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인구 세대의 대학원 진학 결정 요인 분석

        변수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敎育問題硏究 Vol.37 No.1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KELS)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 출신 대학의 특성, 출신 대학에서 경험한 교육경험, 그리고 주요 변수들의 상호작용항 등이 대학원 진학 결정에 끼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KELS 9차년도 4년제 대학생 조사와 10~12차년도 대학원생 조사 결과를 연결하여 표본을 구성하고(N=1,566), 그에 대해 교차분석과 독립집단 t-검정, 그리고 대학원 진학 여부를 종속변수로 삼은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학력이나 월 가계소득보다는 부모의 대학원 학비 지원의사가 대학원 진학에 유의한 영향력을 끼쳤고, 국공립대 출신, 전공교과목 성적, 전공-적성 일치도, 그리고 출신 대학 소재지와 설립주체의 상호작용항 등이 대학원 진학에 정적 효과를 보였다. 성별과 전공계열, 출신 대학 소재지 등을 기준으로 표본을 나누어 집단 별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양한 조건을 가진 학생 집단의 대학원 진학 결정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들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주요 변수들에 대한 논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ir home university, undergraduat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interaction terms of the main variables on their decision to pursue the graduate degree. The sample was constructed by linking the results of the KELS(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urvey) 9th four-year college student survey and the 10th to 12th graduate student survey (N=1,566). On this sample, cross-sectional analyses, independent group t-test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ith graduate school enrolment as the dependent variable were conducted. The analysis shows that parents' willingness to pay for graduate education, graduation from a public university, high grades in major courses, major-aptitude match, home university location - governance type interaction term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decision to go to graduate school. Additional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on various student group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the main variables are discussed and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 KCI등재

        대학생 성별에 따른 신입생 대학 경험의 차이 분석

        변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empirically the gender difference in freshmen experience in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sample of the present study was 461 female and mal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reshmen survey implemented by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a large city in Korea. Freshmen experience of the sample was explored according to the conceptual framework suggested by Strange & Banning(2001). In the analysis,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college GPA, social and economic status, and social interactions of college students. Being female was found to negatively affect student’s sense of belonging, safety, and engagement with other individual variables controlled for. However, acquiring a full membership of college community was free from the gender effect when the sense of inclusion and safety and student engagement were controlled for.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re results. 우리나라 대학에서 신입생으로 보내는 첫 1년은 교양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매우 중요시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 동안 모든 신입생들은 각자의 개인 특성의 차이를 극복하고 대학에서의 학업과 사회적 관계에 성공적으로 적응해야 한다. 본 연구는 신입생의 여러 개인 특성 중 성별의 차이에 주목하여 성별이 신입생의 대학 경험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지방 대도시 소재 4년제 남녀공학 대학교의 신입생 461명으로 이들은 대학이 개발한 신입생 대학 경험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이들의 신입생 대학 경험은 Strange & Banning(2001, 2015)이 제시한 대학 교육환경의 위계모형에 따라 안전과 소속감의 획득 단계, 적극적 학습 참여 단계, 공동체에 대한 동화 단계 등 세 단계로 나누어 탐색되었다. 세 개의 신입생 대학 경험 관련 변수들과 여기에 영향을 끼치는 각종 개인변수들에 대한 남녀 집단 간 t-검정 결과 남녀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여러 영역에서 발견되었고 이 변수들로 구성된 회귀모형에서 보다 엄밀하게 성별 변수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표본의 여학생들은 안전과 소속감 획득 단계에서 성별의 강한 영향력을 받고 있어 여성이라는 정체성이 안전과 소속감에 끼치는 부정적 효과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사회 전반의 통합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다음으로 학습 참여에 대한 회귀분석에서도 성별은 여전히 유의미 수준의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어 대학 내의 양성평등 문화와 여성의 학습 참여를 촉진하는 교육 환경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공동체의 완전한 구성원 되기 단계에서는 안전과 소속감, 학습 참여가 보장될 때 성별의 효과가 사라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여학생의 순조로운 대학 생활 적응과 학문적·사회적 통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안전과 소속감 및 학습 참여의 전제조건을 충족시켜야 함을 재차 확인하였다.

      • KCI등재

        미래 대학의 핵심역량 교육에 대한 대학생 교육요구도 분석

        변수,한우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that college students expect their universities to develop. A survey was given asking the importance of 14 core competencies and the current educational level to 1,110 undergraduate students from a four-year comprehensive university with the majorit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ajors located in the local area. Following the IPA,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four competences, namely, problem-solving skills, critical thinking skills, interpersonal collaboration skills, ethical awareness and civic consciousness were identified as the competencies most important but in need of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implications on competency-based higher education in the future were presented.

      • KCI등재

        전문대-4년제 통합을 겪은 교수들의 경험 탐색을 통한 대학 통합의 현상 분석

        변수,채재은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2

        대학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라 대입 정원이 고교졸업자 수를 훨씬 상회하는 전대미문의 상황이 전개됨에 따라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으로 대학 간 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학 통합이 정작 해당 대학의 구성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통합이라는 특별한 현상을 교원들의 경험을 통해 탐색함으로써 대학 통합의 여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와 아직까지도 해결을 요하는 문제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전문대와 4년제 대학간 통합을 경험한 3개 대학(수도권 사립대, 지방 국립대, 지방 사립대)을 선정하였고, 이 세 대학의 교원 중에 흡수통합 대상이 되었던 전문대 출신의 교원 1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세 대학의 통합과정에 대한 문헌 자료와 면담자들과의 심층 면담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세 대학 모두 하향식(top-down) 방식을 통해 통합이 결정되었고, 통합 이후 교수들의 교육과 연구에 상당한 변화가 발생했으며, 수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유기적 통합을 가로막는 과제들이 남겨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과 정부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University merger is increasing due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in Korea. Despite the challenges it poses to professors as well as student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so far.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explore real issues and problems of mergers betwee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EIs) through examining the phenomenon from a perspective of faculty members. A qualitative multiple case study method was used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university merger. Semi- structured interviews of ten faculty members from the three HEIs which were consolidated with two- year colleges were conducted for the data collection. The results show that mergers in three case institutions were implemented through top-down decisions which inevitably excluded quite a number of faculty members and administrative staffs from the decision-making process. After the merger process ended, faculty members have experienced various changes in their teaching and researching activities and thus they had to cope with different organizational cultures and rules.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to solve, notably the multiple campus issues hindering the integration among faculty members in order to complete a true merger. Several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특성화고 출신 대학생들의 특징과 학습 참여 유형에 대한 비교 탐색

        변수(Byoun, Su-Yo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특성화고를 졸업하여 대학 진학을 선택한 학생들이 일반계고 출신자 그룹에 비 해 어떠한 집단적 특징을 띠고 있으며 이들이 대학 재학 기간 중에 비교집단과 다른 학습 경 험을 하게 되는지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 99개 대학에서 수집된 2015 년 대학생 학습참여(K-NSSE) 조사 데이터(N= 71,712명)를 분석한 결과, 특성화고 출신 대학 생 집단은 일반계고(일반고, 특목고, 자사고) 출신 대학생 그룹에 비해 성별, 나이, 가정의 소 득수준, 편입학 경험, 고교 내신 성적, 대학 직전 학기 성적, 대학 선택의 기준, 소속된 대학 의 소재지나 규모, 설립주체 등 거의 모든 개인적/기관적 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 다. 그러나 졸업 후 진로 결정 여부나 진로 준비도 등 두 가지 요인에 있어서는 인문계교 출 신자와 차이가 없었다. 다음으로 특성화고 출신이라는 요인이 대학생 학습 참여에 끼치는 영 향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학습 전략, 능동적·협동적 학습, 교우관계, 지원적 대학 환경 등 총 10개 요인 중 여섯 개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 출신 대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대학의 노력이 확대 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collectiv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heir engagement in learning in college. Graduat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differed from graduates of general high schools in most of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high school GPA, college GPA, the size and the location of their institutions, and so on. Surprisingly, howeve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did not show a highe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choice than their counterpart. In the multiple regression on the ten factors of student engagement, the high school type was found to affect six factors out of ten when other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variables were controlled for. In particular, students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schools have difficulties in exercising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and participating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Policy implications for supporting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namely graduat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내 대학 여성 교원이 겪는 가면증후군 탐색 연구

        변수(Su Youn Byoun) 한국교원교육학회 202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 소속 여성 교원들의 가면증후군의 정도와 요인구조를 탐색하고 그것이 여성 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전국 4년제 대학교들을 대표할 수 있는 56개 대학 소속 여성 전임교원들에 대해 가면증후군 조사 참여를 요청하여 총 506명이 가면증후군 문항(Clance Impostor Phenomenon Scale, CIPS)에 응답하였다. 이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분석, 집단별 평균 비교,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국내 여성 교원들의 전반적인 가면증후군의 정도를 파악했다. 그 결과 국내 여성 교원 다수가 ‘보통(moderate)’ 이상의 가면증후군을 느끼고 있으며, 특히 조교수 집단의 경험 수준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을 두 개로 나눈 후 표본 1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표본 2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구조의 적합도를 교차검증했을 때 Chrisman et al.(1995)가 제안한 ‘속임(fake)’, ‘자기 무시(discount)’, ‘행운(luck)’ 등으로 구성된 3요인 구조가 가장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교원의 직무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삼은 다중회귀분석에서 CIPS 세 요인 중 ‘속임’ 요인이 정교수 직위와 더불어 직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정책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tent and factor structure of impostor phenomenon(IP) among female faculty members at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and to determine its impact on female faculty members' job satisfaction. A total of 506 female full-time faculty members from 56 universities representing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completed the Clance Impostor Phenomenon Scale (CIP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group mean comparis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overall level of IP among the samp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sample experienced 'moderate' or higher levels of IP. The group of female assistant professors showed the highes level of I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of faculty status. After dividing the sample of this study into two,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sample 1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sample 2 to cross-validate the fit of the factor structure. It was revealed that the three-factor structure consisting of 'fake', 'self-devaluation', and 'luck' proposed by Chrisman et al. (1995) was the best fitting model. The 'fake' factor was found to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faculty’s job satisfaction in the follow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presented.

      • KCI등재

        4년제 대학교 여성교원의 경력 개발 단계에 따른 성희롱 피해 경험 탐색

        변수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2 글로벌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4년제 대학교 여성교원들이 경험하는 성희롱 피해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가해자, 영향요인, 결과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전국 56개 대학의 여성교원 506명으로부터 이들이 박사과정, 박사후 연구자 기간, 그리고 교원임용 후 지금까지의 세 단계 동안 경험한 성희롱을 Fitzgerald et al.(1995)의 Sexual Experience Questionnaire(SEQ) 척도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각 단계마다 약 35% 정도의 응답자들이 1회 이상의 성희롱 피해를 경험한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겪은 성희롱의 가해자들을 여덟 개 범주로 나누어 조사한결과, 남성 지도교수, 남학생 선후배, 남성 동료 교원 등이 가장 대표적인 성희롱가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교원이 임용 후 성희롱을 경험할 가능성에 영향을끼치는 대학 변수와 개인 변수들에 대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전공계열과교수의 직위 등 변수들이 성희롱 경험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마지막으로교원임용 후 지금까지 성희롱 경험은 여성교원의 직무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부적 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의 성평등문화 정착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Sexual harassment of women faculties in the Korean higher education has been scarcely researched. However, their experiences of sexual harassment are important in that they become an important criterion for judging the spread of a culture of gender equality in universities. The Sexual Experience Questionnaire (SEQ)(Fitzgerald et al. 1995) was conducted on 506 female faculty from 56 four-year universities. About 35%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sexual harassment at least once in three stages of their career development. Among the eight perpetrator categories, male supervisors, male student seniors and juniors, and male fellow faculties were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perpetrator group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ajors and positions of female faculti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experiences of sexual harassment. Lastly, the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fter appointment until now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female faculties.

      • KCI등재

        고효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보고식 학습 성과에 끼치는 영향력 탐색

        변수 ( Byoun Su Youn )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2017년 한국형 대학생 학습참여 조사 결과 중 4학년 학생 자료(N = 17,013)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 4년제 대학생들의 학습 성과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고효과 프로그램(high-impact educational practices)이 무엇인지 실증적 방법으로 탐색하였다. 대학생 학습 성과에 대한 선행연구들로부터 도출한 대학 교육의 학습 성과 다섯 개를 종속변수로 삼고, 총 열 개의 고효과 프로그램(신입생 세미나, 글쓰기 집중강좌, 학부생 연구, 능동적ㆍ협동적 학습, 학습공동체, 서비스 러닝, 해외교환학생 프로그램, 캡스톤 교과, 인턴십, 교수-학생 상호작용)들의 효과를 독립변수로 삼는 회귀모형을 구성하였다. 이 회귀모형은 대학생들이 열 개의 고효과 프로그램 중 다수를 대학 재학 기간 내에 참여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개인적ㆍ기관적 변수 뿐만 아니라 참여하는 고효과 프로그램 모두를 통제한 상태에서 학생의 학습 성과 증진에 가장 큰 정적 효과를 끼치는 프로그램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능동적ㆍ협동적 학습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다섯 개 학습 성과 모두에 가장 큰 정적 효과를 끼치는 프로그램인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도 능동적ㆍ협동적 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습 공동체, 서비스 러닝, 캡스톤 교과 등과 신입생 세미나도 다섯 개 학습 성과 모두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high-impact educational practices of Korean Universities on self-reported learning outcomes of senior students. Two models of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2017 K-NSSE data set(N = 17,013). The ten high-impact practice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first-year seminars, writing-intensive courses, undergraduate research,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cademic learning communities, service learning, capstone courses/experiences, study abroad, internships, faculty-student interactions. Findings from OLS regression analyses suggested that ac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faculty-student interactions, academic learning communities, service learning, and capstone courses had broad-reaching positive effects across five learning outcomes of undergraduate education. In contrast, some other practices including study abroad programs, writing-intensive courses, and undergraduate research had more narrowly focused positive effects on student learning. Discussions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