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확실성을 고려한 기후변화 예측: 2. 내적 변동성

        김종호,조혜린,조용식,Kim, Jongho,Cho, Hye-Rin,Cho, Yong-Sik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4 No.5

        연구 I(김종호 등, 2014)의 GCMs앙상블과 이산화탄소 시나리오에서 오는 불확실성과, 본 연구에서 수행한 내적 변동으로부터 오는 불확실성을 고려하는 것은 기후변화 예측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들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기발생기를 이용하여 기온과 강수량에 대한 3,000년에 해당하는 시계열을 3기간(2011-2040년, 2041-2070년, 2071-2100년)과 2개의 이산화탄소 시나리오(RCP4.5, RCP8.5)에 대해 생성하였고, 시계열로부터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기후의 변동 정도를 수치화하였다. 세가지 원인에 의한 불확실성을 서로 비교한 결과, 강수량에 대해서는 미래기간에 관계없이 내적 원인으로 발생하는 기후의 변동성이 가장 크며, 기온에 대해서는 현재와 멀어질수록 외적 원인으로 발생하는 기후 변동이 지배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When projecting climate change on future, considering uncertainties due to multiple GCMs and emission scenarios carried out in the previous companion paper and that caused by climate internal variability addressed in this paper is one of the most crucial factors. In this study, a weather generator is employed to generate a time series corresponding to 3,000 year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for three future periods, 2011-2040, 2041-2070, 2071-2100, and two emission scenarios, RCP4.5 and RCP8.5, from which the information on climate natural variability was quantified. The comparisons among 3 uncertainty bounds have concluded that for precipitation, the climate internal variability is most significant regardless of time windows while for temperature, the uncertainty by emission scenarios tends to increase as the time passes.

      • KCI등재

        상용 운영체제 기반 이중화 시스템 설계

        김종호,김종호,이제헌,임형택,방경은,이숙진,임순용,양승민 한국통신학회 2000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5 No.8

        중요한 일을 처리하는 제어 시스템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제어기 중단될 경우 큰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 이런 경우에 대비하여 고 신뢰도 보장을 위한 시스템의 이중화에서는 이중화 기능을 갖는 전용 운영체제를 직접 만들었는데 이는 많은 개발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필요로한다. 이중화 기능을 사용자 수준에서 지원하고 상용 운영체제를 이용하면 운영체제와 개발환경을 만드는데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줄일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상용 운영체제를 이용한 시스템의 이중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설명하는 시스템의 제어국 시스템으로서 동시쓰기 메모리를 이용하는 이중화 구조이며 VxWorks를 운영체제로 사용한다 이중화를 지원하는 태스크들이 선점되지 않고 즉시 수행될수 있도록 하는 방법 스탠바이가 부팅한 후 액트브와 메모리를 동기화하는 방법 사용자가 동시쓰기 메모리를 쉽게 사용할수 있도록 VxWorks의 파티션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액티브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 고장을 감지했을 때의 절체방법과 스탠바이가 액티브의 고장을 감지했을때의 절체 방법을 설명한다. If the control system that works important job fails, economical loss occurred. Hence, to guarantee high reliability, it must be duplicated. In the case of traditional duplication mechanism, dedicated operating system with duplication functions were built. This required much development and maintenance cost. They can be saved, if we use commercial operating system and its development environment.This paper proposes a duplication mechanism for the system based on commercial 0S. The system that explained in this paper is BSC(Base Station Controller). The duplicated BSC system uses concurrent write memory for synchronization and VxWorks as an operating system. We propose how the task supporting duplication functions is executed without delay and preemption, how to synchronize standby's memory with active' s, and how to use concurrent-write memory easily with VxWorks' s partition. We also describe the takeover procedure when the active detects its hardware fault and when the standby recognizes the failure of the active.

      • 환경시장의 구조 변화와 정책 과제

        김종호,장기복,이미숙,하종식,조일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9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9 No.17

        녹색성장이 핵심적인 국정과제로 제시되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의 맥락에서 환경산업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환경산업이 경제성장이나 일자리 창출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지, 그 잠재력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정보는 매우 취약하다. 환경산업이 실제적 경제성장이나 고용 창출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고 또한 앞으로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환경산업의 현황 및 관련 정보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국내 환경시장 현황 파악, 그리고 환경시장의 전반적인 구조나 개별 시장의 특성 변화에 대한 분석에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국제적 흐름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 기준으로 삼는 환경시장/환경산업에 대한 정의 방식이나 분류체계를 제시하고, 환경시장에 대한 경제적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접근법을 비교·분석한다. 그리고 가용한 통계자료를 이용해서 시장 규모를 추정하고, 나아가 상대적으로 자료의 신뢰도가 높은 환경보호 시장을 대상으로 시장 구조 및 특징에 대해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에 근거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OECD/유럽통계청의 1999년 매뉴얼, 미국 EBI(Environmental Business International), 영국 JEMU(Joint Environmental Markets Unit), 유럽통계청 환경산업 핸드북(2009) 등에서 제시된 환경산업의 정의와 분류체계를 소개하고, 유럽통계청 환경산업 핸드북(2009)을 환경산업의 정의와 분류를 위한 기준으로 채택한다. 동 핸드북은 그 동안 일종의 국제표준 역할을 수행해 온 OECD/유럽통계청의 1999년 매뉴얼을 대체하는 성격을 갖는다. 동 핸드북에 따르면, 환경시장은 크게 환경보호그룹과 자원관리그룹으로 구분된다. 제3장에서는 환경시장 분석과 관련한 주요 선진국의 사례를 살펴본다. 환경산업/환경시장에 대한 조사나 분석을 위해 대부분의 국가가 OECD/유럽통계청의 1999년 매뉴얼의 정의나 분류를 따르고 있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EBI에서 제시한 정의와 분류를 이용하고 있다. 유럽과 일본의 경우는 정부 주도 하에 환경시장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고 있는 반면에, 미국의 경우는 민간 컨설팅 업체가 환경시장 분석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환경시장에 대한 분석은 주로 수출 전략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나, 환경산업의 성장에 따라 점차 매출액, 고용, 수출입 등 시장 규모를 추계하고 미래 시장을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의 범위를 넓히고 있다. 또한 비교적 환경시장 분석 연구가 잘 진행되고 있는 EU의 경우에는 시장 규모뿐만 아니라 산업의 구조, 규제 및 정책과의 연관성 등의 이슈도 함께 다루어지고 있다. 제4장에서는 유럽통계청 환경산업 핸드북(2009)의 기준에 따라 국내 환경시장의 규모를 추정하였다. 국내 환경시장의 경우 환경보호 시장과 자원관리 시장의 비율이 대략 85:15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 EU 평균(자원관리 시장이 환경보호 시장의 60%에 육박)에 비해 환경보호 시장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2004~2006년 동안 전체 환경시장은 30.8% 성장하였는데, 동 기간 동안 명목 GDP가 17.9% 증가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환경시장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부문이라고 볼 수 있다. 환경산업의 포괄 범위와 관련하여 문제가 되는 수도사업을 제외할 경우, 전체 환경시장은 동 기간 동안 33.4% 성장하였으며, 특히 자원관리 시장은 68.6% 성장하였다. GDP 대비 환경시장의 비중은 2004년 3.5%에서 2007년 3.9%로 높아졌다. EU 국가들과 비교해 볼 때, 한국의 GDP 대비 환경시장의 비중은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부문에 종사하고 있는 고용자수는 26만 명이 넘으며, 이는 전 산업 종사자수의 1.69~1.80% 수준으로 EU 평균치와 유사한 수준이다. 제5장에서는 나아가 환경보호지출 데이터를 이용해서 국내 환경보호 시장의 구조와 특징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국내 환경시장은 환경보호지출 규모면에서 2001년 12.4조원에서 2007년 21.9조원으로 연평균 9.26%씩 증가하였다. 환경보호지출률은 2001년 1.9%에서 2007년은 2.2%로 GDP 성장률보다 빠르게 시장 규모가 확대되었다. 특히 기업부문은 연평균 9.80%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급격한 성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부문의 환경보호지출률은 사회경제적 요인과 규제정책적 요인에 의한 양의 관계가 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국내 환경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대기, 폐수, 폐기물 시장은 절대 규모면에서 폐수, 폐기물, 대기시장 순이지만, 성장률 측면에서는 대기시장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제6장에서는 이상의 분석과 관련하여 환경시장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정책 과제를 정리하였다. 경쟁 촉진 및 민간기업의 역할 확대, 경제적 유인제도의 실효성

      • SCOPUSKCI등재

        추간원판절제술후 발생한 동-정맥루공 수술치험 1례

        김종호,김용진,Kim, Jong-Ho,Kim, Yong-Ji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8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15 No.4

        A vascular complication caused by lumbar disc surgery is not infrequent till recently after the first report by Linton & White in 1945. In October 1980, we experienced one case of arteriovenous fistula following lumbar disc surgery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CAFGH. The A-V fistula was situated between left common iliac artery and vein, which was confirmed by angiography easily. The A-V fistula was corrected surgically by Taylor`s method successfully without complication.

      • SCOPUSKCI등재

        흉부총상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종호,김용진,서경필,Kim, Jong-Ho,Kim, Yong-Jin,Seo, Gyeong-Pil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8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15 No.4

        A clinical analysis of 82 cases who were sustained the penetrating gun-shot wound in the chest by 8 bullets was done during 4~ year-period from January 1978 to August 1982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CA FGH. Among 82 cases, 61 cases [74.4%] of them were brought to the Hospital by ambulance, 21 cases [25.6%] were by Helicopter and 76 cases [92.7%] of them were admitted within 4 hours after wounding. Thirty eight [46.3%] patients were treated by closed thoracotomy only, 19 cases [23.2%]by open thoracotomy, 18 cases [22.0%] by primary closure with debridement, and 7 cases [8.5%] by vascular surgery. Causes of open thoracotomy were due to massive intrapleural bleeding in 16 cases, rupture of diaphragm in 2 Gases, and heart injury in one case. Among 25 cases of surgical complications, wound infection was most common in 16 cases [53.5%] and recurrent pneumothorax in 3 cases [10%], empyema in 3 cases [10%], and BPF in one case [3.3%]. Hospital mortality was seen in 6 cases due to hypovolemic shock and respiratory insufficiency in 4 cases, spinal shock in 2 cases due to spinal injury.

      • SCOPUSKCI등재

        폐암환자의 전폐절제술후 발생한 농흉 치험 4예

        김종호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8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13 No.3

        Post pneumonectomy empyema either with bronchopleural fistula or without bronchopleural fistula is an infrequent postoperative complication, but very serious and critical problem. But it is of some interest that the development of a postoperative empyema following resection for carcinoma of the lung might have a favorable effect on the survival of patients in recent speculation of the literature. We have experienced 4 cases of postoperative empyema following pneumonectomy for carcinoma of the lung at department of chest surgery, Yon Sei University, medical college during 11 years from Jan. 1968 to June 1980. Histologically, 3 cases were demonstrated squamous cell carcinoma except one oat cell carcinoma. Onset of postoperative empyema occurred over a wide range of time, from as early as the 5th postoperative day to insidious onset 6 months after pneumonectomy. The most common organisms isolated from the empyema cavities were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and gram negative bacilli. All cases had a large number of organisms and more infections but not single infection. 2 out of 4 cases are treated with open pleural window drainage and irrigation with antibiotic`s solution 2 or 3 times per week by this time and postoperative general course is not eventful. One is alive to 2 years 3 months, another is alive to 8 years 11 months until now. And 2 out of 4 patients is survived over 4 years 10 months. Analysis of postoperative empyema complicating pneumonectomy for bronchogenic carcinoma revealed an increase in 4 year 10 months survival [50%].

      • SCOPUSKCI등재

        기관절개술후에 발생한 기관협착증 수술치험 1예

        김종호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8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15 No.1

        For the treatment of acute respiratory failure and emergency care of an urgent patient, tracheostomy in itself may have been a life saving procedure. But, among the variable complications following tracheostomy, the tracheal stenosis gives serious clinical manifestation which can only be corrected by surgical intervention in many occasions. At the Dept. of thoracic surgery, CAFGH, we have experienced one case of tracheal stenosis following tracheostomy for assisted ventilation. Tracheogram showed a 2.5 cm segmental narrowing 5 cm below the tracheostoma. Before recon-struction, we tried to dilate the stenotic segment for about 2 months, but the result was not satisfactory to relieve dyspnea. So, we resected the narrowed segment and tracheal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with an excellent result in postoperative periods till now.

      • KCI등재
      • Expression of Folate Receptor, Ovarian Cancer Protein in Cancer Cell Line

        김종호,박영순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00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32 No.3

        The human folate receptor (hFR) is well known as a specific protein binding folic acid and a plasma membrane protein that is anchored to the membrane via a glycosylphophatidylinositol (GPI) tail. We investigated the function and expression of hFR by transfecting hFR eDNA constructed from Nasopharyngeal epidermoid carcinoma cell line(KB cell) into HeLa2, Human cervix epitheloid carcimoma cell line, and wild HeLa2 cell line. We isolatedand characterized stable clones that expressed detectable levels of hFR protein from the HeLa2 cells transfected with hFR eDNA into wild HeLa2 cells. We discovered that the wild HeLa2 cell line does not express levels of hFR protein as high as KB cell line, but a high level of hFR is expressed in the HeLa2 cells transfected with hFR eDNA. No differences in total folic acid binding or cell surface folic acid binding activity were found between HeLa2cells transfected with hFR eDNA or KB cell line, but we found that differences of the activities of hFR protein were found between wild HeLa2 cells and HeLa2 transfected with hFR eDNA. We conclude that the function and expression of hFR in HeLa2 cells transfected with hFR eDNA is going well, but low levels of hFR protein are detectable in wild HeLa2 cells.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