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정서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교과 및 교과외 활동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비교연구: 잠재적 디리클레 할당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대석 ( Kim Dae Seok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국어교사들이 인식하는 사회정서학습(SEL)의 중요성,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을 함양하기 위하여 실천하고 있는 교과 및 교과외 교육활동의 실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양국의 초중고 국어교사들을 대상으로 사회정서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교과내·외 활동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조사하였다. 잠재적 디리클레 할당모형(LDA) 분석결과 공통점과 차이점이 모두 발견되었다. 양국 모두 사회정서학습이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균형 잡힌 사회구성원을 기르는데 효과적이므로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한국은 대인관계 관점에서 더불어 잘 살기위하여 사회정서학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미국 교사들은 자신의 감정을 인식·조절하고 타인의 감정을 인식·공감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사회정서학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특히, 사회정서학습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좋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필요하다는 것은 한국 교사들에게서 볼 수 없는 특징이다. 교과내 활동은 양국 공히 텍스트 기반 활동을 많이 하였다. 한국은 텍스트 등장인물의 감정을 이해하고 등장인물의 입장이 되어 생각하는 공감활동과 자신의 경험을 동료와 공유하는 활동이 많았다. 미국은 교과내·외 활동 모두 한국보다 다양하였다. 양국 모두 교과외 활동은 교과활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하였다. 한국은 상대에 공감하고 대인관계를 개선하고 책임있는 의사결정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학급회의 활동이 많았으나, 이것은 미국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미국의 경우 요가, 명상, 마음챙김 활동을 많이 수행하였으나 한국에서 이러한 활동은 수행하는 경우는 전혀 없었다. 연구결과에 기반한 결론은 양국 교사들 모두 사회정서학습이 사회정서역량 함양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매우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관련된 교과내·외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인식과 교육활동의 실제에는 양국의 차이가 있으므로 향후 한국의 특성에 맞는 사회정서학습 수업모형,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cross-cultural study is to understand how language arts and literacy teachers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erceive the importance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and in what ways these teachers support the development of students’ social and emotional skills, using academic and non-academic practices in a classroom.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was used to analyze participants' open-ended survey responses. Findings show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eacher perceptions and practices. Although detailed examples of the SEL practices vary, teachers in both countries agree on the importance of SEL and appraise the benefits and positive impacts of SEL for students to become emotionally balanced, responsible, and contributing members of society. Teachers also valued the benefits of text-based activities to promot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pecific examples of non-academic practices are unique to each country.

      • 입원중인 암환자에 대한 통증관리의 적절성평가 - 한 3차 의료기관 내과 전공의를 대상으로 -

        국회,장원일,조요한,최인실,박숙련,이상윤,지현,도연,이세훈,태유,방영주,노경,대석,Kim, Kuk-Hyoe,Jang, Won-Il,Joh, Yo-Han,Choi, In-Sil,Park, Sook-Ryun,Lee, Sang-Yoon,Kim, Jee-Hyun,Kim, Do-Yeun,Lee, Se-Hoon,Kim, Tae-You,Bang, Yung-J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1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4 No.2

        목적 : 암환자에서 가장 흔히 겪게 되고, 심각한 증세는 통증이다. 진행성 암인 경우 $60{\sim}90%$의 환자들이 통증으로 고상하게 되며, WHO통계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4백만 정도의 암환자들이 통증으로 고생하고 있다. 통증관리원칙에 따르면 환자 $70{\sim}90%$이상에서 적절한 통증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중 $60{\sim}70%$의 암환자들이 적절한 통증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1) 암환자의 통증 빈도 2) 환자와 담당전공의에서 통증인지의 일치 여부 3) 암환자의 통증치료에서 진통제 투약의 적절성 등을 조사함으로써, 암환자 통증에 대한 이해와 통증관리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서울대학교병원 내과병동에 입원한 암환자들의 통증 빈도, 담당전공의와 환자의 통증인지 일치도, 통증 관리의 적절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서 환자와 담당전공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진료기록을 평가하였다. 결과 : 7일 이상 내과병동에 입원해 있는 암환자 59명중 43명(62.8%)이 통증을 호소하였다. 전공의들은 담당 암환자들의 통증을 실제보다 과소평가하고 있었으며, 진통제 투약 원칙이 지켜지지 않은 경우도 상당수 있었고, 환자의 통증이 심해질수록 통증에 대한 치료가 더 불충분한 경향이 있었다. 결론 : 암환자에 있어서 통증은 아직까지 낮게 평가되고 있으며 통증 치료는 여전히 불충분하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통증의 평가 및 치료에 대한 더 많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Pain is the most serious symptom that cancer patients experience. About $60{\sim}90%$ of advanced cancer patients and four million patients worldwide, according to the WHO statistics, are reported to suffer from cancer pain. Although about $70{\sim}80%$ of the pain could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ain control principles, to our regret, only $30{\sim}40%$ are managed appropriately. This research was aimed to (1) investigates the prevalence of pain among cancer patients, (2) compare patients' perception of pain with physician's recognition and (3) evaluate appropriateness of the doctor's prescription of analgesic. Materials and Methods : Patients with advanced or terminal cancers admitted at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at least 7 days were enrolled. A questionnaire for the patients and the physicians in charge were given and the answers were compared for each other. We also examined their medical records and the physician's orders. Results : Total 59 patients were enrolled. Among them, 43 pati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nd 27 patients (62.8%) suffered hem cancer pain. The survey also showed that physicians underestimated the severity of pain, overlooked frequently analgesic prescription principle, and that as the patients' pain became severe, the less adequate was pain managements. Conclusion : For cancer patients, pain was frequently overlooked, and treatment still inadequate. Based on this evidence, it seemed that more active practice and education about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ancer pain are needed.

      • KCI등재

        초등학교 1, 2학년에서 예술·체육 활동의 확대에 관한 연구

        대석,조호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1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patterns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PLC, it was found that first, the process of mutual agreement between members to understand the purpose and intent of PLC is required for teachers to become true participants in the social studies PLC, and the true participation happens through ‘sharing value’ of PLC activities. Second, teachers experienced ‘learning’ focused on social studies in social studies PLC. Third,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social studies PLC appeared to find their ‘identities’ as elementary social studies teachers. Based on the personal meanings of teachers' participation experience,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the teachers' community activities of PLC were investigated through situated learning theory and autopoiesis theo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re required to cultivate social studies expertise through ‘participation’ and ‘execution’ in social studies-related PLC. Topics established in PLC are directly related to social studies class or social studies-related activities, and since their exploration is based on the practice, teachers participating in PLC need to plan and execute activities, taking practical situations in which the results are applied into account. Second, social studies-related PLC helps to expand the knowledge and thinking through ‘dialogue’ and ‘contact’. As each individual performs autopoiesis in a changing environment through ‘full engagement’ and ‘dialogue’ and continues this autopoiesis through structural coupling with environment that includes different individuals, each other's knowledge, experience and perspective is shared through the conversation focused on the social studies in PLC, and intellectual and spiritual production activities occur in this process.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 2학년에서 예술 및 체육 활동을 확대하는 것과 관련하여 필요성, 확대방안, 확대할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을 외국의 예술·체육 활동 사례와 학부모 및 교사 의견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교사와 학부모들은 예술·체육 활동의 확대될 경우 학교생활이 즐거워지고, 학생의 인성과 사회성 및 협동심이 함양될 것으로 보았다. 초등학교 1, 2학년의 수업시수를 증대할 경우 확대될 필요가 있는 교육과정은 교과보다 음악, 미술, 체육 등의 활동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학부모간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양자 모두 국어, 수학,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보다 음악, 미술, 체육, 놀이, 기타의 예술·체육 활동이 더 확대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것은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예술·체육 활동이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업시수를 증대하는 방법으로 예술·체육 활동을 확대하는 것에 대하여 학부모들은 찬성하였으나 교사들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예술·체육 활동 확대의 필요성에 원론적으로 찬성하지만, 현실적으로 업무 부담을 우려하여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업시수 증대는 장기적 차원에서 고려하되 현실적으로는 방과후 활동의 일환으로 예술·체육 활동을 확대하는 방안이 더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예술·체육 활동을 확대 운영할 때 예상되는 가장 큰 문제점은 시설이나 공간이 미비하거나 프로그램이 빈약하다는 것이다. 특별교실이나 체육관, 운동장 등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예술·체육 활동을 할 적절한 장소를 확보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따라서 학교의 현실적 여건을 반영하여 예술·체육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알맞은 시설과 공간 및 관련 프로그램이 제안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인지·정서통합계발 수업의 설계원리 및 방법 탐구: 교과기반 인지·정서통합수업모형을 중심으로

        대석 ( Dae-seok Kim ),성정민 ( Jeong-min Se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교육의 실천적 방법의 하나로 교과기반 인지·정서통합계발 수업의 설계원리와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인지·정서통합수업의 구체적 설계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정서 발달수준을 고려하여 목표정서를 선정한다. 둘째, 정서구조의 위계성을 고려하여 1차 정서를 먼저 다룬 후, 복잡한 2차 정서를 다룬다. 셋째, 정서구조의 강약을 고려하여 강한 정서를 먼저 다룬 후 약한 정서를 다룬다. 넷째, 정서와 신경계통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신체 감각을 기제로 정서를 유발한다. 다섯째, 정서의 근접성과 구체성 원리에 근거하여 나와 거리가 먼 것보다 가까운 것을, 추상적이고 모호한 것보다 구체적인 것을 소재로 활용하여 정서를 유발한다. 여섯째, 정서효과의 단기 지속성을 고려하여 짧고 반복적으로 정서통합수업을 실시한다. 학습목표 선정 및 진술에서 목표정서는 단원내용과 관련되고 중요하며 교육적으로 가치있는 정서를 추출하여 분명하고 구체적으로 진술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추상적, 일반적, 문어체적 진술보다 구체적인 정서를 구어체로 진술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몰입과 정서를 유발하는 분위기 조성, 활동선정, 매체활용, 리얼한 수업운영 등의 방법들도 적용되어야 한다. 인지·정서통합수업 설계 원리 및 방법을 적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행동변화, 인성교육, 심리적 안정감 형성, 수업몰입, 학습내용 각인, 학업성취도 향상 등에 효과적이나, 일관되지 못하게 나타나는 학습결과, 수업준비의 어려움, 제한적인 적용가능성 등의 한계를 가진다. For a long time, school educators have taken an interest in developing students’ cognitive abilities. However, cognition and emotion both affect students' thinking and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nd methods of cognition and emotion development integrative model.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arget emotion needs to be selected, taking into account the learners' level of the emotional development. It is more effective learning complex and high-level emotions after learning simple and low-level emotions. Weak emotions are needed to be learned after learning strong emotions. It is effective to evoke emotion by using a student's physical sensation. It is effective to evoke emotion by using concrete topics which are familiar to learners. Emotion lesson is more effective when lesson is short and frequent(once a week). After choosing a target emotion with considering its educational value, the target emotion should be stated clearly and concre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