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국 모형하에서의 자본유출과 실질환율의 관계

        강삼모 한국금융학회 2002 金融學會誌 Vol.7 No.1

        환율결정에 관한 2국 2기간 3재화 일반균형모형을 수립하고 무역상대국인 타국에 외생적인 자본유출이 발생하였을 경우 자국의 균형실질환율이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균형실질환율이 상승할 경우 실제실질환율은 장기적으로 균형실질환율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만약 장기간 동안 실제실질환율이 균형실질환율을 따라 상승하지 않고 고평가상태가 지속된다면 자국은 통화위기의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기존의 많은 실증분석연구들은 통화위기가 무역을 많이 하는 나라에 전염되기가 쉽고, 지역적으로는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인접국들은 물류비 등의 이유 때문에 서로 무역을 많이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무역관계는 통화위기가 지역적으로 집중되는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 논문에서 밝혔다.

      • 동아시아 통화통합과 ACU의 역할

        강삼모 한국금융연구원 2007 금융리포트 Vol.2007 No.2

        In this paper, I discuss on the costs and benefit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ency union.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ency union raised by Mundell(1961) was realized by the success of the EMS and EMU in Europe. As Europe successfully settle down the currency union, the positive evaluation of the future European economy are anticipated and this makes a catalyst in discuss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ency union in East Asia. The reason behind Europe was dedicated to establish the currency union is that the corresponding profit is anticipated.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economic suitability of the major East Asia countries, China, Japan and Korea, for forming a monetary union. I compare their meets of OCA criteria to those of the major EMU members, Germany, France and Italy during the period before their circulating euro. I find that, although some economic indicators are agreeable, China, Japan and Korea don not appear to be economically suitable for monetary cooperation. I review the future evolution of the Asian currency arrangements from broader perspectives, including the experience with the European Currency Unit (ECU). The experience with the ECU suggests that a successful Asian currency unit requires preconditions including the firm political commitment, market-wide expectations of the eventual currency unification, and existence of well-functioning financial markets as well as cross-border payment/settlement systems. We can learn further from the fact that the ECU was handicapped by a lack of cash currency, which led to its limited use in commercial transactions, and inadequacies of settlement arrangements. Historically,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has been led by both economic and political motives. What matters most in seeking economic and monetary integration is the political will to do so rather than the economic incentive to do so. Korean government needs to prepare for achieving ACU, finally currency union.

      • KCI등재

        해외충격이 동아시아 3개국과 유럽 3개국의 GDP에 미치는 영향

        강삼모 국제지역학회 2013 국제지역연구 Vol.17 No.2

        In this paper, I attempt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a currency union in East Asi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I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foreign shock, in particular the change in the GDP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on the GDPs of 3 East Asian and 3 European countries. The responses of 3 East Asian countries to the change in the GDP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rom 1980 through 1998 were relative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both size and direction. However, an analysis of 3 East Asian countries from 1990 through 2008 finds that the responses became similar, and the same was observed in major European countries. Therefore, there may not be a need to have an individual monetary policy against the change in the GDP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cost of using a single currency can be reduced. A comparison of the 3 East Asian and the 3 European countries show that the present conditions in the East Asian countries may not favor the achievement of a currency union. However,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a currency union in East Asia in the future is increasing.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에서의 통화통합을 이루기 위한 주요 여건이 어트 정도 성숙 되었는지를 살펴보려 하였다. 통화통합의 가능성을 판단하는 방법 중 하나로써 미국의 GDP 충격이 발생할 경우 동아시아 3개국과 유럽 3개국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통화통합을 하면 독자적인 통화정책을 펼 수 없으므로 외부충격에 대한 반응이 크게 다르면 통화통합의 비용이 커진다. 실증분석 결과 독일, 프랑스, 이태리와 마찬가지로 한국, 일본, 중국의 경우도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반응의 크기가 비슷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통화통합을 할 경우 통화정책의 독립성을 상실한데 따른 비용이 많이 줄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 중국, 일본의 경우 자본이동성이나 역내무역비중은 상당히 높은 편이나 영토, 인구밀도, GDP, 1인당 GDP, GDP 성장률, 생산구조, 금융발전 정도, 환율의 상관관계 등에서 서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현 시점에서 살펴볼 때 한국, 중국, 일본이 통화통합을 이루기 위한 여건에 있어서 EMU의 대표적인 국가인 독일, 프랑스, 이태리가 통화통합을 이루기 직전 보다 다소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통화통합을 위한 우호적인 여건이 점차 성숙 되어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Reexamining the Exchange Rate Exposure Puzzle by Classifying Exchange Rate Risks into Two Types

        강삼모,김소영,Jeong Wook Lee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6 Global economic review Vol.45 No.2

        The “exchange rate exposure puzzle” refers to the phenomenon in which the proportion of firms with significant exchange rate exposure tends to be lower than expected figures. Some studies use changes in exchange rate to indicate exchange rate risks relevant to firm value. However, a different measure of exchange rate risks, which is the volatility in exchange rate changes, can also affect the value of firms because exchange rate uncertainty can affect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s of firms. This study classifies exchange rate risks into two types, namely, changes in exchange rat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exchange rate changes, and empirically examines exchange rate exposure of firms in 12 countrie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portion of firms with significant exchange rate exposure increases substantially, and thus, weakens the exchange rate exposure puzzle when we also count the cases in which the standard deviation of exchange rate changes affects stock return significantly.

      • KCI등재

        Fear of Inflation: Exchange Rate Pass-Through in East Asia

        강삼모,왕윤종 한국경제학회 2004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20 No.1

        There have been many empirical researches to find out the role of trade on economic growth. However, no attempt has been made to unravel the role of cumulative trade on economic growth. It could be presumed that the beneficial effects of trade will accumulate to affect the operation of economies to the future. We used cumulative trade augmented time index in our cost function framework to test whether cumulative trade contributed to the economic growth of the East Asian countries. We found that cumulative trade enhanced technical progress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conomic growth of the East Asian countries. Cumulative trade also contributed to the East Asian countries' catching up the superior technologies of developed countries.

      • KCI등재

        엔화환율이 한국의 경기와 실질환율 고평가에 미치는 영향

        姜三模 한국국제경제학회 2003 국제경제연구 Vol.9 No.3

        본 논문에서는 엔화환율이 한국경기, 원화환율, 실질환율 고평가 등에 미치는 영향을 외환위기를 전후로 비교분석하였다. 외환위기 이전과 비교할 경우 엔화환율의 상승이 한국이 산업생산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커졌으며, 엔화환율이 원화환율에 미치는 영향도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질환율 고평가 척도를 나타내는 수치를 만들어서 엔화환율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엔화환율의 상승은 외환위기 이전 한국의 실질환율 고형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외환위기 이후에는 그 영향력이 크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유변동환율제의 채택으로 인하여 원화환율이 시장의 흐름에 즉각적으로 반응함에 따라서, 엔화환율과 같은 외부충격이 발생하여도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환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we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yen-dollar exchange rate on industrial production, won-dollar exchange rate and real exchange rate misalignment before and after the 1997 currency crisis in Korea. We find that, compared with the pre-crisis period, the effect of the yen-dollar rate on Korea's industrial production has become more prominent, and the effect of the yen-dollar rate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has also increased since the crisis. In the meantime, we make the degree of real exchange rate misalignment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yen-dollar rate. Before the currency crisis, an increase in yen-dollar rate an enormous effect on overvaluation of Korea's real exchange rate, but the effect greatly decreased in magnitude after the crisis. The won-dollar exchange rate's response is instantaneous under a free floating exchange rate, so even when an external shock like the yen-dollar rate occurs, exchange rate risk is lowered in the long run.

      • KCI등재

        동아시아 주요국의 수입물가에 대한 환율전가 효과

        姜三模,王允鍾 한국국제경제학회 2004 국제경제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수입물가에 대한 환율전가효과를 우리 나라를 포함하여 동아시아 주요국의 자료를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또한 한국과 일본에 대해서는 품목별로 환율이 수입물가에 미치는 장·단기 영향을 분석하엿다. 일본의 경우는 장기관계가 존재하지 않아TDmau, 한국, 호주, 싱가포르의 경우를 살펴보면 수입물가지수에 대한 장기환율탄력성은 각각 0.75, 0.72, 0.91을 나타냈다. 이는 명목실효환율이 10% 상승하는 경우 수입물가지수가 각각 7.5%, 7.2%, 9.1% 상승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소규모 개방경제의 경우 환율변동의 수입물가에 대한 전가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는 소규모 개방경제의 물가안정에 있어 환율안정이 중요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estimates exchange rate pass-through into import prices using data on the major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In addition, for Korea and Japan, this paper analyzes the long-and short-term effects of exchange rates on import prices by product. In Japan no long-run relationship existed, while the long-run elasticity of exchange rate on import prices respectively reached 0.75, 0.72 and 0.92 in Korea, Australia and Singapore. It means that the import price index will respectively rise 7.5%, 7.2% and 9.1% in those countries if the nominal effective exchange rate rises 10%. That is the pass-through effect of exchange rate on import prices is large in a small open economy. These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exchange rate stability can be important in achieving price stability in a small open economy.

      • KCI등재

        한국의 실질환율 고평가 분석

        강삼모 한국금융학회 2001 金融學會誌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실질환율의 고평가 분석법을 이용하여 한국의 1997년 말 외환위기와 2000년 말 대미환율 불안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2기간 일반균형모델을 이용하여 기 초변수(fundamental variables)가 균형실질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공적분검정을 이용하여 균형실질환율을 도출하고 실질환율과 비교하여 고평가 여부를 판단하였다. 실질환율의 개념은 양국간 실질환율(Bilateral Real Exchange Rate)과 다국간 실질환율(multilateral Real Exchange Rate), 두 가지를 이용하여 고평가분석을 실시하고 비교분석을 하였다. 다국간 실질환율을 사용하였을 경우 고평가 여부에 관한 결과는 양국간 실질환율을 사 용하였을 경우와 같았으나 그 크기는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기초 변수의 계수가 Edwards의 소국가 모형에서 나타난 것과 부호가 일치하였고, 한국의 지난 상황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크다고 말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