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측면형 지정맥 인식기 설계 및 구현

        김경래,최홍락,김경석,Kim, Kyeong-Rae,Choi, Hong-Rak,Kim, Kyung-Seok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3

        As the information age enters, the use of biometrics using the body is gradually increasing because it is very important to accurately recognize and authenticate each individual's identity for information protection. Among them, finger vein authentication technology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forge and demodulate, so it has high security, high precision, and easy user acceptance. However, the accuracy may be degraded depending on the algorithm for identification or the surrounding light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manufactured a side-type finger vein recognizer that is highly versatile among finger vein measuring devices, and authenticated using the deep learning model of DenseNet-201 for high accuracy and recognition rate. The performance of finger vein authentic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infrared light source used and the surrounding visible light was analyzed through simulation. The simulations used data from MMCBNU_6000 of Je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finger vein images taken directly were used, and the performan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EER.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개개인의 신원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인증하는 것은 정보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신체를 활용한 생체인식의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중 지정맥 인증 기술은 위조 및 복조하기 어려워 보안성과 정밀도가 높고 사용자 수용성이 용이하여 사회적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신원확인을 위한 알고리즘이나 주변의 빛의 환경에 따라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정맥 측정 장치 중 활용성이 좋은 측면형 지정맥 인식기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여 높은 정확도와 인식률을 위해 DenseNet-201의 딥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인증하였으며 사용하는 적외선 광원과 주변 가시광선의 영향에 따른 지정맥 인증 기술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전북대의 MMCBNU_6000과 직접 촬영한 지정맥 영상을 사용하고 EER을 이용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 KCI등재

        세계화, 사회적 자본 그리고 시민성

        김경래(Kim, Kyung-ra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7 No.-

        냉전이후 국제사회를 특징짓는 세계화는 국가들 간의 상호의존성을 심화시켰다. 이러한 상호의존성은 세계화로 야기된 문제해결에 있어 세계시민사회 세계시민 민주주의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세계화라는 현상 속에서도 국민국가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시민성의 소재지로 불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이 국제사회에서 국가들 간의 상호의존성의 심화로 야기되는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의 노력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국민국가의 일원 이 면서 동시에 세계화라는 현실에서 국가의 일원을 넘어 지구촌의 한 시민으로서 살아가고 있는 오늘날 우리들에게 시민성은 개별 민족 국가의 주권에 기반을 두면서도 민족주의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하고 또한 세계화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민주적 정치 공동체를 지향하는 새로운 시민성에 대한 모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 글은 민족국가, 국민국가에 기반을 두면서도 국제사회에서 시민들 간의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연대의 시민성을 주장한다. Globalization following the end of the Cold War has deepened interdependence among nations. This interdependence leads to increased international cooperation among states to solve problems caused by globalization. Despite the globalization, national states still exist as the locus of citizenship. However, critics of globalization deny the necessity for joint effort among nations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globalization. We, as members of the nation-state and as citizens of the global village, should seek a democratic political community at the international level.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stresses the importance of solidarity among citizens, both at the nation-state and international levels.

      • KCI등재

        루만 체계이론의 세계시민주의 담론으로서의 가능성

        김경래(Kim Kyung Ra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2 No.-

        본 논문은 루만의 체계이론이 세계시민주의 담론으로 가능한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세계화로 야기된 문제의 해결을 위해 90년대 말 이후 세계시민주의에 대한 논의들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세계시민주의에 대해 긍정적 견해를 갖는 논의들은 기본적으로 국가, 민족의 자율성을 인정하는 세계시민주의를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개인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국가, 민족만을 단위로 형성하지 않는다. 이에 본 논문은 루만의 체계이론을 통해 다양한 정체성에 기반을 둔 세계시민주의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루만의 체계이론에 의하면 각 체계는 다른 체계의 환경으로 작동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폐쇄적이면서도 개방적이다. 또한 각 체계는 체계분화로 인해 다양한 하부체계들로 구성되며 우리 인간은 다양한 체계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구를 실현하는 통일체이다. 결국 우리 인간은 다양한 체계에 참여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정체성으로 규정될 수 없는 다양한 정체성을 동시에 갖고 있는 존재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루만의 체계이론은 다양한 정체성을 인정하는 세계시민주의 담론으로서 가능한 논의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potential of the systems theory of Niklas Luhmann for cosmopolitanism. Since the late 1990s various debates have flared anew regarding the possible role of cosmopolitanism to resolve the problems caused by globalization. Positive opinion about cosmopolitanism tends to recognize the autonomy of the state and nation. Today, however, individuals do not form their identities only within nations and stat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examines cosmopolitanism based on multiple identities through the systems theory of Niklas Luhmann. According to Luhmann, each system operates in the environment of other systems. In this process each system is open and closed, and consists of various subsystems. People take part in the various systems as well as their unity to realize their various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emands. After all, we human beings have multiple identities that cannot be defined by any one specific identity, because we participate in a multiplicity of systems at the same time. One avenue to understanding this is by employing the systems theory of Niklas Luhmann to explicate a cosmopolitanism that recognizes multiple identities.

      • 베를린 공화국 부활 30년: 통일 독일의 국제적 위상 변화

        김경래 ( Kim Kyung Rae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19 접경지역통일연구 Vol.3 No.1

        1990년 통일로 독일은 인구 8,100만 명, 면적 35만 7,000km²로 유럽에서 인구 1위, 면적 3위의 국가로 변모함으로써 유럽 내 제1의 내수시장으로 탈바꿈할 수 있었다. 통일된 독일은 이에 걸맞게 변화된 국제상황에 맞게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자 하였으나 통일 후유증으로 인해 유럽의 병자로 치부되는 상황을 맞이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현재 독일은 슈뢰더 정부의 개혁 정책과 유로화의 도입 후 독일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질 좋은 상품이 더 값싼 가격으로 팔릴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지면서 유럽의 성장 엔진이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의 변화는 독일이 국제사회에서 자신들의 소프트 파워와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 하드 파워 즉 스마트 파워를 가진 국가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독일의 스마트 파워 행사에 있어 핵심은 국제사회에서 경제정책에 있어 단호함 그러나 군사력의 자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독일에 대해 한편에서는 세계 안보에 기여하는 건 거부하면서도 무기 수출은 적극적이라는 비난 그리고 유로화로 부당한 이득을 취하며, 경제적 이익만을 최우선으로 하는 독일이라는 질책을 받으면서 새로운 거인의 등장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문제제기는 역설적이게도 통일된 독일의 국제적 위상 특히 유럽에서의 위상을 보여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다. In 1990, Germany was transformed into a country with a population of 81 million and an area of 357,000 square kilometers. This meant a shift from Europe’s No. 1 population to Europe’s third-largest country with the largest domestic market in Europe. The unified Germany tried to express its voic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international situation but it was forced to face the situation that it was regarded as the sick in Europe because of the aftermath of unification. But Germany is now hailed as Europe’s growth engine, as a situation has been created in which quality goods based on Germany’s technological prowess can be sold at cheaper prices after the Schroeder government’s reform policies and the introduction of the euro. The change has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Germany to transform itself into a country with smart power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core of Germany’s smart power exercise is its firmness in economic polic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its restraint in military power. Germany has refused to contribute to global security, raising criticism that it is only active in exporting weapons and putting only economic benefits first. Ironically, however, this is a cross-section of Germany’s international standing, especially

      • KCI우수등재

        동남아 테라와다의 정체성 확립과 바왕가(bhavaṅga) 개념의 전개 (3)

        김경래(Kim Kyunge rae)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5 No.-

        본연구는 동남아 테라와다 전통이 정립한 아비담마 개념인 ‘바왕가(bhavaṅga)’의 전개사를 다루는 세 번째 논문이다. 논자는 바왕가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빠알리(Pāli) 문헌을 검토함으로써, 테라와다 전통이 정립한 고유한 아비담마 체계의 특징 및 전개사를 추적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향후 ‘초기불교’의 (전승자들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대변자로 여겨지고 있는 테라와다 전통의 성립과정과 역사성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조망해보고자 한다. 앞서 논자는 초기의 바왕가 개념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넷띠빠까라나(Nettipakaraṇa)』와 『뻬따꼬빠데사(Peṭakopadesa)』에서 발견되는 바왕가 용례들을 검토했다. 그 결과, 초기 바왕가 개념은 윤회를 활성화 시키는 ‘존재(bhava)의 요소(aṅga)’, 특히 12연기의 항목들을 지칭하는 용어였음을 확인했다. 이후 『밀린다빵하(Milindapañha)』에서 바왕가는 꿈꾸지 않는 깊은 수면상태를 지칭하는 용어로 규정된다. 그리고 이 용례들을 기점으로 바왕가는 심법의 범주에서만 다루어지게 되며, 더 나아가 심의 비활동 상태와 연속성을 변호하는 특수용어로 거듭나게 된다. 바왕가가 아비담마 전문용어로서 인식과정이론에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빳타나(Paṭṭhāna)』에 이르러서였다. 『빳타나』제1권에는 바왕가가 총 10회(8문장) 언급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바왕가는 심법으로서 ‘이숙-무기심’에 해당하고, 전향과 바왕가심에게 무간연으로 조건이 되어준다. 이상의 논의들에 이어 본 논문에서는 『빳타나』제2권의 용례들 중 심소법과 관련된 17가지 문구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바왕가가 다섯 가지 ‘禪의 요소들’ 중 네 가지 심소법들(伺, 喜, 樂, 捨)과 함께 일어날 수 있으며, 삼계와 출세간에서 모두 발생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aims to evaluate the abhidhamma terminology ‘bhavaṅga’ which is found in the abhidhamma treatise Paṭṭhāna (Vol.2). Throughout this series of articles, I shall scrutinize the history and identity of the Theravāda tradition in Southeast Asia. The first written mention of the term bhavaṅga is in the Nettipakaraṇa and Peṭakopadesa. These two texts convey the earliest usage of the term which defines it as a factor (aṅga) of existence (bhava) or the twelve link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The Milindapañha shows us the next step for the doctrinal development of the term. The term bhavaṅga in this text is described as a non-active state of mind, rather like a dreamless deep sleep. The Paṭṭhāna is the first text that describes bhavaṅga as a sophisticated abhidhamma terminology for the cognitive process. The occurrences of bhavaṅga in the Paṭṭhāna Vol.1 and 2 reveal that it is the resultant indeterminate (vipākaavyākata) as well as conditioning for the adverting (āvajjana), the death consciousness (cuti-citta), or rebirth consciousness (upapatti-citta) as the proximate condition (anantara-paccaya). Furthermore, the bhavaṅga possibly arises with four kinds of the mental factors (cetasikā) which are called the sustained application (vicāra), the zest (pīti), the pleasant (sukha) and the equanimity (upekkhā). Given that these mental factors are the constituents of meditation (jhāna), the bhavaṅga arises throughout the spheres, namely, from the sense-sphere to the supramundane.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과 시민성

        김경래(Kim Kyung ra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7 No.-

        시대적 화두인 제4차 산업혁명은 물리학, 디지털, 생물학의 기술적 융합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융합은 사회 전반에 패러다임적 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변화와 관련해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긍정적·부정적인 견해들 모두 민주주의의 강화를 역설하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 제4차 산업혁명이 권력의 집중을 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민주주의의 강화를 위한 시민성 즉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시민성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사회 전반에 패러다임적 변화를 야기하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는 그에 맞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고의 전환은 민주주의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시민성에도 유효하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자질인 시민성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자유주의적 그리고 공화주의적 관점에서 제시되어 왔다. 시민성에 대한 사고의 전환과 관련해 본 논문은 공동체 안에서 시민 개개인의 자유를 위한 권리와 의무를 명확하게 제시하기 위해 신공화주의적 관점에서 권리와 의무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자유주의적 관점에서 중요한 가치인 자유에 대한 사고의 전환과 관련해 본 논문은 자의적 권력의 부재에서 찾을 수 있다는 스키너(Skinner)의 주장에 근거해 정치적 성취를 위한 시민적 덕성으로부터 자유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또한 공화주의적 관점에서 중요시 여기는 의무와 관련해 페팃(Pettit)의 비지배의 자유 개념에서 의무를 위한 법의 준수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곧 자의적 권력의 부재와 비지배의 자유를 바탕으로 한 시민성은 권력의 집중으로 인해 야기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민주주의의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topic of the times,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of physics, digital and biology that is laying the foundation for a paradigm shift in society. Both positive and negative views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mphasize the strengthening of democracy. This is becaus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ausing a concentration of power.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citizenship for strengthening democracy, and citizenship need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paradigmatic changes to be expected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quire a shift of thinking to match them. This transformation of thinking is also valid for citizenship for the smooth functioning of democracy. With regard to the transformation of thinking about citizenship,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to discuss rights and obligations from a neo-republican perspective in order to articulate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individual citizens in the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transformation of thinking about freedom, which is an important value from a libertarian point of view, this paper has sought the meaning of freedom from civic virtue for political achievement based on Skinner s argument that it can be found in the absence of arbitrary power. We have also worked Pettit’s view of compliance with the duty of duty in the concept of freedom of non-domination in relation to the obligation of importance from a republican point of view. Such attempts are an important element of democracy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aused by the concentration of power, based on the absence of arbitrary power and the freedom of non–domina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1989-1990년 격변기 동독의 정치지형 - 정당을 중심으로

        김경래 ( Kyung-rae Kim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4 No.1

        동서독이 통일된지 30년이 지났다. 통일이후 동독의 경제적 상황은 전반적으로 개선되어 구동독지역과 서독지역의 삶의 격차는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구조적 차이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동독 지역 주민들의 정치적 불만은 높아지고 있다. 2017년을 전후로 극우포퓰리즘 정당인 독일대안당(AfD)의 등장은 이러한 상황을 대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메르켈 총리는 보다 강력한 동서독의 사회적 결속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사회적 결속이 경제적 결속보다 지지부진한 원인과 관련해 다양한 요인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의 원인을 통일 당시 동독 정당이 서독에 흡수되는 과정에서 찾고자 한다. 서독의 정당 특히 콜 수상을 중심으로 한 기민-기사당이 동독의 선거에 직접적으로 개입함으로써 동독 주민들의 통일 열기를 더욱 부추겼으며 이로 인해 동독의 정당, 자생적 정치집단들은 서독으로 흡수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동독지역의 이해를 대변할 수 있는 정치세력의 부재라는 결과로 연결될 수밖에 없었다. 비록 좌파당이 동독 지역주민들의 이해를 대변하였지만 동서독의 구조적 격차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구동독지역주민들의 정치적 불만은 극우포퓰리즘 정당에 대한 지지로 연결되었다. It has been 30 years since East and West Germany were unified. The economic situation in East Germany has improved overall since reunification, showing a sharp decline in living conditions in East Germany and West Germany. However, with structural differences continuing, political dissatisfaction among East German residents is rising. The emergence of the German Alternative Party (AfD), a far-right populist party around 2017, represents this situation. For this reason, Chancellor Merkel emphasized the need for stronger social cohesion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Various factors have been suggested as to the cause of the sluggishness of social cohesion than economic cohesion. This paper seeks to find the cause of this in the process of East German political parties being absorbed by West Germany at the time of reunification. West Germany's political parties, especially the CDU-CSU, led by Chancellor Kohl, directly intervened in the elections in East Germany, further fueling the enthusiasm of East German residents for unification. This eventually led to the absence of a political force that could represent the interests of the East German region. Although the left-wing part - Dei Linke - represented the interests of the people of East Germany, the ongoing political dissatisfaction caused by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led to support for the far-right populist party.

      • KCI등재

        스리랑카 국가종교의 분열과 아바야기리 세력

        김경래(Kim Kyung Rae) 한국불교연구원 2017 불교연구 Vol.46 No.-

        논자는 본 논문을 통해 스리랑카 테라와다 전통에 등장했던 신비의 사원 아바야기리(Abhayagiri-vihāra)의 기원과 발전을 살펴보았다. 빠알리 문헌들의 증언에 따르면, 아바야기리 사원은 왓타가마니아바야 통치기에 건립된 직후, 기득권인 마하위하라(Mahāvihāra) 세력과 경쟁관계를 형성했고, 그 결과 테라와다 최초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론은 좀 더 입체적이고 역사적인 재검토를 필요로 한다. 이에 논자는 현존하는 사료들을 비판적으로 비교·검토하여 아바야기리 사원의 연대기를 재구성해보았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텍스트는 나가르주나 꼰다 비문(Nāgārjunakoṇḍa Inscription)과 『앗타살리니(Atthasālinī)』이다. 카즌스(Lance Cousins)는 이 두 텍스트를 근거로 아바야기리 세력이 CE 5세기 이전부터 확고한 ‘부파(nikāya)’로 확립되어 있었고, 당시 기득권이었던 마하위하라 세력의 견제를 받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논자가 이들 두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나가르주나 꼰다 비문에는 단지 ‘마하위하라’라는 소속이 언급되어 있을 뿐, 그 이상의 추가적인 함의는 발견되지 않았다. 『앗타살리니』 또한 인도 본토의 다양한 ‘부파(nikāya)’들이 존재했음을 증명해줄 뿐, 아바야기리의 존재는 암시해주지 않았다. 이상의 사료검토를 바탕으로 확립한 아바야기리의 기원과 전개과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다밀라 침략 이전 ‘아바야기리’라는 명칭(지명)이 생겼다. 이 지역은 종교적 거점으로 발전했고, 이 과정에서 아바야기리 사원이 건립되었다. 이 사원을 중심으로 한 세력은 점차 기득권인 마하위하라 세력과 모종의 대립관계를 형성했다. 그러나 빠알리 주석서가 확립되던 CE 5세기까지 이들은 마하위하라를 구심점으로 하는 단일 교단을 유지하고 있었다. 즉, 아바야기리 사원은 마하위하라 세력에 포함된 다수의 사원들 중 하나에 불과했다. The article examines the two phrases from the Nāgārjunakoṇḍa Inscription and the Atthasālinī which Lance Cousins both regarded as pieces of actual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the Abhayagiri fraternity. The first text is the Nāgārjunakoṇḍa Inscription, which mentions: ‘ācariyanaṃ theriyānaṃ vibhajavādānaṃ... mahāvihāravāsinaṃ vihāre ’. Cousins rendered the phrase as ‘in the monastery...of the teachers of the Theriya school, the Vibhajjavādas...the Mahāvihāravāsins.’ Then he concluded that the inscriptional phrase implies that the members of Mahāvihāra fraternity wante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ir rival, namely, the Abhayagiri fraternity, in the third century CE. The second text is the Atthasālinī, the commentary of the Dhammasaṅgaṇi, the first abhidhamma treatise. It says: ‘nikāy’antaraladdhīhi, asammissaṃ anākulaṃ; Mahāvihāravāsīnaṃ, dīpayanto vinicchayaṃ’. Cousins considered the term ‘nikāya’ here as ‘other fraternities’, and concluded that the three fraternities were already established in the fifth century CE in Sri Lanka. These two texts only represent the existence of the Mahāvihāra in medieval Sri Lanka and the Buddhist schools(nikāya) in India. These texts, however, do not represent the existence of the Abhayagiri fraternity.

      • KCI등재

        매니페스토 운동과 민주시민교육

        김경래(Kim Kyung ra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6 No.-

        본 논문은 매니페스토 운동이 성공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무엇인가를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본 논문은 매니페스토운동이 도입되게 된 배경으로 대의제민주주의가 참여와 심의라는 본연의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즉 대의제민주주의 하에서 선거가 단지 대표만을 뽑는 절차로 전락함으로써 대의제민주주의의 출발점으로서 참여와 심의의 공간으로서 선거의 의미는 축소되었다. 이에 정당, 후보자가 집권 또는 당선 된 이후 실시할 정책에 대해 구체적으로 공표하고 문서화하는 매니페스토 운동의 도입으로 유권자들의 참여와 심의를 불러오고자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처럼 사회 구성원들 간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사회에서는 갈등과 대립이 빈번해 정책으로 인한 갈등의 골이 그 어느 때 보다 깊어 사회적 통합이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정당, 후보자가 제시하는 정책들의 시시비비를 그리 쉽게 결정 내릴 수 없다. 따라서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시민성과 비판적 판단능력의 향상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이라 할 수 있다. 즉 민주시민교육을 통한 시민성의 함양 그리고 비판적 판단능력의 향상이 전제되지 않는 매니페스토운동은 현실적으로 성공하기 어렵다. This paper deals with what is necessary for the success of electoral manifestos. First, this paper points out that within a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manifesto movement can revive the original meaning of popular participation and deliberation. Elections in Korea had been reduced simply to selecting representatives. The publication of manifestos can transform electoral politics and candidate selection processes into elections built around the competing policies of parties and candidates. But in a complex society, the various interests of people are difficult to reconcile within manifestos, while it is hard for voters to evaluate the truthfulness of the electoral pledges submitted by parties and candidates. Civil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and civic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re therefore precondition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manifesto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