알려진 여비의 원귀 이야기는 성적 차이와 신분적 차별에 의해 단절되고 가로막힌 소통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는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용천담적기』 등에 수록된 현덕왕후의 원혼 이야기는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하고 전도하고자 했던 민중의 상상력과 유가적 이념을 실현하고자 했던 16세기 사림의 문제의식이 상호 공명하고 있는 텍스트라고 볼 수 있다. 끝으로 4절에서는 귀신 이야기 자체가 아니라 그것이 생성·유전되는 과정에서 작동하는 사회적 갈등과 균열의 역학에 주목한다. 조선 전기 필기에 수록된 귀신 이야기는, 사대부들에 의해 기록된 것이기는 하지만, 대부분 민중의 상상력에서 생성되고 소문을 통해 유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에는 유독 귀신에 지핀 사람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무속적·주술적 신앙에 매우 수용적인 자세를 지니고 있었던 하층 민중들이었다. 조선 전기 필기에 수록된 귀신 이야기는 이들이 상상해낸 세계상과 응보론적인 도덕체계를 그 기저에 깔고 있는데, 필기 저자들인 사대부는 이러한 귀신 이야기에 동요되기도 하고 이를 검열하기도 하는 사후적 보고자였다고 할 수 있다. The ghost-the guishin(鬼神) called in Korean- was represented existence reminded the social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and aroused anxiety and f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tent social antagonisms in the ghost stori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ghost stori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shared The following features: The ancestral spirit(祖靈) almost did not appear, whereas weird thing(鬼物, 妖鬼) that were worshiped by the people frequently appeared. In sequence I analyze three lemures(寃鬼) stori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It reflected social antagonisms caused from the political struggle and sexual differen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Lastly, I analyze the dynamics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ghost stories. The subject that produced and distributed the ghost stori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people consisted of women and lower classes.

      • KCI등재

        Phosphorylation of human chromosome maintenance 1 mediates association with 14-3-3 proteins

        강상순,신성화 한국통합생물학회 2013 Animal cells and systems Vol.17 No.3

        Human chromosome maintenance 1 (CRM1) was originally cloned based on homology to a yeast gene. CRM1,which belongs to the family of importin b-related nuclear transport receptors, directly and specifically associates with nuclear export signals (NESs) and mediates nuclear export of proteins containing leucine-rich NESs. We present evidence that CRM1 associates with a 22-kDa 14-3-3 scaffolding protein that is a principal structural and regulatory component of Human embryonic kidney (HEK 293) cells. We found a potential 14-3-3-binding motif (1049KHKRQMSVPG1058) in the CRM1 C-terminal domain that depended on serine 1055 phosphorylation by Protein Kinase A (PKA).We demonstrated that CRM1 is a PKA substrate using an in vitro assay. Using a pull-down approach and co-immunoprecipitation, we found that CRM1 interacted with the 14-3-3 motif in vivo and in vitro. We also detected colocalization of CRM1 and 14-3-3 proteins using confocal microscopy. Nuclear pore localization of CRM1 was disrupted by treatment with a PKA activator or inhibitor or by a S1055D/S1055A mutation in the CRM1 14-3-3-binding motif. Transient transfection assays showed that the apoptosis rate of cells with the S1055D construct was twice that of cells with wild type (WT) or S1055A construct. Our observations indicated that phosphorylation on the serine 1055 residue of CRM1 by PKA promoted 14-3-3 binding and cytoplasmic localization, resulting in enhancement of cell apoptosis.

      • KCI등재

        조선시대 필기·야담류에 나타난 귀신의 세 유형과 그 역사적 변모

        강상순 우리어문학회 2010 우리어문연구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hree types of Guishin(鬼神) and to survey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first type is a tutelary spirit to support symbolic order of the neo-confucianism. The second type is victims of social violence and suppression. The third type is an alien substance that impossible to capture in the language of neo-confucianism. 본고는 조선시대 필기·야담류에 출몰하는 다양한 형상의 귀신들을 성리학적 상징질서와의 관계에 따라 크게 세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 역사적 변모 양상을 검토하며 그 속에 투사된 역사적 주체들의 무의식적 관념을 분석하고자 한 글이다. 우선 필자가 1유형으로 분류한 귀신은 성리학적 가치와 도덕체계를 지지하고 종법적 가족질서를 수호하는 신령한 귀신이다. 『어우야담』 이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조령은 이 유형을 대표하는 귀신으로, 이들은 종법적 가족질서를 수호하기 위해 현실에 출몰한다. 그런데 성리학적 귀신론에 반하여 개별적인 욕망과 의지를 지닌 채 후손들의 내면까지 감찰하는 이 父性的 귀신은 강화된 부권과 가문의식, 이로 인해 더욱 증식된 오이디푸스적 애증 갈등을 그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초자아로서의 귀신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2유형의 귀신은 성리학적 상징질서의 실패와 한계로 인해 발생한 귀신들로, 사회적 억압과 희생에 대한 공동체의 부채의식을 그 바탕에 깔고 있다. 원귀와 여귀로 대표되는 이 유형의 귀신들은 제대로 된 죽음을 요구하는데, 그런 점에서 이 유형의 귀신은 뒤틀려 발신되어 제대로 해독되기를 요구하는 일종의 사회적 증상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3유형의 귀신은 성적 충동이나 사회적 적대, 죽음 같이 동시대의 지배적 도덕·가치·언어체계 속에 포획되기 어려운 근본적인 이질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 귀신들이다. 어떤 목적도 의미도 알 수 없는 기괴한 사물로서의 이 귀신은 성리학적 상징질서에 근본적으로 포획 불가능한 실재의 차원을 상상적 이미지의 형태로 드러내는 존재들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장편소설의 낭만성 검토

        강상순 우리어문학회 2002 우리어문연구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Romanticism and to examine the uses of Romanticism in Korean classic novel. A basic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Romanticism is a fundamental inclination of human nature. Chapter Ⅱ of this study traces the historic transition of the concept of Romanticism. In conclusion Romanticism is a product of attitude that makes a denial of reality, so it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a defect of medieval literature. Chapter Ⅲ of this study investigates Romanticism how to be represented in Korean classic novel. In conclusion Romanticism uses opportunity to criticize and escape from reality in Korean classic novel. Finally conclusion of this study emphasizes to observe an both bright and seamy sides of Romanticism.

      • KCI등재
      • KCI등재

        고전소설의 근대적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강상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1 民族文化硏究 Vol.55 No.-

        본고는 중세적 정전 체계가 해체되고 근대적 정전 체계가 형성되기 시작하던 20세기 전반 고전소설이 봉건적 잔재로 부정적으로 인식되다가 점차 계승할 만한 가치가 있는 민족문화의 유산으로 재평가되기에 이르는 과정, 곧 고전소설의 정전화 과정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 우선 2절에서는 근대 이전의 정전 체계에서 소설이 지니고 있었던 위상에 대해 논의했다. 소설은 중세적 정전 체계에서 배제되어 엘리트층의 비주류 문화 혹은 여성·중하층의 통속 문화로서 존재했으며, 조선 후기로 갈수록 후자의 성격이 더욱 강화되어 갔다. 3절에서는 1900~10년대 들어 소설이 무지한 대중을 근대적 국민으로 계몽할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이면서도 진보적인 장르로 "재발견"되었지만, 오히려 그로 인해 고전소설은 더욱 부정적으로 평가되기에 이르렀음을 검토했다. 이러한 고전소설 부정론은 여성이나 중하층 독자들을 계몽의 대상으로만 파악했던 계몽적 지식인들의 엘리트주의의 산물이지만, 동시에 식민화의 고착과 민족의 소멸을 타개하고자 했던 그들의 탈식민적 저항의 실천이기도 했다. 4절에서는 1920~30년대 들어 고전소설이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민족문화의 소중한 유산으로, 근대적 학문 연구의 대상으로 재평가되는 과정을 검토했다. 우선 이러한 인식의 전환에 앞서 주로 이방의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고전소설의 번역과 해외 출판이 이루어졌으며 이것이 식민지 지식인들에게 일정한 자극을 주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다음으로 근대 초 계몽적 지식인들 가운데 드물게 고전소설에 관심을 보였던 인물로 최남선과 안확을 들고 이들의 국학적 고전 연구를 검토했다. 고전소설에 대한 본격적이고도 근대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그 고전적 가치를 널리 인정받게 된 것은 1930년대 전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경성제대에서 근대적 연구방법론을 익힌 김태준의 연구는 고전소설을 그 역사적 조건 속에서 해석함으로써 그것을 현재적 맥락에서 재평가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고전소설에 대한 근대적 연구와 재평가를 촉발하고 고무시킨 것은 1920년대 초반부터 거세게 불기 시작한 문화민족주의 바람과 그에 기반한 "조선학" 운동, 그리고 그러한 식민지 지식인들의 열망을 제도적으로 수렴하면서 근대 학문의 권위를 통해 그것을 지배하거나 학술계 밖으로 배제하고자 했던 일제의 "조선연구"였다고 여겨진다.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고전소설 연구의 학문적·제도적 기초는 "조선학"과 "조선연구"의 길항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cess of the modern reperception and canoniz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 The Korean classical novel-it had been called Soso(小說) or Faeso(稗說) and so on- had been excluded in the medieval canon system, was present as non-mainstream or popular culture. The value of the novel was "rediscovered" and reassessed between 1894~1910. It was charged with the enormous responsibility of enlighting the nation. But the Korean classical novel was evaluated more negatively why it entangled the ignorant masses in blindness. Changing attitudes towards the Korean classical novel had to await the Korean Studies movement of the 1930's. This movement rose at the intersection of several trends that was prevalent in the 1920's~1930's; cultural nationalism, Marxism, modern research on the Korean classical novel, says such trends. Kim Tae-jun stood on the cutting edge of modern research on the Korean classical novel in the 1930's. In his work of "History of the Korean Novel" he attempted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re-evaluation for some works of the Korean classical novels. Kim Tae-jun's interpretation was one which brought theoretical tools to the then trend to publish classical novels; by doing so, he established them as canonical works of Korean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