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벽골제 성격 고찰

        강봉원 신라사학회 2024 新羅史學報 Vol.- No.61

        본고에서 벽골제의 성격은 저수지였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역사・고고학계에서는 오래전부터 벽골제는 저수지라고 여겨오고 있었다. 일본인 연구자 모리고우이치(森浩一)가 1983년 방조제일 가능성을 제기하였고, 2002년 고야마다(小山田宏一)도 동일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당시 국내 연구자들은 이 학설에 회의적이었다. 그러나 토목공학, 수리공학, 지리학 및 경제학 등 타 학문 분야 연구자들이 방조제 설을 주장하는 논고를 발표하면서 일부 역사 및 고고학 연구자들도 이들과 동일하거나 다소 변형된 견해를 제시해 오고 있다. 십여 년 전에 벽골제 성격을 둘러싸고 경제학 분야 두 연구자 간에 논쟁이 벌어졌지만 명쾌한 결론이 도출되지 않았다. 그사이 벽골제 제내 및 제외지 일부 그리고 수문지 주변에서 발굴조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자료가 많이 집적되었다. 학술대회도 여러 번 개최되어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어 벽골제 성격에 대해 재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고에서 『삼국사기』 백제본기 力役 관련 기사를 분석하고 이를 고고학 자료와 접목하여 벽골제는 백제가 중앙집권체제를 갖춘 5-6세기 사이 백제 왕실의 力役에 의해 축조된 저수지라고 보았다. 고고학 조사 결과에 의하면 벽골제 제외지에서는 해수가 밀려온 흔적이 확인되지 않았다. 바닷물이 벽골제 방죽까지 미쳤다면 제외지에서는 농사가 불가능하여 저수지가 필요하지 않고 사람이 거주할 수도 없기 때문에 방조제가 될 수 없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unction of Byeokgol-je located in Gimje, 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he majority of Korean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have been considering Byeokgol-je to be a reservoir. However, in 1983, a Japanese researcher argued that Byeokgol-je was not a reservoir but a tide embankment. In 2002, another Japanese researcher supported the assertion. At that time, Korean researchers were skeptical about their ideas. As the time progressed, some Korean researchers such as civil engineers, geographers, economist, hydrologists, including a few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began to support the theory. This paper pointed out the problems of the researchers who have been arguing that Byeokgol-je was a tide embankment. It seems that their conclusion was mostly based on fragmentary evidence and/or a few diatom analyses in conjunction with environmental change, and arbitrary interpretations of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records. Some of them are inconsistent and contradictory in terms of their arguments. A number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have been conducted in and in the vicinity of Byeokgol-je. Consequently, a lot of archaeological data have been accumulated and several academic conferences have also been held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 A definite answer has not yet been drawn and the research topic has become a debating issue for years to come. By combining historical document of the Samguk sagi with archaeological record, this paper attempted to testify the theory. In conclusion, Byeokgol-je was a reservoir constructed sometime betwee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AD by the state-level society of the Baekje Kingdom. This was based on the fact that large-scale irrigation systems, like Byeokgol-je, were constructed by the labor workers drafted by centralized political organization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ancient Korea.

      • KCI등재

        우리나라 암각화의 편년과 고고학적 맥락 : 공반관계 및 교차편년을 중심으로

        강봉원 영남고고학회 2016 嶺南考古學 Vol.- No.76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e approximate chronology of the petroglyphs of the Bangudae and the Korean polished stone dagger hilt-shaped, and geometrical designs. The chronology of the Bangudae rock art was determined as the Bronze Age by the pioneering Korean archaeologist Won Yong Kim in 1980. Since then it has been widely accepted by Korean archaeologists and historians. In this paper, his chronology was critically reviewed with a few newly discovered material evidence as well as different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s. I argued that the Bangudae petroglyph was created during the Neolithic time period. It is certain that there ar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Bangudae and the rest of petroglyphs in terms of the motifs. That is, while the Bangudae rock art is mainly composed of many different kinds of terrestrial and aquatic mammals of realistic motifs, the others are composed of stone dagger hilt-shaped images and/or geometrical designs, such as concentric rings, spirals, and lozenges of abstract motifs. The important thing is that if we consider the realistic motifs of the Bangudae petroglyphs as the product of the Bronze Age, there is no where the petroglyphs with abstract motifs will be placed to begin with. While focusing on the determination of the petroglyphs of the Bangudae and the others with abstract motifs, it i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rchaeological context, cross dating, and comparative culture historical approaches. For instance, concentric rings, stone dagger hilt-shaped, and/or cup-marks appear on the rock surfaces of dolmens which have been dated to the Bronze Age in Korea. It is also of interest to note that polished stone daggers and/or arrowheads are occasionally depicted on dolmens, while polished stone-daggers and -arrowheads have been occasionally discovered from the Korean dolmens. In this archaeological context, the petroglyphs of polished stone-daggers and –arrowheads including geometric designs and dagger hilt-shaped images should be dated to the Bronze age. 본고의 목적은 반구대, 천전리, 그리고 소위 검파형과 기하문 암각화에 대해 고고학적 맥락 파악의 중요성을 고찰하고 이들을 적절하게 편년하는 것이다. 특히 사실적인 반구대 그림, 추상적인 천전리 그림, 그리고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 검파형 암각화 및 지석묘 상석에 새겨져 있는 기하문 암각화를 편년함에 있어서 고고학적 맥락, 공반관계, 및 교차편년 법을 토대로 접근하였다. 그 결과로 반구대 암각화는 ‘신석기시대,’ 천전리 기하문,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 검파형, 그리고 지석묘 상석에 새겨진 동심원 암각화 및 성혈 등은 ‘청동기시대’로 편년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지석묘 상석에 새겨진 석검과 석촉 등은 비록 구상 (具象)적인 그림이기는 하지만 이 유물들이 지석묘의 부장품으로 발견되는 예가 많은 것을 고려하여 지석묘와 동시기인 ‘청동기시대’로 편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 포항의 선사문화 : 석촉 및 석검의 기능과 인비리와 칠포리 암각화의 기원

        강봉원 한국암각화학회 2019 한국암각화연구 Vol.23 No.-

        본고에서 포항의 선사문화를 개괄적으로 알아보고 기계 인비리와 흥해 칠포리 암각화의 기원 과 연대에 관해서 검토하였다. 이 글에서 포항지역에서 발견되는 검파형 암각화는 다른 나라 주 민의 이주와 문화전파의 산물이라기보다는 구석기시대 이래 이 지역에 거주하였던 토착인들의 독자적인 문화발전의 산물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기계 인비리의 지석묘 상석에는 이단병 식 석검 두 자루와 마제석촉 하나가 새겨져 있다. 이 암각화가 존재하고 있는 지역에서 지석묘 의 발굴 예는 많지 않지만 다수의 청동기시대 수혈식 주거지에서 이단병식 석검과 석촉이 적지 않게 출토되었다. 이들 주거지에서 검출된 시료로 탄소연대 측정한 결과를 종합한 결과 이 지역 의 주거지는 기원전 1200년에서 기원전 600년 사이에 축조된 것으로 나왔다. 고고학적 공반관 계(law of association)와 맥락(context)을 고려하면 기계 인비리와 흥해 칠포리의 암각화도 대 략 이 시기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암각화 연구자들의 일부는 검파식 암각화는 중국, 몽고, 혹은 시베리아 지역에 보이는 얼굴이 나 가면 혹은 태양신의 모습이 문화의 전파나 주민의 이주에 의해서 포항지역에 발생하였다고 해석하는 것에 대해 독자적인 발생으로 보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청동 기시대 주거지에서 검출된 마제석검과 마제석촉의 기능도 일부 암각화 연구자들이 상징, 의례, 장식, 부장의 중요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에 대해서도 반론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해석을 전 적으로 배제하지는 않지만 포항지역의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석검과 석촉을 보면 대부분 파괴된 것들이 많다는 점, 일본의 분묘에서 인골들과 석검과 석촉이 공반·출토되고 있는 사례, 반구 대 및 세계의 다른 지역 암각화에 보이는 사냥과 전투 장면,『삼국지』위서동이전에 보이는 독 화살촉의 역사적 사례 등을 제시하여 최소한 화살촉들은 사냥과 전쟁 등 실생활에 많이 사용되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본고에서 시간과 공간의 간극이 크고 또 인간집단들이 접촉을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동일 하거나 유사한 문화의 요소가 발생하는 현상인 ‘평행발전’(parallel development)을 강조하 였다. 포항지역의 독특한 암각화 문화는 외래 집단의 도래에 의해 생성된 것이라기보다는 이 지 역 토착 주민들의 내재적 발전 즉, 청동기시대 마제석검 손잡이를 모티프(motif)로 해서 발생하 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모양이 변형되어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 설득력 이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ock art at Inbe-ri and Chilpo-ri in Pohang located in southeastern part of Korea. Polished stone daggers and arrowheads recovered from semisubterranean pit-houses in the study area are also analyzed and interpreted, since they are related to the chronology of the rock art. The rock art at Inbe-ri Gigye has two polished stone daggers and one polished stone arrowhead engraved on the surface of a dolmen. According to C-14 dates and the law of association, these kinds of artifacts were dated to the Bronze Age in Korea (ca. between 1000 and 600 B.C.), thus the two rock art sites can be dated to the same period. The rock art at Chilpo-ri Heunghae is composed of the motifs of polished stone dagger hilt-shape with some small pits, vulva-form, and polished stone daggers. Attempts are made to examine the function of the polished stone daggers and arrowheads collected from semi-subterranean pit-houses in association with the rock art motifs. While some Korean rock art researchers have bee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ymbolic and ritual meanings of the two kinds of stone artifacts, I argued that those artifacts were used not only as utilitarian tools in hunting but also as weapons in warfare. Some Korean researchers have been assuming that the rock art in the study area may have been the outcome of either diffusion or migration from China, Mongolia, and/or Siberia. They pointed out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stone dagger hilt-shaped Korean rock art and face- or mask-like rock art discovered in those countries. This paper, however, emphasized that there had been cultural continuities Palaeolithic to the Bronze Ages in Korea in general and the study area in specific. In conjunction with this context, it is argued that the appearance of the rock art in the study area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local indigenous people’s independent development

      • 고령 장기리 암각화 고찰 : 고고학적 맥락을 중심으로

        강봉원 한국암각화학회 2017 한국암각화연구 Vol.21 No.-

        본고에서 고령 장기리 암각화에 보이는 검파형(劍把形) 및 동심원(同心圓), 그리고 성혈(性穴) 등의 모티프(motif)를 검토·분석하여 한국 암각화 연구에서 장기리 암각화의 위치와 그 중요 성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아울러 장기리 암각화의 모티프를 우리나라의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 유사한 것들은 물론이고 외국의 사례와도 비교·검토하여 조성시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장기 리 암각화가 우리나라 고고학계 논쟁의 쟁점이 되어 오고 있는 울주 반구대와 천전리, 그리고 검 파형 암각화를 편년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우리나라 지석묘 상석에 장기리 암각화에 나타나는 검파형과 동심원 모티프, 그리고 성혈이 발견되고 있어 고고학적 맥락상 장기리 암각화를 청동기시대로 편년할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 켰다. 동심원과 성혈 등은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도 발견된 예가 많고 이들은 대체로 신석기시대 후기에서 청동기시대(3000-1500 B.C.)로 편년되고 있다. 우리나라 지석묘의 일반적인 편년을 고려하면 검파형과 동심원 암각화는 일부 연구자들이 주장하는 초기철기시대보다 이른 청동기 시대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특히, 고령 장기리 암각화는 국내 다른 암각화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가교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현재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것을 국보로 승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petroglyph located at Janggi-ri Goryeong, in Korea. The motifs of the rock art are composed of polished stone dagger hilt-shape, concentric ring, and cup mark. By analyzing the motifs of the petroglyph,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archaeological context of the rock art in terms of the chronology. The determination of the chronology of Korean rock art, including especially Bangudae, has been hotly debated for a long time in Korea. So far, there is still no general consensus about the chronology of the Bangudae whether it was carved in the Neolithic or in the Bronze Age. In this sense, the petroglyph of Janggi-ri site plays a critical role for the study of Korean rock art in terms of not only chronology but also rock art culture in general. In order to conduct research on the rock art carvings of concentric rings, stone dagger hilt-shaped motifs, and cup-marks at Janggi-ri, I investigated similar motifs appearing on the surface of Korean dolmen of which date has been determined as the Bronze Age without a question. Since Korean dolmen has been treated as one of the most common mortuary practices in the Bronze Age, it is possible to date the petroglyph of Janggi-ri to the same time period. Thus, I argued that rock art at Janggi-ri may have been carved during the Bronze Age. I also examined the rock art motifs that has been reported in Europe, such as British Isles, Sweden, and Norway. It is of interest to note that a number of concentric rings and cup-marks have been identified in those countries. It turned out that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the motifs identified in Europe and Korea respectively. In fact, the motifs are so similar that they are almost identical. Yet, the motifs of European rock art are dated from the end of the Neolithic to the early Bronze Age (3000- 1500 B.C.). In contrast, the similar motifs of Korean rock art have been dated to the the early Three Kingdoms Period(A. D. 300 - 500). On the basis of the date of European rock art, I pointed out that Korean rock art must have been carved much earlier than some Korean rock art researchers have been asserting. The Janggi-ri rock art site was designated as Korean Treasure No. 605 in 1976. I presented the idea that it is time to upgrade the rock art as Korean National Treasure, since it plays a critical role for the study of Korean rock art in general.

      • KCI등재

        한국 고고학연 구에 있어서 표본조사 방법의 중요성

        강봉원 영남고고학회 2008 嶺南考古學 Vol.- No.46

        이 논문은 고고학적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표본조사 방법의 중요성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표본조사 방법론은 한국의 제 학문 분야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논의되어 왔고 실제 연구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들의 일상생활에도 많이 적용되고 있는 것이어서 생소한 것만은 아니다.고고학 분야에서도 적지 않게 소개되었고 근래에는 시·발굴 현장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고고학계에서 표본조사 방법을 심층적으로 다루거나 논의한 논저가 그다지 많은 편은 아니다. 우리나라 고고학에서도 통계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고 사용하는 예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면 통계학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표본조사 방법에 관한 내용도 당연히 고려의 대상이 되어야 하고 적극적인 논의와 사용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통계학과 표본조사 방법을 고고학에 적용하는 그 자체가 고고학의 학문적 수준을 자동적으로 상승시켜 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한정된 고고학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수집된 자료를 표본조사 방법에 입각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면 새로운 연구성과가 도출될 수도 있고 고고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이런 점을 염두에 두면서 본고에서는 표본조사 방법과 관련된 기본적인 개념과 그 사용의 당위성에 관해서 고고학적 실례와 연계하여 서술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부여 송국리 유적 주거지 출입구 고찰

        강봉원,김경택 호서고고학회 2022 호서고고학 Vol.- No.5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ature of two holes identified in the middle of the oval-shape feature in the Korean Bronze Age pithouses at Songguk-ri, Buyeo Korea. Pithouses dated to the Bronze Age have turned out to be one of the most abundant archaeological features in Korea. Therefore, a detailed research concerning pithouses has been conducted and a number of characteristics have been known so far.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long been interested in the location of entrance to pithouses, it has not yet been clearly known. Oval-shape features have been exposed in the center of Songguk-ri style(roundish) pithouse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y are not hearths. Rather, they have been regarded as either a temporary storage pit or a stone tool manufacturing pit(a workshop for stone tools). Researchers have been paying a close attention to the two holes discovered in the oval-shape feature. Some researchers consider them to be either central post holes or ordinary post holes. However, we formulated a hypothesis that the oval-shape feature is the trace of people's movement and two holes are the marks generated by the legs of a ladder for entrance to the pithouse. To test this hypothesis we utilized many different Chinese historical documents and ethnographic observa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pithouses of the aboriginal peoples who inhabited in both Siberia and Alaska regions. It turned out that the documentary sources and observations made by European explorers and Russian researchers well correspond and provide a critical information about overall structure and the location of the entrance of pithouse. Based on the outcome of the analysis against the archaeological data from Songguk-ri site, we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two holes were the marks of the legs of a ladder for entrance and an opening/window/chimney was located on top of the roof of the pithouse. 본 논문은 우리나라 청동기시대 송국리 원형주거지 바닥 중앙의 타원형 수혈 내부에서 확인되는 두 개의 주혈 혹은 주공의 성격 검토 및 분석에 관한 내용이다. 한국고고학에서 가장 많이 조사되고 있는 유구 중 하나인 청동기시대 수혈주거지의 성격과 내용은 이미 많이 밝혀졌다. 그러나 수혈주거지의 출입구를 포함한 출입시설의 위치와 구조는 학계의 오랜 관심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송국리 주거지에 설치된 타원형 수혈은 노지는 아니고, 작업공 또는 임시 저장구덩이로 해석되기도 한다. 특히 타원형 구덩이 양 끝에 있는 두 개의 구멍은 중심 기둥 자리 혹은 주혈/주공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필자들은 타원형 구덩이는 사람들이 수혈주거 안팎으로 출입하면서 생긴 흔적이고, 두 구멍은 출입을 위해 사다리를 고정시켜 놓았던 구멍 자리일 수 있다는 가설을 수립하였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수혈주거 및 출입구 관련 중국문헌 기사와 시베리아와 알래스카 지역 원주민들의 주거 관련 민족지 자료를 찾아 검토·분석하였다. 또 부여 송국리 유적에서 발굴 조사된 주거지의 분석을 통해 송국리 원형주거지 주민들은 출입구를 지붕에 설치하고, 주거 안팎으로 출입했을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