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aster RCNN과 픽셀 분류 신경망을 이용한 다상유동에서의 기포 검출에 대한 연구

        정지홍,김산,손동기,고한서 대한기계학회 2021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5 No.6

        Characterization of bubbles in gas-liquid multiphase flow is important to design and optimize industrial systems. To this end, multiple visual techniques, including image processing, have been developed to measure bubble size distributions. However, traditional image processing methods significantly influence experimental settings. Thus, an improved bubbled detection method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is proposed herein. This method involves using a faster region-based CNN (Faster RCNN) to detect the bubble location and a pixel classification network to segment bubble shapes.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three types of bubble generators with various background intensities and volume flow rates. Furthermore, the backbone CNN architectures used in the Faster RCNN and the pixel classification network were compared. The model network is highly versatile, is capable of characterizing bubble information in real-time, and has the potential to replace the traditional image processing method. 다상유동에서 기포 크기 분포를 알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기존 이미지 처리 기법들은 실험 수행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CNN을 기반으로 한 기포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이미지에서 기포가 위치한 영역을 찾기 위해서 Faster RCNN을 사용하였고, 픽셀 분류 신경망을 이용해서 찾아진 영역에서 기포를 분할하였다. 신경망들을 훈련시키기 위해 필요한 이미지는 세 종류의 기포발생기를 이용한 실험으로부터 얻었으며, 배경 밝기, 유량들을 변경하며 실험하였다. 신경망의 backbone 구조에 따른 성능에 대한 비교를 진행하였다. 신경망의 깊이에 따른 구조 병렬화 영향에 대한 분석할 수 있었고 제안된 신경망은 실시간으로 이미지로부터 기포를 검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홈 네트워크에서 UI 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데이터 구조화에 관한 연구

        정지홍,김영철,반영환,Jung, Ji-Hong,Kim, R.Young-Chul,Pan, Young-Hwan 대한인간공학회 2007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6 No.2

        The networked hom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orld using a high speed network. The devices inside the house are connected using a wired and wireless network. Acquiring the user data is an essential step for designing the user interface in user centered design. In networked home, the numbers of use cases are exponentially increased because connected use cases are considered. Because the user data for networked home are too complicated, they are acquired and analyzed by a structured methodology. We surveyed 40 people to acquire the context data home and analyzed by 5W1H (Who, Where, What, When, Why, How). We established a framework for the user data using tasks, user, time, space, objects and environment. The data for home context was structured by our framework. This framework makes simple the home context and is helpful for user interface design in home network.

      • 모바일기기의 인터페이스디자인 요소분석에 관한 연구 : 사용환경을 중심으로

        정지홍 국민대학교 2003 造形論叢 Vol.22 No.-

        모바일환경과 데스크탑환경은 기기의 크기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사용목적 사용목적 사용상황등이 근본적인 차이점을 갖고 있다. 가장 커다란 차이점은 모바일이다. 모바일기기란 사용자가 기기와 함께 이동하여 새로운 환경에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 논의하고자 한 것은 인터페이스디자인을 위한 고려의 범위를 관계의 관점보다 상황의 관점을 중심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사용자와 기기 그리고 사용자가 속해있는 사용환경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고, 모바일 기기의 사용환경을 분석하여 모바일기기를 위한 인터페이스디자인 고려사항을 추출하여 사용환경에 대한 요소를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모바일기기의 사용상황은 사용자의 주위자원을 독점하기 어려운 환경 적인 특성때문에 기기의 조작단계를 단순화시키고 그 결과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디자인을 하여야한다. 때문에 모바일기기는 환경의 변화에 기기스스로 사용상황을 재정의 하는 적극적인 인터페이스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현실공간과 시스템의 가상공간양쪽에 사용자의 감각이 동시에 집중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용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주위자원 분배의 실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의 대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의 연구동향: 최근 10년간의 연구들을 질환과 치료법 중심으로

        정지홍,윤홍렬,김순중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23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33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diseases or treatments the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department is dealing with. Methods For data collection, papers published from 2012 to 2021 were searched and collected on the website of the Korean Society of Rehabilitation Medicine (https://www. ormkorea.org/). After that, reconfirmed data at the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Traditional Medicine Portal (https://oasis.kiom.re.kr/). The searched papers were classified by year and classified according to format based on thesis and abstract. In addition, the papers were classified by subject, focusing on diseases and treatments. Results Total 557 studies were classified. The format of a total of 557 papers was distributed in 129 preclinical studies (23.2%), 136 literature studies (24.4%), 153 clinical studies (27.5%), 112 case reports (20.1%), and 27 other studies (4.8%). While preclinical studies and clinical studies are gradually decreasing over the years, case reports and literature studies are gradually increasing. Conclusions The number of papers in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Papers on more diverse topics is needed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journals and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J Korean Med Rehabil 2023;33(1): 61-75)

      • 장애인을 위한 화면 키보드(on screen keyboard) 디자인에 관한 연구

        정지홍 同德女子大學校 1997 同大論叢 Vol.27 No.1

        The advancement of computer environment is not simply increase in processing speed. Instead, it represents increasing ease of use to the user. Computers have now passed the point of simply being a tool for the disabled and have become the very element in which the physically challenged are able to overcome their obstacles. In this study, we look for ways to improve getting in touch with and communicating withthe physically challenged individuals withthe aid of computers. There are two methods of input on a computer-keyboard and pointing device. This article will illustrate how individuals who cannot operate a keyboard can simulate the use of a keyboard by using an "on screen keyboard" with a pointing device. Typ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requires dexterity. If an individual is not able to type fast enough, a way to decrease the number of keystrokes is used. One such method, Word Prediction System should bring about a more effective way for input. Such methods give ability to input words to individuals who can freely maneuver their hands and/or feet. Also, the "on screen keyboard" does not only act as a keyboard substitute but also redices the space taken up by a real keyboard thus enhancing the mobility of the computer used by the disabled. This is not only beneficial to the disabled individual but can also benefit the computing environment in a limited environment.

      • KCI등재
      • Multimedia System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정지홍 同德女子大學校 1995 同大論叢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on Multimedia based user interface. At first, the background of the user interface continuum are discussed and command-line interface, menu driven interface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object-oriented user interface. I surveying method of the Visual shape, animation and sound. With Multimedia, things should look move, and sound like they work, and they should work like look, move and sound! It can make better help define and distinguish how Multimedia based user interface works with the various human sensory mechanisms.

      • 집속형 레이저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박판에서의 결함 검출

        정지홍,김홍준,장경영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3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1

        An are array slit is used for generating the focused Lamb wave by laser, where spatially expanded Nd:YAG pulse laser is illuminated through the are array slit on the surface of a sample plate to generate the Lamb wave of the same pattern as the slit. Then the generated Lamb wave is focused at the focal point of which distance from the slit position is dependent on the curvature of slit arc. The focusing effect enables to acquire higher intensity of wave at the focus, better SNR in the received signal, and improved spatial resolution than when we use the conventional line array slit. In order to show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experiments is carried out for the detection of the artificial linear and circular defects on a thin aluminum plate and propose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efect size.

      • KCI등재후보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행위 분석 프레임워크

        정지홍,김우열,김영철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0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5

        주거환경에서의 사용자 요구사항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연계관계를 갖고 있다. 근 미래의 u-Home시스템은 기존 사용자들의 요구 수용뿐만 아니라 U-home관련 신기술의 요구사항도 접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보다 효율적으로 시스템에 반영하기위해 사용자의 행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요구유형을 분류하고 시스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행위분석모형UBAF(User Behavior Analysis Framework)을 제안 하고자한다. UBAF는 SE에서의 시스템 모델링 방법과 HCI 관점의 사용자 모델링 방법을 접목한 개발 프레임워크이다. 이를 통해 u-Home에서 정형화된 방법으로 사용자들의 핵심행위를 시스템 개발에 적용할 수 있었다. 적용사례로 u-Home의 실내온도 조절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시스템 모델링과 사용자 행위를 지식화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