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중앙분리대의 사고감소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김경석,강승림 대한교통학회 2003 대한교통학회지 Vol.21 No.2

        A median is a safety feature most commonly used to separate opposing traffic on a divided highway. In designing highways, the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a median can be a critical part from a safety viewpoint because road crossing accidents are definitely more serious than other accidents. In regard to the important function of the median, the proper countermeasure ought to have been provided and thorough study should have been carried out. In this paper, traffic accident data are analyzed to examine the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the median, which are gathered from all over 4-lane national roads in Korea. The traffic accident data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y the existence of a median. For more effective analysis, the data have been classified by accident type, severity, and occurrence time.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median installation, not only the accident frequency but also the accident severity, EPDO, and the occupancy rate of specific accidents have been used as a mode of effectiveness.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medians shows that both the accident frequency and the accident severity could decrease by providing a median. Also the section where a median was supplied showed the improvement of overall safety through fewer serious and fatal crashes as well as fewer head-on crashes. Therefore,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median installation is an important means to increase the safety of over 4-lane national road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 reasonability of the median installation by identifying the reduction of traffic accident after the median installation and to play a major role in selecting sections where the median is to be offered. 중앙선 침범 관련 사고는 다른 사고에 비해 사고빈도는 낮지만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사고감소대책이 필요하다. 중앙선 침범을 방지하는 대표적인 도로안전시설물이라 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는 도로의 안전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실제 그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하여 향후 중앙분리대의 적극적인 활용을 도모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앙분리대의 형식, 성능 등에 대한 검토에 앞서 기본적으로 중앙분리대의 설치와 교통사고와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즉, 중앙분리대의 사고감소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우리나라 4차로 이상의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중앙분리대 설치 여부에 따른 사고자료를 비교하였다.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총 사고뿐만 아니라 유형별·사고강도별·시간대별 사고를 비교하였으며, 다양한 효과척도(사고율, 사고점유율, EPDO)를 이용하여 사고빈도뿐만 아니라 사고강도까지 비교하였다. 지점별·구간별 사고분석 및 중앙분리대 신설지점에 대한 효과분석 결과, 중앙분리대의 설치는 사고빈도와 함께 사고강도를 낮춤으로써 확실한 사고감소효과를 가져왔으며, 특히 정면충돌사고, 사망사고, 야간사고에 대한 사고감소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정면충돌사고, 사망사고, 야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도로구간(특히 단일로나 접속로의 경우)에 대한 중앙분리대의 설치는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중요한 대책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중앙분리대 설치에 따른 사고감소효과를 명확히 밝힘으로써 중앙분리대 설치의 당위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향후 보다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중앙분리대 설치구간 선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동북아물류중심을 위한 수도권 물류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김경석 안양대학교 수도권발전연구소 2004 수도권연구 Vol.- No.1

          It is recently needed a necessity of a new frame about the Logistic Network in Seoul Metropolitan, because of many strategies such as designation of Incheon Free Economic Zone, acceleration of developing a Pyeongtaek-Harbor, expansion of the road construction connecting South and North Korea, the Capital relocation and policy making Seoul as economic Capital.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esent a strengthening plan of the competitive power with foreigner and an activating plan of the domestic logistic industries. Also the study provides a plan of building the efficient logistic network and relocation of logistic center facility in Seoul Metropolitan which can be possible doing the role as logistic central place in Northeastern Asia.<BR>  The study divided Seoul Metropolitan into 9 axles to reassign the logistic center facilities to figure out insufficiency of facilities for each axl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Kyongbu and Hanam axles are appeared in serious lacks of facilities for the freight terminal and collection-delivery complex. In case of container handling facility, Gwangmyeong axle has the most serious lack. This results show that movement volumes of containers have been changing after opening the West Coast Expressway.<BR>  The study presents three phased propulsion subjects containing the logistic facility expansion plan which considered insufficient facility and the circumstance changes of the hereafter Seoul Metropolitan. The first phase is the speedy expansions about existing insufficient facility, and the second is the expansion of the facility which can adapt to sudden changes. The third is the step-by-step expansion plan of existing insufficient facility.<BR>  With the other subjects, the study mentions the logistic cluster as linkage of the base creation for company activity environment, the strong-point facilities, the railroad and marine transport networks, and expansions of road networks.

      • KCI등재

        국어 3인칭 대명사 '그' : 프랑스어·영어와 비교연구

        김경석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4 No.-

        Dans cet article, nous avons essayé de trouver l'adéquation descriptive sur la distribution du pronom ‘kɨ’ en coréen, en le comparant avec l'équivalent en français et en anglais. Cet élément, qui dérivait du démonstratif, était fabriqué pour traduire le pronom de 3e personne 'he' en anglais sous l'influence de la grammaire occidentale. Mais son emplois ne parvient pas encore à un niveau stable, parce que, tout en étant considéré comme un représentant en 3e personne, il est nettement distingué des pronoms de 3e personne en français et en anglais en ce qui concerne la distribution et l'interprétation structurale : il n'est presque pas utilisé dans la lagnue parlée ; il a diverses contraintes en distribution dans la langue écrite ; il n'a pas de substantif qu'on peut interpréter comme un antécédent potentiel dans une même proposition ; il peut être qualifié par l'adjectif et se comporter comme le nom dans la réalisation du Cas ; finalement, il n'a pas de flexion morphologique. Ces phénomènes n'éprouvent de la difficulté à expliquer que dans la théorie syntaxique. Le coréen doit comprendre diverses formes honorifiques et de modestie. On emploie aussi des substituts tels que le pronom réfléchi, le substantif même et le pronom nul : celui-ci n'est pas autorisé par l'accord des traits grammaticaux entre sujet et verbe mais par le contexte et/ou la situation entre interlocuteurs. En plus, il s'agit de l'absence du système des articles en coréen : un substantif conduit à avoir des caractéristiques définies et/ou spécifiques selon l'intention du locuteur ou le contexte sans aucun déterminant. En conséquence, le pronom 'kɨ' en coréen, qui se distingue complètement de ses équivalents du français et de l'anglais, est un élément grammatical dont il est difficile à expliquer les comportements au moyen de la théorie du liage, surtout en ce qui concerne la relation de coréférence avec son antécédent potentiel. Dernièrement, il nous reste une mission future à rechercher une explication synthétique qui y applique des cirtères rigoureux de la morphologie, de la syntaxe et de la pragmatique après avoir établi une relation du pronom de 3e personne avec ceux des 1ère et 2e personne en coréen. 서양문법에서 ‘대명사’는 대체로 ‘명사를 대신하는 품사(pro + nom)’로 정의되어 왔다. 명사와 동사를 구분하는 다양한 준거 중 기능적 측면에 따라 구분된 것이다. 그런데 국어의 대명사는 프랑스어나 영어의 등가물과는 상당히 구분되는 특징들을 갖는다. 첫째, 국어의 인칭대명사는 프랑스어나 영어와는 달리 특정한 인칭에 대한 대표적 형태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나, 우리, 너, 그(들), 그녀(들)’ 등은 다른 품사에서 유래한 ‘소자, 소녀, 소인, 짐, 본인, 자네, 그대, 당신, 임자, 자기, 이쪽에서, 여기서, 그쪽에서, 거기서, 그 곳, 댁’이나, 지시사 ‘이, 그, 저’와 결합한 ‘이/그/저 + 어른/분/양반/애/사람/ 남자/여자/것/치/자/놈’ 등이 다양한 경우에 서로 경합하거나 상보적 분포를 보인다. 둘째, 프랑스어나 영어의 인칭대명사는 격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지나, 국어의 대명사는 형태적으로 명사와 동일한 곡용을 하는, 다시 말해서 격조사에 따라 주어나 목적어와 같은 기능이 결정되며, 글말에서는 목적어 대명사가, 입말에서는 주어와 목적어 대명사가 모두 자주 생략되거나 음성적으로 실현되지 않는다. 셋째, 프랑스어나 영어의 인칭대명사는 입말과 글말에서 분포상의 차이가 없으나, 국어에서는, 대우법에 따른 제약 등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입말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형태들이 존재한다. ‘그대’는 문어체적 2인칭 대명사로, 편지 글이나 시 등에서 멋스러운 어감을 가지는 대명사로 사용된다. 3인칭 대명사인 ‘그’와 ‘그녀’ 역시 일상 언어에서는 잘 쓰이지 않고 소설이나 문어체 글에만 쓰이고, 구어체에는 3인칭 사람을 지칭하는 대표적 인칭 대명사가 없으며 지시사 통합형이 대명사의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 넷째, 국어 화자는 대명사의 빈번한 사용에 상당한 거북함 혹은 어색함을 느낀다. 국어의 인칭 대명사는 주의를 환기시킬 경우나 애매한 경우가 아니면, 흔히 외형적으로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프랑스어와 영어는 절마다 주어를 가져야 하지만 국어에서는, 극단적인 경우 한 문단 안에 주어가 하나 있으면 충분할 때가 많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어에서는 형용사가 대명사를 수식하여 ‘아름다운 그녀’와 같은 표현이 가능하지만, 프랑스어와 영어에서 형용사가 대명사를 직접 한정하는 ‘*jolie elle / lui’ 이나 ‘*pretty he / him’ 등은 불가능하다. 통사론 분야에서, 특히 생성문법에서, ‘그’를 서양어의 3인칭 대명사와 유사한 결속이론(Théorie du liage)의 대상으로 간주하고 선행사와 공지시 관계를 통한 구조적 해석의 문제를 다루었으나, 통사론적 방법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다양한 제약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로는, 무엇보다도 각 대명사가 독특하게 지니는 대우적 특질과 대명사의 지시성 외에 화용적 특성이나 문체상의 제한 등을 들 수 있고, 대명사에 국한되는 문제는 아니나 주어 혹은 목적어의 빈번한 생략 및 서양어의 일반적 특징인 관사의 부재 등이 예상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각 상황에 따라 대명사의 출현이 제한되고 어떤 대명사는 그 위치에 부적합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랑스어와 영어의 3인칭 대명사의 국어로의 번역을 중심으로 국어의 3인칭 대명사 ‘그’의 분포와 활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입말에서는 물론이고 글말에서도 사용되기 어려운 제약을 제시한 후, 국어가 지니고 있는 종합적인 특징 ...

      • KCI등재

        내부고발자 보호를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소고 ― 기업의 내부고발자 보호를 중심으로 ―

        김경석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서울법학 Vol.26 No.3

        We often see cases that whistleblowers are not protected. Those who become whistleblowers can choose to bring information or allegations to surface either internally or externally. Internally, a whistleblower can bring his/her accusations to the attention of other people within the accused organization such as an immediate supervisor. Externally, a whistleblower can bring allegations to light by contacting a third party outside of an accused organization such as the media, government, law enforcement, or those who are concerned. Whistleblowers, however, take the risk of facing stiff reprisal and retaliation from those who are accused or alleged of wrongdoing. Because of this, a number of laws exist to protect whistleblowers. South Korea has a law that protects whistleblowers, but the law does not play a proper role. Therefore, a new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protect whistleblowers. New guidelines should include: First, it should include that the CEO must be directly and explicitly responsible for the system in order to protect the whistleblower. Second, when conducting an investigation of internal charges, care should be taken to ensure that internal members recognize it as periodic audits or unspecified investigations. Third,it is necessary that Regular and ongoing evaluations and inspections of internal complaints deployed within a firm.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conduct objective evaluations and checks through neutral and fair third parties on a regular basis for the improvement of internal complaints system, operation conditions, performance, education or training effects, and guidelines. Finally,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department seperate from Ceo for Whistleblower. 조직의 문제점을 가장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것은 해당 조직 내에 속한 구성원이며 따라서 조직의 문제점을 가장 신속하고 정확하게 시정할 수 있는 것도 해당 조직 내에 속한 구성원이라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부정행위를 방지 내지 저지하기 위한 내부고발이 가능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내부고발자에 대한 보호임에도 현행 내부고발제도는 내부고발자를 보호하기에 부족한 것으로455 평가받고 있다. 특히 내부고발자를 보호하기 위한 규정을 마련하는 측면에서 보면 명확하지 않은 규정들로 인해 내부고발자를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규정을 마련하기 보다는 오히려 내부고발이 어려워지도록 하는 규정을 마련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사기업의 경우에는 내부고발에 대해 최종적인 책임 내지 임무를 부여받아야 하는 경영자(최고위층)이 내부고발제도에 대해 어떠한 책임 내지 임무를 부담하는 가에 대한 규정 및 기업 내에 어떠한 구체적인 규정을 정비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구체적인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면 내부고발자의 보호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따라서 내부고발자 보호를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관련 규정에 포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먼저, 경영자가 내부고발자 보호를 위한 제도에 대해서 직접적이고 명확한 책임을 부담한다는 것을 기업의 내부규정에 반드시 포함하도록 해야 한다. 두 번째로 내부고발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는 경우 내부구성원들이 정기적인 감사나 불특정하게 이루어지는 조사로 인식할 수 있도록 조사방법에 있어서 주의를 기해야 한다. 세 번째로 기업 내에 구축된 내부고발제도에 대한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평가와 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내부고발제도의 정비와 운용 상황과 실적, 교육이나 연수 효과, 가이드라인에 따르고 있지 않은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그 이유 등에 대해 중립적이고 공정한 제3자를 통한 객관적인 평가와 점검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해당 평가와 점검에 따라 경영자의 책임 하에 내부고발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외이사나 감사 등을 대상으로 하는 경영자로부터 독립된 별도의 고발처를 정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Determination of Poisson’s Ratio of a Beam by Time-Average ESPI and Euler-Bernoulli Equation

        김경석,장호섭,Naseem Akhter 한국정밀공학회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Vol. No.

        In this research, a laser holographic technique is used to characterize the Poisson’s ratio of a cantilever beam. We used the principle that one can determine the Poisson’s of a material by means of its vibration characteristics which use the Euler-Bernoulli Equation to link with the specimen’s natural frequency of vibration. The Poisson’s ratio of the beam can be easily determined after the resonance frequencies of the bending and torsional vibration modes are measured by time-averaged electronic speckle pattern interferometry (TA-ESPI) with the advantages of non- destructive, non-contact and real-time measurement technique. The proposed technique is able to give high accurate Poisson’s ratio of thin materials through a simple experimental set-up and analys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