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비상설화에 대한 비판

        종세(Kim, Jong-Se) 한국법학회 2020 법학연구 Vol.79 No.-

        외부인사로 구성된 윤리심사자문위원회는 국회 윤리특별위원회가 운영되기 전의 사전 심사자문기구이다. 이런 윤리심사자문위원회가 2019년 3월 7일 국회 윤리특별위원회로부터 사전자문의뢰를 회부받은 18건의 의원 징계안을 2019년 4월 5일 자문위원회를 개회하여 심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자유한국당의 추천 위원 3명과 바른미래당의 추천 위원 1명이 참석하지 않음으로써 개회 정족수 미달로 심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윤리심사자문위원회는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었던 518 광주 민주화운동에 대한 모욕적 발언과 관련한 3건의 징계안, 의원의 내부정보 악용으로 부동산 투기 관련 1건의 징계안, 직위남용으로 피감기관인 법원에 영향력을 행사한 1건의 징계안을 포함하여 18건의 징계안을 심사할 계획이었다. 앞서 지난 3월 21일 자유한국당 정당이 추천한 자문위원 사퇴하는가 하면 28일 한 차례 정족수 미달로 회의가 무산되었고, 4월 8일 심사자문 회의도 동일한 이유로 무산됨에 따라 윤리심사자문위원회가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서 의견 제출기간으로 요구한 4월 9일까지 의견서를 제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심사자문위원장은 국회 윤리특별위원장에게 추가적으로 1개월 간의 기한연장을 요구하였고, 기한연장이 있는 경우 4월 17일 자문위원회를 소집하여 개회할 계획이었다. 윤리심사자문위원회는 현행 국회법 제29조 및 제29조의2에 규정된 의원의 겸직 및 영리업무 종사와 관련된 의장의 자문과 동법 제46조 제3항의 의원의 징계에 관한 사항을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의 사전 자문에 응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구로서 현재 위원장 1명을 포함한 8명의 자문위원으로 구성되며, 국회의장과 국회 윤리특별위원회는 동 자문위원회의 의견을 존중하도록 동법에 규정되어 있다. 1991년 이래로 국회의원의 윤리심사를 담당해왔던 상설특별위원회인 윤리특별위원회는 제20대 국회 후반기 원(院)구성 과정에서 비상설 특별위원회로 전환되었다. 2019년 6월에 비상설 윤리특별위원회의 임기종료 이후 2020년 6월 현재까지 국회는 의원윤리 심사기구의 공백상태에 놓여 있다. 국회의원 윤리심사기구의 상설화는 국회의원이 의정활동에서 윤리규범을 준수하도록 하고, 국회에 대한 국민의 신뢰성 회복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논문은 국회 윤리특별위원회가 갖는 의미를 재확인하기 위하여 그 연혁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An ethics review advisory committee composed of outside figures is a pre-examination advisory body before the National Assembly’s special ethics committee is operated. The ethics review advisory committee was scheduled to open an advisory committee on April 5, 2019 to review 18 disciplinary measures for lawmakers who were asked to ask for advice from the ethics committee on March 7, but failed to open due to the lack of a quorum due to the absence of three recommended members of the Liberty Korea Party and one recommended member of the Bareunmirae Party. On the same day, the advisory committee was scheduled to review 18 disciplinary measures, including three recent socially controversial disciplinary measures against the Gwangju pro-democracy movement, one for real estate speculation using internal information, and one for influence peddling, to the court, which is an inspection agency, using its position. It has become difficult for the advisory committee to submit its opinion by April 9, which was designated by the Special Committee on Ethics by the Special Committee on Ethics, as the meeting on March 21 was canceled due to a lack of a quorum on March 28, and the meeting on April 8 for the same reason. In response, the advisory committee chairman asked the chairman of the Special Committee on Ethics to extend the one-month deadline, and was scheduled to convene an advisory committee on April 17 if there was an extension of the deadline. The Ethics Review Advisory Committee shall be comprised of eight advisory members, including one chairperson, who shall respect the opin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Ethics, as an organization established to provide advice on the matters concerning the concurrent positions of members and for-profit employees prescribed in Articles 29 and 29-2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and the disciplinary action of members under Article 46 (3)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The Special Committee on Ethics, a standing special committee that has been in charge of the ethics review of lawmakers since 1991, was transformed into a special committee on non-permanent affairs during the formation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s second half. Since the end of the term of the extraordinary ethics committee in June 2019, the National Assembly has been left vacant by the parliamentary ethics review body as of June 2020. The standing of the parliamentary ethics review body is also important to ensure that lawmakers abide by ethical standards in parliamentary activities and to restore public confidence in the National Assembly. At this point, this research paper considered the history,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o reaffirm the meaning of the Special Committee on Ethics of the National Assembly.

      • KCI등재

        생쥐 근위세뇨관에서 납에 의한 신장 독성에 대한 스쿠알렌의 효과

        종세,이유현,이준행,Kim, Jong-Se,Lee, Yu-Hyun,Lee, Jun-Heung 한국현미경학회 2004 Applied microscopy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납중독에 의한 신장 기능 손상에 대한 스쿠알렌의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ICR계 건강한 생쥐를 사용하여 납과 스쿠알렌을 복강 투여한 후, NO와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군 설정은 다음과 같다. 실험군 1은 정상군, 실험군 2는 납 (30 mg/kg)만 처치한 군, 실험군 3은 납을 처치하고 스쿠알렌 (180 mg/kg)도 함께 처치한 군으로 각 실험군 당 생쥐 10마리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 2의 경우, 미토콘드리아 신장, 사립체내막의 파괴, 소포체에서 리보소옴의 탈락이 24, 48시간동안 관찰되었고, 72시간부터 서서히 회복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군 3의 경우 실험군 2에 비해 손상 정도가 덜 하였으며, 48시간 이후부터 정상군과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NO의 경우 실험군 2에서는 NO 수치가 감소하였다. 하지만, 실험군 3의 경우 정상군보다 NO가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납에 의한 NO 수치 감소에 대해 회복 효과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보아, 스쿠알렌이 신장 근위세뇨관에 미치는 납 독성을 감소시키면서 빠른 회복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qualene against the lead toxicity and recovery of renal failure. Healthy male ICR mice were used for experiment. The activity of nitric oxide (NO) was observed after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in mice.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kidney were observed after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lead acetate in mice.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was normal mouse. Group 2 was not treatment with squalene after intraperitoneal contamination of lead acetate (30 mg/kg). And, Group 3 was injected squalene (180 mg/kg) after intraperitoneal contamination of lead acetate. All groups were used to 10 mice. The results were as follow: In the case of the group 2, swelling of the outer membrane and destruction of the inner membrane (cristae) of the mitochondria, dripping of the ribosomes from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ere happened at 24 hours and 48 hour. These were gradually reparied after 72 hours. In the case of the group 3, damages of the mitochondria and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ere showed less than the group 2 at 24 hours. Especially, after 48 hours, these were almost same as the group 1. In the case of group 2, the level of NO was decreased. However, In the case of group 3, the level of NO was increased more than normal as well as repaired the decreased NO level by Pb (P<0.05). It was concluded that the squalene was the protective and recovery effects for the toxicity of the lead in the renal proximal tubules.

      • KCI등재

        인터넷을 통한 남북통일교육에 대한 소고

        종세(Kim, Jong-se)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法學論叢 Vol.16 No.1

        2008년 현 정부 이전의 정부가 추진해 온 남북한의 화해협력정책은 교류협력의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초를 놓았고 동시에 평화위협을 제거하는 잠정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그리고 현 정부는 화해협력정책의 연장선상에서 한반도의 평화 증진과 남북의 공동번영을 통해 평화통일의 기반을 마련하는 평화번영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00년 6월과 2007년 10월 남북한 정상회담 이후 사회적 현상으로써 인터넷에 김정일을 형상화한 캐릭터가 돌아다니는 등 예전에는 상상하기 힘든일들이 대수롭지 않아지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이러한 관심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면서 하나의 문화 현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제 우리는 과거 일방적인 통일에 대한 기대와 이에 따른 통일교육도 이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는데, 아직까지도 우리 사회에서 통일문제에 대해 다양한 인식과 견해들이 표출되고있다.이러한 국민들의 의식을 하나로 통합하고자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안으로 우리는 인터넷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안인 인터넷의 활용은 대중이 직접 참여함으로써 프로그램 내용의 질적 변화와 방법적 변화의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 이다. 사이버를 활용한 통일교육은 정보화 시대에 가장 적합한 교육으로 더욱 큰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본다. 즉 인터넷을 통한 통일교육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이므로 순기능적 측면을 최대한 이용 한다면 어떠한 정보 매체보다도 가장 활용도가 높고 오늘날 이 시대에 부합하는 교육방법 중의 하나일 것이다. The policy for the South-North Conciliation and Cooperation conducted since the launch of the former president Kim’s administration laid a solid foundation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further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wo Koreas, and yielded tangible results of eliminating threats to peac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current Participatory Government is driving forward with the policy for peace and prosperity, which will establish a sound basis for the peaceful Unification by promoting peace and mutual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extended from the policy for the South-North Conciliation and Cooperation. In this regard, it is considered that a huge transition is under way for the existing Unification education of unilateral expectations for the Unification the past. Still, the Korean society is witnessing that a variety of views and opinions are emerging on the issue of Unification. It is natural, of course, that diverse opinions are shared by citizens in a free democracy. But it is surprising that there are many who question even the validity of the Unification. This paper aims to integrate people’s awareness about the Unification into unity, and carry out a new method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by making the best use of broadcasting and Internet. As part of new method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broadcasting media will serve as a catalyst to make qualitative and methodological changes for the education program by facilitating the direct participation by people. I understand that the web-based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best form for education in a new era of informatization and telecommunication. As it is a customized education devoted for users, it is my view that it will be the most appropriate educational method with the highest level of exploitation rather than any other information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