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금 Baicalein의 위염 및 H. pylori균에 미치는 효과

        강민희,이정헌,이용수,손건호,이동화,김영식,강삼식,방효춘,정춘식,Kang, Min-Hee,Lee, Jung-Hun,Lee, Yong-Soo,Son, Kun-Ho,Lee, Dong-Hwa,Kim, Yeong-Shik,Kang, Sam-Sik,Bang, Hyo-Choon,Jeong, Choon-Sik 대한약학회 2007 약학회지 Vol.51 No.1

        Scutellaria Radix, the dried roo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Labiatae), has been used in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for treatment of fever urine disorder, diarrhea, inflammation.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gastroprotective effect of chrysin, baicalein, baicalin, wogonin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This reports evaluated antioxidant effec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HCI-ethanol-induced gastric lesion in rats and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iveness. It may be regarded that the antigastritic effect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baicalin, baicalein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are originated from acid-neutralizing capacity,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고주파수 성분의 예제 기반 신경회로망 학습 모델을 이용한 흐린 영상의 보정

        강민희(Minhee Kang),조성원(SeongWon Cho),김재민(JaeMin Kim),기선호(Sunho Ki),김유성(Yusung Kim),정선태(Suntae Chu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9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9 No.1

        본 논문은 예제 기반 고해상도 영상 복원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흐린 영상을 보정하는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고해상도의 예제용 영상들로부터 패치 단위로 분리한 고주파 성분과 흐린 영상과의 상관관계를 신경회로망을 통하여 학습 시키고 이후 입력 영상에 적합한 고해상도 패치를 더해주는 방법을 통하여 보정된 영상을 획득하는 방식을 통하여 흐린 영상의 선명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 KCI등재

        장소성 형성을 위한 역사인물의 활용방안

        강민희(Kang Min-hee)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6 No.-

        지금까지 축적된 역사인물콘텐츠의 수만 보더라도 ‘지금, 여기’에 있지 않더라도 역사인물이 개인과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력은 적지 않아 보인다. ‘역사’로 불리는 먼 과거를 살았던 인물이, 어떤 이유로, ‘지금, 여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각광받고 있을까? 이에 대한 답은 개인과 공동체로 거칠게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當代를 살아가는 독자들이 삶의 의미를 음미”하고, “우리 삶의 한 전형적인 인물의 삶이 이야기”하는 인류 보편가치를 환기한다는 점에서 논의를 전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동체의 입장에서는 지역에 산재한 유 · 무형의 역사문화자원과 연계해 정체성을 강조 · 확산하고 향유자의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대상으로 여기는 경향이 크다고 판단된다. 논자는 이와 같은 흐름과 입장에 적극적으로 동의하는 동시에 역사인물이 밈(meme)을 형성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지역에 산재한 유 · 무형의 문화자원과 연계될 때 새로운 장소성을 형성할 수 있다는 가정을 마련하였다. 이상의 가정을 검증하기 위하여 ‘역사인물을 활용한 장소성 형성방안’이라는 연구주제를 마련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대상으로 충무공 김시민 장군과 그의 고향인 충남 천안시를 선정하였다. 충남 천안시는 김시민의 고향이지만 “다소 의아심이 들 만큼 구체적인 계승과 발양의 흔적이 없었고, 이를 아쉬워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대규모 개발사업, 혹은 정신과 역사의 계승이 축소된 모습들이 재현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논의의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논의의 진행을 위하여 충남 천안시의 충무공 김시민 장군(이하, 김시민) 유적 및 유물을 총체적으로 검토하였으며, 그중에서 이야기가치(story value)가 높다고 여겨지는 1) 생가터와 사사처를 중심으로 천안시의 김시민 유적과 관련 스토리, 키워드를 검토하였다. 또 2) 김시민 콘텐츠의 방향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3) 장기적인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내용을 논의하였다.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cultural contents based on historical characters can be arbitrarily divided. Nevertheless, it has attracted local governments′ attention because it is possible to acquire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at the same time, improve cultural awareness, and ultimately revitalize the economy. However,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re were no practical measures or directions. As a result, there are many cultural contents that can be avoided not only from visitors but also from local residents. Therefore, let`s look at the direction and method of cultural content that can invoke universal values through the remains and relics of Chungmugong Kim Si-Min. Through this process, Kim will not be a historical figure remaining in a particular time and space, but will arouse a spirit of objectivity that is recognized in society by acquiring universality beyond time and space.

      • KCI등재

        장애여성운동에 대한 새로운 담론: 장애여성운동의 정치학에 대한 비판적 사색

        강민희 ( Min Hui Ka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3

        Korean disabled women``s movement, which began with starting disabled women``s self-organisation, ``Bijjangeul-yonun-saramdeol``, in 1990, has grown rapidly, criticising disablism and men-centrism in Korean society. This movement has been acknowledged as the only civil rights movement which can possibly tackle the oppressive forces in Korean society and consequently has constructed maturity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 movement is now in a new phase of creating counter social values and seeking ways to achieve its ultimate goal of disabled women``s emancipation. The discourses In this moment forming by disabled women activists on their political activism would greatly affect the future politics of the movement.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movement``s decadal achievement as well as its limitation from the critical viewpoint through the discourses emerging from inside the movement.

      • KCI등재

        재가 장애노인의 품위 있는 노화와 좋은 죽음 인식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강민희(Min Hui KANG)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9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6 No.46

        본 논문은 재가 장애노인이 생각하는 ‘품위 있는 노화’와 노화의 종결점인 ‘좋은 죽음’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장애인의 노화 경험에 있어 차이점이 있다면 장애를 얻게 된 시기 및 장애의 중증도, 그리고 경제적 여건 및 함께 생활하는 가족 유무 등 현대사회에서 생활의 질 차이를 만드는 중요한 요인들이라고 생각하여, 이 요소들을 중심으로 참여자들과의 심층면접 내용과 이들이 쓴 글 등을 분석한 후 사례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노화의 경험은 ‘통증과의 싸움’, ‘친숙했던 장애의 낯섦’, ‘외로움이 잠식하는 일상’, ‘낮아지기만 하는 삶의 질’, ‘무너져 내린 자존감’으로 정리되었고, 품위 있는 노화의 의미는 ‘자유와 초월’, ‘적응과 수용’, ‘성찰과 성숙’, ‘희망’, ‘향유’로 정리되었으며, 좋은 죽음의 의미는 ‘고통 없는 죽음’, ‘나를 정리할 수 있는 죽음’, ‘폐 끼치지 않는 죽음’, ‘존중 받는 죽음’, ‘도리를 다하는 죽음’으로 정리되었다. 이후 이를 다시 사례 간 상황분석을 실시하여 이론적,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of ‘how old people with disabilities perceive getting old and dying with dignity’. It tries to analyz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participants, considering that the participants would live a different life in a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severity of impairment, time of disability-onset, economic environment,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family member living together. Indepth-interview, essays and diary which are written and permitted by participants for this study, study notes are used for analysis, and case study has been employed for methodology. The result of analysis has been organized into three themes: ‘The experience of getting old’, ‘Meaning of aging’, ‘good death’. ‘The experience of getting old’ has been arranged with ‘struggling with pain’, ‘becoming unfamiliar with his/her own disability’, ‘everyday life encroached by loneliness’, ‘decreasing life quality’, ‘collapsed self-esteem’, ‘Meaning of aging’ with ‘liberty and transcendence’, ‘adaptation and respectiveness’, ‘hope’, ‘enjoyment’, ‘good death’ with ‘death without pain’, ‘death after sorting the life’, ‘death not to cause trouble’, ‘death esteemed ’, ‘death after fulfilling duties’.

      • KCI등재

        MZ세대의 비거니즘콘텐츠 사례와 의미 연구

        강민희(Kang, Minhee)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7 No.-

        “동물성 제품의 사용을 포기하는 것, 동물의 생명이 아닌 공공재로 취급하는 것을 거부하는 것”, “동물의 생명을 빼앗거나 고통을 야기하며 얻어진 음식, 혹은 동물의 강제적인 노동력이 요해진 음식을 먹는 것에 반대”하는 데서 시작된 비거니즘은 동물의 생명을 해치는 것과 동물의 노동력을 착취하여 얻어진 제품을 소비하지 않는 것, 일상에서 불필요한 동물의 죽음과 고통에 반대하는 실천적 생활양식으로 그 의미를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비거니즘의 의미가 확장하고 있는 것과는 별개로 그간의 선행연구는 주로 ‘먹는 행위’에 관한 해석과 특정 제품의 구입 및 소비의 영역을 부각하는데 집중되어 왔고, 이로 인해 비거니즘의 실천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는 거의 규명하기 어려웠다. 이에 연구자는 비거니즘을 ‘먹는 행위’가 은유하는 다양한 문제의 대안이라는 인식 아래, 비거니즘의 지향과 실천 그리고 확산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MZ세대의 비거니즘 콘텐츠를 통해 살피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해당 세대는 비거니즘의 선택과 실천, 그리고 확산에 이르는 과정의 부담에 압도되기보다는 이른바 ‘오히려 좋아’의 태도로 다채로운 비거니즘콘텐츠를 생산하고, 향유하고, 재생산하며 새로운 결의 선택과 실천, 확산의 경향을 보여줌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MZ세대에게 SNS는 원하는 바를 먼저 이루어내는 능력인 ‘선취력(先취력)’을 바탕으로 필요한 정보를 경제적으로 수집할 수 있고, ‘후렌드(WHO+Friend)’ 정신을 바탕으로 취향을 공유할 수 있는 친구를 발견할 수 있는 ‘약한 연대’가 발아할 수 있는 공간이자, ‘판플레이(판+Play)’를 통해 진지한 담론과 함께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놀이이자 장(場)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사실도 마주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그간 ‘먹는 행위’에 관한 해석, 특정 제품의 구입과 소비에 국한하여 논의되어 온 비거니즘의 의미와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로 유의미할 것이다. Veganism, which began with “giving up the use of animal products, refusing to treat them as public goods rather than animal life,” “against food obtained by taking away animal life, causing pain, or eating food that requires forced labor,” expands its meaning to a practical lifestyle. However, apart from the expansion of the meaning of veganism,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interpreting “eating behavior” and highlighting the area of purchase and consumption of specific products,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how veganism practices appear. In response, the researcher tried to examine the orientation, practice, and spread of veganism through the veganism content of the MZ generation under the perception that "eating behavior’ is an alternative to various problems. As a result, rather than being overwhelmed by the burden of veganism’s choice, practice, and spread, the generation was able to understand that it produced, enjoyed, reproduced colorful veganism contents with a so-called “good” attitude, and showed a tendency to choose, practice, and spread new resolutions. In addition, for the MZ generation, SNS can economically collect necessary information based on “Pre-Choice(先취력)” the ability to achieve what they want first, and it is a space where “weak ties” can discover friends who can share tastes based on the spirit of “WHO+Friend(후렌드),” “Pan+play(판+Play)”.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meaning of veganism and the horizon of research, which has been discussed only for the interpretation of ‘eating behavior’ and the purchase and consumption of specific produc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장애차별의 정치경제학적 분석: 장애차별과 사회정책의 관계를 중심으로

        강민희 ( Min Hui Ka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Political-economic analysis, among other theories and expository frames,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ols to explain the social status of and the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people. One of the reasons is that we can understand critical influences on daily life through political economics of disability, and that almost everything we experience in day-to-day context cannot be separated from political economics.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disability and disability discrimination on the aspect of political economics. Especially this article tries to account for how disabled people have been controled or excluded through social politics, which reflect political economics of a certain society, and how they have been positively affected by social politics. Firstly, this article will explain why disability needs to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political economics. Secondly, it will look at the process of the classific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disability within the frame of Capitalism. Lastly, it will claim that social politics can take an important role in empowering disabled people, even though it is undeniable that it has played as a mechanism of their social exclusion.

      • KCI등재

        역사인물의 이야기가치와 활용방안 검토

        강민희(Kang Min-Hee)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39 No.-

        스토리텔링에서 역사인물은 왜 논의의 대상이 되고, 어떻게 표상되며, 어떠한 방향으로 확장되어야 하는가? 역사적 사실을 임의로 재단할 수 있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역사인물은 지역으로부터 적지 않은 주목을 받아왔다. 특히 스토리텔링이 문화산업의 요체(要諦)로 인식되고, 특수하고 개성 있는 삶이 보편적 가치를 내재한다는 생각이 확산됨에 따라 역사인물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에 대한 관심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장의 관심에 비하여 스토리텔링과 역사인물을 잇는 학술적 담론은 여전히 빈약한 편이다. 이에 논자는 역사인물과 스토리텔링의 관계를 담론화하기 위해 안용복콘텐츠를 검토하고, 인물의 생애에 내재된 이야기가치를 도출해 스토리텔링 방향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안용복은 독도 영유권 수호 담론과 직결되는 인물로 관련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정치외교적으로 민감한 사안을 유연하게 형상화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스토리텔링은 안용복의 입체적 이미지와 생애를 효과적으로 드러내지 못했고, 인물의 현재적 가치를 도출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판단된다. 스토리텔링에 대한 대중의 참여와 몰입 또한 쉽지 않았던 것도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또한 보다 효과적인 논의를 위하여 역사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인물의 생애에서 현재적 가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물의 이야기와 관련된 주요 플롯과 핵심가치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마련된 스토리를 토대로 ‘안용복 루트’ 및 지역민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스토리텔링클럽’ 등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글을 통해 역사인물과 스토리텔링의 상관관계를 밝힌 담론이 추가되고, 역사의 일부로 ‘기록’되었던 안용복을 함께 ‘기억’하는 장(場)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In storytelling, why have historical figures been discussion topics, how have they been represented, and in what direction should they be understood? Despite concerns that historical facts can be arbitrarily changed, to date historical figures have received not in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local cultures. Rather, as a perception that storytelling is a key (要諦) to cultural industry and universal values are inherent in a special and distinctive life spreads, it seems like that attention to storytelling with the use of historical figures increases. Yet still discourses linking historical figures with storytelling are relatively inadequate. At this, as the writer I reviewed the storytelling in the content of Ahn Yong Bok and drew the value of the story through his life to present a direction of storytelling and methods of using it, and ultimately, to mak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figure and storytelling discussed. As everyone knows, he is a figure directly related to discourse on protection of the ownership of Dokdo; the related storytelling has potential for making politically and diplomatically sensitive issues crystallize into flexible ones. But the storytelling that has been performed so far has failed to reveal his multifaceted image and life effectively; and it is thought that the storytelling has had a difficulty in drawing the present value of the figure. In addition, it is not easy for the public to participate in it and become immersed in it, which can be pointed out as a limitation. For effective discussion, I intended to look comprehensively at the Ahn Yong Bok content that has been created and present the present value of his life that can be found in history.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draw a main plot and a core value that are related to the story of the figure. And based on the prepared story, I intended to present ways to use ‘The Ahn Yong Bok Route’, the local resident-centered ‘Storytelling Club’, etc. I expect that through this writing discourses revealing correlation between historical figure and storytelling will be added and opportunities (場) where we can ‘remember’ him together, who has been recorded as part of history.

      • KCI등재

        장소성 형성의 프로세스 연구- 《여학생일기》에 나타난 식민지 대구를 중심으로 -

        강민희(Kang, Minhee)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58 No.-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공간에는 가변성이 존재하고, 이로 인하여 같은 공간이라도 개인적・사회적, 정치적・문화적, 시간적 맥락 등의 요인으로 인해 변모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특정 공간과 시간이 중첩되면 장소성이 단일한 것처럼 여겨지거나 맥락으로 이해되는 경향도 있음을 발견했다. 이러한 결과는 근본적으로 공간 내에 다양한 장소성을 정위하는 층위와 방식에 관한 이론적 검토 및 사례의 부족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문제는 이러한 한계를 마주하더라도 극복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학생일기》는 그간 언급되어 온 식민지 대구의 단선적 성격을 극복하는 데 효과적이고, 장소성이 행위 주체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기존의 이론을 입증하는 데에도 적합해 보인다. 따라서 연구자는 1) 환경적 요소와 인간의 구체적인 경험, 그에 따른 의미 부여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공간을 인식할 필요가 있고, 2) 장소성의 형성 프로세스는 개인의 사고와 행위가 시대성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는 가정에 따라 텍스트를 장소성의 영역에서 분석, ‘K양’이 바라보는 식민지 대구의 의미를 읽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타자에 의해 갑작스럽게 들이닥친 근대적 변화가 문화정치에 의해 내면화한 식민지 대구에서 ‘학교’는 ‘교육을 통해 개인을 충실한 식민지민과 황국신민으로 키워내는 관문’이었고, 식민지 대구는 ‘K양’을 비롯한 대구부민에게 ‘신성성과 기원이 중첩된 장소’라는 장소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prior research, the researcher found that location characteristics could be changed depending on personal, social, political, cultural, and time context.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ace the fact that, a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ertain spaces and time overlap, place characteristics seem to be single or tend to be understood in context.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theoretical examination and lack of examples of layers and methods of locating various locality in space. The problem is that it is not easy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this situation, the Diary of Female Students(女學生日記) is effective in establishing a value system that overcomes the unilateral nature of the colonial city of Daegu, and proves that lo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identity of the actor. Therefore, researchers need to recognize space as a ‘place’ where environmental factors, human experience, and consequent meaning are combined. 2)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ndividual thoughts and actions are not free from the constraints of time, they want to read the meaning of Daegu. As a result, ‘school’ is a gateway to raising individuals to loyal colonists and royal subjects through education in Daegu, a place where sacredness and origin overlap with Daegu residents, including ‘Female Students 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