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람 내피세포에서 염증 전구사이토카인이 VCAM - 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조영주,박수길,이재담,황온유,문희범,장윤혜,김승후,홍혜남 대한알레르기학회 1999 천식 및 알레르기 Vol.19 No.2

        Background: The expression of adhesion molecules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systemic diseases.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l(VCAM-1) is an endothelial cell membrane glycoprotein that has been implicated in leukocyte/endothelial cell interactions in inflammation. O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surface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VCAM-1 on two different endothelial cells. Methods: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e expression of VCAM-1 in two different endothelial cells, isolated from human umbilical cords and human glomerulus. Expression of VCAM-1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and flow cytometry. Results: In human umbilical cord endothelial cells(HUVECs), both interleukin-lβ(IL-lβ) and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increased VCAM-1 expression. VCAM-1 expression increased by TNF-αwas higher than that increased by IL-lβ. In human glomerular endothelial cells(HGECs), IL-lβand TNF-αmarkedly increased VCAM-1 expression. Conclusion. The regulation of VCAM-1 appears to be somewhat different in HGECs compared with HUVECs.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 responsiveness of the two cells may possibly indicate inherent differences in endothelial cell derived from different vascular beds.

      • KCI등재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대인관계문제 및 대인관계만족의 관계: 성차를 중심으로

        조영주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4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x role identity(masculinity, feminin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away from people, against people, toward peop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ex differences in these relationships were also explored. Data from 194 male college students and 126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collected and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s, correlation analyses, regression analyses and path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t significant sex differences in masculinity, femininity, away from people problem, against people probl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le wo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oward people problem than men. Second, men’s away from people problem were negatively related to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le women’s away from people problem and against people problem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rd, for both men and women, masculinit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way from people problem and toward people problem while feminin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oward people problem. Fourth, the higher the masculinity of both men and women, the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the lowness of away from people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성역할 정체감(남성성, 여성성), 대인관계문제(멀어짐 문제, 맞섬 문제, 향함 문제) 및 대인관계만족 간의 관계와 이들 관계에서 성차를 살펴보았다. 남학생 194명과 여학생 126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자료를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성, 여성성, 멀어짐 문제, 맞섬 문제, 대인관계만족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고, 향함 문제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의 경우 멀어짐 문제만 대인관계만족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여학생의 경우는 멀어짐 문제와 맞섬 문제가 대인관계만족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남녀 모두 남성성은 멀어짐 문제와 향함 문제를 부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여성성은 향함 문제를 정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넷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남성성이 높을수록 멀어짐 문제가 낮은 것을 통해서 대인관계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포함하였다.

      • 한국무용수가 인지하는 최상수행 전략 탐색

        조영주,정유영 영남춤학회 2017 영남춤학회誌 Vol.5 No.2

        An exploration for peak performance strategy recognized by Korea dancers Cho, Young-Ju • Jung, Yoo-Yeo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ir unique strategy recognized by Korea dancers who can show the peak performance in the stag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76 dancers of National and municipal dance company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inductive contents analysis through expert meeting, 4 factors including psychological stability (40.8%), completion degree of performance (29.6%), optimal physical condition (17.6%) and performance routines (12%) were proved to be their unique strategy leading to peak performance. That is,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stability is achieved through psychological control, flow, self-confidence and tension relaxation, the completion degree of performance is achieved through perfect exercise and image creation ability, the optimal physical condition is achieved through physical condition control and diet, and the performance routine is achieved through routine, which is own automatic habit associated with the performance, for the ultimate peak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ability to control psychological stability is proved to be the best strategy for the peak performance. We can reaffirm that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by the stable psychological condition of the dancer depends on the performances after all no matter how the skill is excellent. Therefore, the exclusive, thorough and differentiated strategy for the peak performance lies in the ability to control, maintain the optimized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 and the best adjustment and management of own performance.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differentiated individual application from the inside of the dancer, not the same application, and the preparation of strategy. 본 연구는 무대에서 한국무용수들이 인지하는 최상수행을 발휘하기 위한 자신만의 고유한 전략을 탐색하는데 있다. 국•시립무용단원 76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문가 회의를 통한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심리적 안정(40.8%), 작품의 완성도(29.6%), 최적의 신체적 컨디션(17.6%), 공연 루틴(12%)의 4요인이 최상수행을 이끄는 자신만의 고유한 전략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적 안정은 심리조절, 몰입, 자신감, 긴장 이완을 통해, 작품의 완성도는 완벽한 연습과 이미지 창조 능력을 통해, 최적의 신체적 컨디션은 신체 컨디션 조절과 식이조절을 통해, 공연 루틴은 공연과 연계된 평소 자신만의 자동적습관인 루틴을 통해 최상수행으로 다가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리적 안정의 조절 능력은 최상수행을 이끄는 전략으로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이는 아무리실력이 뛰어날지라도 결국 공연마다 무용수의 안정된 심리상태에 의한 공연의결과가 좌우한다는 점을 재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최상수행을 위한 철저한 자신만의 차별화된 전략은 최적화된 심신의 상태를 조절 및 유지하고 자신의 수행력을 잘 조절하고 관리하는데 있다. 이는 동일한 적용이 아닌 무용수 자신의 내부에서 차별화된 개별 적용의 필요성과 전략 마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남녀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파트너에 대한 공감과 지각된 파트너의 공감의 매개효과

        조영주,심은정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6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 the relationship of adult attachment to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gender differences.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cluded mediating roles of self-reported empathy to partner and perceived empathy from partner, and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these variables. Questionnaires including Experiences of Close Relationship Scale, Barrett-Lennard Relationship Inventory, and Dyadic Adjustment Scale were administered. Data from 81 male and 129 female college students who reported engaging in a dating relationship were analyzed utilizing path analysis and PROCESS mode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le attachment anxiety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male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le male attachment avoidance significantly affected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both 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ce attachment among females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empathy toward partner mediated only the relationship of male attachment avoidance to male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rd, perceived empathy from partner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male attachment avoidance to male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s of female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to female relationship satisfaction. Fourth, the effect of empathy toward partner on perceived empathy from partner was significant for both males and females, and the effect size was larger in females than in males. Finall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s of male attachment avoidance to male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female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to female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파트너와의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의 매개효과와 이들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공감의 매개효과는 파트너에 대한 공감 및 지각된 파트너의 공감의 매개효과에 더하여 파트너에 대한 공감과 지각된 파트너의 공감의 연속적 매개효과를 포함하였다. 연애 중인 대학생 남성 81명과 여성 129명으로부터 성인애착척도, 공감적 이해척도, 관계적응척도를 포함하는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직․간접효과와 성차를 검증하였고, PROCESS를 활용하여 개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의 불안애착은 남성의 관계만족을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하였고, 남성의 회피애착은 남성의 관계만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한편, 여성의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모두 여성의 관계만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파트너에 대한 공감은 남성의 회피애착이 남성의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만을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셋째, 지각된 파트너의 공감은 남성의 회피애착이 남성의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여성의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이 여성의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넷째, 파트너에 대한 공감이 지각된 파트너의 공감에 미치는 영향은 남녀 모두 유의하였고, 효과 크기는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파트너에 대한 공감과 지각된 파트너의 공감의 연속적 매개효과는 남성의 회피애착이 남성의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여성의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이 여성의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 및 상담 실제에 대한 함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