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목은 이색의 차시(茶詩)속에 나타난 평정심(平靜心)

        영란 ( Choung Youngran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8 한국예다학 Vol.7 No.-

        본 논문은 목은 이색(牧隱 李穡)의 『목은집(牧隱集)』에 수록되어 있는 「목은시고(牧隱詩藁)」를 바탕으로 그의 차시(茶詩) 속에 나타난 평정심(平靜心)의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는 것에 의의를 둔다. 또한 이색의 평정심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평정심을 통해 얻은 덕은 무엇인지 그의 시에 근거을 두고 논의 하는 데에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논자는 평정심 논의를 위해 「목은시고」의 ‘시(詩)’중에서 차시와 그리고 차시의 내용과 관련된 시를 중심으로 평정심을 논의할 것이다. 우선 머리말에서 그의 학문세계와 평정심 논의에 대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본론에서는 평정심의 의의에 대해 알아본 다음, 두 번째로 평정심을 이루는 첫 번째 단계인 ‘사무사(思無邪)’를 살펴본다. 여기에서는 그가 ‘차 생활에서 느끼는 즐거움’을 마음안정의 도구로 삼아 수신제가를 통해 ‘고요한 마음의경지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뜻한다. 평정심을 이루는 두 번째 단계는 고요한 마음(靜心)이다. 여기에서는 이색이 ‘차 생활에서 느끼는 흥취’와 고요함에 관한 것이다. 유·불·도에서 말하는 고요함에 관한 그의 생각과 의미를 모색해보고 고요한 마음일 때 평정심을 이룰 수 있음을 논의한다. 다음으로 이색이 평정심 안에서 이룬 다덕(茶德)을 살펴본다. 첫번째로 ‘검소함(儉)’의 즐거움을 살펴본다. 두 번째로 다인군자(茶人君子)의 도리로써 그의 자기다움인 ‘바름(正)’을 논의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ranquility from Mogeun Lee Sack’s Mogeunsigo included in his Mogangjib, examines how Lee’s tranquility was accomplished, and discusses the virtue from tranquility based on his poems. To discuss tranquility, the author tea poems from the poems of Mogeunsigo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contents of the poems. The study examines Lee’s academic world and implication on tranquility and the significance of Lee's tranquility and ‘Samusa’ as the first step of Lee's tranquility. Samusa refers to the process of approaching the level of calmness through moral training and home management with ‘joy from drinking tea’ as a tool of stabilization. The second step of accomplishing tranquility is the calm mind based on the serenity and ‘pleasure from tea life’. The study examines his thoughts and the meaning of serenity taught by Confucius, Buddhism and Taoism, discusses how the state of calmness could accomplish tranquility, examines the tea moral accomplished by Lee within tranquility, examines the joy of thrifty, and discusses the righteousness based on the duty of tea drinking as a noble ma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원격대학에서의 튜터의 컴퓨터 리터러시와 튜터 역량의 상관관계 연구

        영란(Joung Young Ran),최효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7 평생학습사회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elationship the tutor’s computer literacy and the competency of the tutor. The tutoring is one of the core learner supports system in the open and cyber universities. The computer literacy of tutor is a important factor to decide the quality of online tutoring. In this study, the elements of the computer literacy are computer skills, internet skills, and information skills. The competency of tutor is a core factor that affect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distance learning. The competency of tutor consists of cognitive, affective, and systemic competency in this study. The co-relationship of computer literacy and competency of 138 tutors with tutoring experience in KNOU during 2005~2006 was analysed for this study.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e positive co-relationship of computer literacy and competency of tutor. More skilled tutor in the computer literacy had also higher competency level as a tutor. Especially, the information skills, one of the computer literacy was the core variable to effect the tutor’s competency.

      • KCI등재후보

        고감도 방사면역측정법에 의한 TSH 측정의 임상적 의의

        영란(Young Ran Jeong),김미나(Mi Na Kim),김성운(Sung Woon Kim),양인명(In Myung Yang),김진우(Jin Woo Kim),김영설(Young Seol Kim),최영길(Young Kil Choi) 대한내과학회 1988 대한내과학회지 Vol.35 No.1

        N/A A clinical study was undertaken for the evaluation of the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the determination of TSH by classical RIA and highly sensitive RIA (Immunoradiometric assay; IRMA)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 of IRMA to determine TSH can detect patients without remission earlier than classical RIA. We measured the T3, T4, TSH by RIA, TBII by radioreceptor assay and TSH by IR~MA of 21 control subjects and 27 hyperthyroid patients. Another 5 hyperthyroid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an antithyroid regimen over 6 months were also analysed by the above parameters after discontinuation of the antithyroid drug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SH concentration measured by IRMA (1.1±0.6μu/m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measured by RIA ~(2.2±0.6μu/ml) and it had a good correlation withthat of RIA (r=0.72, p<0.005). 2) IRMA revealed a good delineation between hyperthyroid patients (0.1±0.09μu/ml) and euthyroid individuals (1.1±0.6μu/ml, p<0.005) 3) IRMA could reveal earlier than RIA that a patient had not been in remission.

      • KCI등재

        『복음의 기쁨』과『어느 시골 신부의 일기』

        영란(Chung, Young R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神學展望 Vol.- No.197

        프란치스코 교황의 권고『복음의 기쁨』에는 베르나노스의『어느 시골 신부의 일기』가 인용되어 있다. 288항으로 이루어진 권고문의 83항에서 교황은 베르나노스의 위 작품 중, 악마의 교묘하기 이를 데 없는 영약(靈藥)일, 망덕 상실에 앞서 오는 슬픔의 감미로운 확산에 대한 대목을 제시하고 있다. 교황이 인용한 217개에 이르는 다양한 문헌들 중 문학가의 소설 작품은 이 저작이 유일하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 인용 방식이 구체적이라는 점에서 출발하여 양자를 비교 검토한 결과 우리는 그들의 긴밀한 상호 조응성에 주목하게 되었다.『복음의 기쁨』이 전 세계 독자들에게 엄청난 설득력을 가지며 그 파급력을 넓히고 있는 이유 중 하나가 교황이 다양하게 구사하고 있는 생생한 이미지들의 효과인데 이는 작가 베르나노스의 가장 큰 문학적 특질이기도 하다. 작품 안에서 ‘여러 무리를 이루는 이미지들’을 풀어놓기를 원하는 작가와 놀랍도록 궤를 같이하며, 문학 교수직을 수행하기도 한 교황은 실제로 많은 이미지들을 통하여 그 설득력을 극대화하고 있는 권고문에서 강론자들을 향하여 생생한 이미지 구사를 통한 효율적 복음 전달을 역설하고 있기도 하다. 이에 필자는 두 저작의 이미지 운용 현황을 근접 검토하기 위하여 우선 베르나노스 작품 내에 등장한 주요 문학 이미지들, 특히 악을 표상하기 위한 이미지들을 제시하고 그 신학적 의의를 소묘해 보았다. 이어서 교황의 권고문에 등장하는 언표 이미지들의 운용 양상과 그 의미 구조를 검토해 보았다. 그럼으로써 두 저자가 구사하는 언어적 특징은 만연과 간결로 큰 차이를 보이지만 양자 모두 빈번하게 구사하는, 작지만 구체적인 이미지들은 육화의 신비라는 교회의 근본 믿음 내용에서부터 비롯하는 형태적 결실들이기에, 비가시적 초월의 세계를 강력한 공감과 설득의 힘으로 감지케 하는 존재들임을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아세안 사이버 대학 교수자들의 이러닝 수업의 성공 요인에 대한 인식 연구

        영란 ( Youngran Joung ),한승연 ( Seungyeon Han ),박종선 ( Jongsun Park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아세안사이버대학 설립 및 회원교의 교류사업의 일환으로 아세안 고등교육에서 우수 이러닝의 확산 및 질 개선을 위하여, 한국과 아세안사이버대학 회원교 교수진들이 인식하는 이러닝 수업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닝 수업 경험을 가진 아세안 10개국 중 6개국의 9명의 교수진과 한국의 5명 교수진의 총 14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고, IPA분석 및 Borich 요구도 분석을 통해 이러닝 수업의 성공 요인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공적인 이러닝을 위해서는 이러닝 코스 개발 및 운영을 지원하는 대학차원에서의 효율적인 행정 체제 구축, 과목특성과 학습목표의 유형에 적합한 콘텐츠의 구성,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콘텐츠의 흥미로운 구성, 학습목표와 연계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 학습 시 기술적 문제해결을 위한 기술지원 서비스의 제공 등의 5가지 요인이 최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성공적인 아세안사이버대학의 이러닝 수업을 위해 중점적으로 고려할 요인들을 우선순위에 두고 적극적인 질 관리 방안을 마련한다면, 한국과 아세안 국가 모두에서 공동적 공유할 수 있는 이러닝 질 관리 체제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one of the project of ASEAN Cyber University establishment and exchanges, and aimed to analyse the awareness of success factors in e-learning course of faculties of ACU members for diffusion of best practice e-learning and quality improvement of higher education in Asia. 9 faculties of 6 countries and 5 faculties of korea who had experiences on e-learning, participated in twice delphi survey. The priority analysis of success factors in e-learning course was conducted by IPA and Borich needs model analysis. As a result, 5 factors of the highest priorities are analyzed as followings. Establishment of efficient administrative system of university to support e-learning cours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ppropriate contents to consider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learning objectives, interesting contents to arouse learning motivations, application of learner centered teaching & learning methods related to learning objectives, supports to resolve the technical problems for the success of e-learning. If the quality assurance strategies are prepared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results as a core considering factors for ACU e-learning courses with higher priorities, e-learning quality assurance system could be used commonly sharable by ACU and Korea.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학습자 중심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영란 ( Young Lan Chung ),이정민 ( Jung Min Lee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2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 수업이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성취 수준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생 208명으로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통제집단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실험집단1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반씩, 실험집단2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단원은「자극과 반응」단원으로 15차시 수업처치를 하였다. 학업성취도는 검사지를 개발하여 측정하였고, 과학에 대한 태도는 이경훈이 개발한 검사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SPSS 12.0을 이용한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학업 성취도 검사 결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1).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어느 정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습자 중심 수업을 통한 학업성취도의 향상은 성별과 학업 성취 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p>.05).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결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1). 수업의 반 정도만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실시해도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학습자 중심의 수업은 학업 성취 수준이 상위인 학생보다 중위와 하위인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태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p<.0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student-centered instruction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on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Participants included 208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e- and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The control group was designed to have traditional instructions while experimental group 1 was applied both student-centered instructions and traditional instructions, and experimental group 2 was applied student-centered instructions only. The chaper of 「Stimulus and Response」was selected for this study, and students were treated for 15 hours. Data were analysed using ANOVA.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centered instru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p<.01). The improvement of achievement through student-centered lesson is neither depending on genders nor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Student-centered instruction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p<.01). Only half of the class if a student-centered lessons and improve attitudes toward science could be. The improvement of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through student-centered instruction is not depending on genders. But, student-center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on the average student and the lower level students than the upper level students.

      • KCI등재

        치위생과 강의식 수업에서 효과적인 교수행동

        영란 ( Young Ran Jung ),황선희 ( Sun Hee Hwang ),안세연 ( Se Youn Ahn ),심수현 ( Soo Hyun Sim ),한화진 ( Hwa Jin Han ),최혜숙 ( Hye Sook Choi ) 한국치위생학회 2012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2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teaching behavior would have a good effect on learners in lecture-style instruction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50 students who were in the three-year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t four colleges in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ANOVA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Results : The students put the highest value on knowledge among the factors of teaching behavior irrespective of their academic year, academic standing and learning style, followed by skills and attitude. Out of every subfactor, they set the highest value on a sense of humor regardless of their academic year, academic standing and learning style, and put the lowest value on the attitude factor such as enthusiasm.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s in evaluation of the factors of teaching behavior according to academic year, and the students whose academic year was higher set a higher value on the factors of teaching behavior.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standing and learning style. Conclusions : The dental hygiene students viewed the knowledge factor as the effective factor of teaching behavior, and regarded a sense of humor as the best subfactor. Although the attitude factor like enthusiasm is important, it seemed that the students hoped for the kind of instruction that would be delightful, intriguing and clearly convey what to learn.(J Korean Soc Dent Hygiene 2012;12(1):189-20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