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본어 분류사에 대한 서설적 접근

        우형식 부산 외국어 대학교 2002 外大論叢 Vol.25-2 No.-

        韓國語と同樣に, 日本語にも數分類辭が存在する. 傳統的な日本語文法では助動詞と言う. 日本語の數分類辭は數詞の後で名詞の數量單位を表す接尾語で, 名詞指示物を意味の範??によって部類化する機能もある. 形熊的に日本語數分類辭は語彙の形式だが, 韓國語と比較すると膠着性が强い特徵がある. また, 語源的には固有語と漢字語が混在して數詞と統合する時, 制約になることもある. 意味的に日本語數分類辭の部類化の樣相は他の言語と同じように世界に對する人間の普遍的な認知領域によって人間性, 動物性, 植物性, 形象性, 機能性などに分けられる. 人間性の數分類辭は種によって分化するのが特徵である. また, 大型の動物を數える '頭(とう)'と小型の動物を數える '匹(ひき)'のように大きさも一つの基準として使い分けることが多い. 鳥類は '羽(わ)', 魚類は '尾(び)'を使う. 植物性の數分類辭は大部分 '株(かぶ')'を使う. 刑象性の數分類辭は名詞指示物の外形的な形によって分けられる. 日本語の場合一次元的なものは'本(本), 條(じょう), 筋(すじ), 棹(さお)' などに, 二次元的なものは '枚(まい), 面(めん), 張(はり)' などが, 三次元的なものは '粒(つぶ), 玉(たま), 顆(か), 丁(じょう)' などに使い分けられる. 特に'本'は範疇一連鎖的な擴張によって對應する名詞の範??が相當廣いという特徵がある. そして, 三次元形象性數分類辭の中には殘余的分類辭という特徵があると解析される '個(こ)'が特異な用法である. 機械性のは '台(だい), ??(そう), 隻(せき), 機(き)'などで, '台'の場合乘物を含めた大部分の機械類に使われる. その他, 建築物や, 衣類, 書籍, 藝術品などの部類によって違い形態が存在する. 日本語數分の中で '-つ'と '個(こ)' は普遍性の殘余的にも分けられる. これらは殘余的な性格は共通するが數量辭の統合と對象との呼應關係の用法は差がある. 分類辭は樣樣な解析ができる領域で, 該當言語に對した直觀が要求される分野だといえる. 本稿では制限的な範圍と接近方法で日本語の數分類辭の體系と用法を調べた. 本稿は日本語の數分類辭に接近する基礎的な資料として意義がある. 深度ある發見の爲にはもっと多い論議が必要だと考えられる.

      • 한국어 인간성 분류사의 대조언어학적 검토

        우형식 釜山外國語大學校 比較文化硏究所 2002 比較文化硏究 Vol.13 No.-

        자연 언어가 인간의 세계에 대한 인식을 나타낸다고 할 때 이것을 역으로 하면 인간의 세 계에 대한 인식이 언어에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인간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를 총체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변별되는 특성에 따라 구분지어 이해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하여 언어 연구에서 제기되는 기본적인 의문 중 하나는 지각된 세계가 언어에 어떻게 표상되고 언어를 통하여 표현되는가 하는 점이다. 이것은 언어가 어떻게 지각 된 세계를 지시하는가 하는 점과 관련된다. 이러한 연구와 관련되는 언어 요소 중 대표적인 것으로 분류사(cㅣassifier)가 있다. 분류사는 인간의 세계 인식의 태도가 언어에 표상되는 것으 로, 명사로 표현되는 사물을 부류화하는 언어적 기제인 것이다. 분류사는 언어로 표현되는 명사의 문법적 · 의미적 범주를 구분하는 언어 기제의 하나로서, 명사를 부류화한다는 점에서 인구어에서 두드러지는 문법범주인 성 (gender)과 유사하다. 성 은 보통 남성 · 여성 또는 남성 · 여성 · 중성의 2-3개의 범주로 구분되며, 통사적으로는 체언 수식 구성이나 주술 관계에서 일치가 요구된다. 이에 비해서 분류사가 존재하는 언어는 성이 발달되어 있지 않은 대신 분류사가 성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분류사의 부류화 체계는 성에 비해 매우 복잡하다는 데 특징이 있다. 분류사는 세계 사물에 대한 인간의 부류화와 관련된다. 부류화는 사물과 사건을 비슷하다 고 판단되는 것끼리 한데 묶는 정신 활동이다. 즉, 부류화는 인간이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 계를 의미있는 영역으로 분절하여 파악하는 책략이며, 각각의 부류는 언어적으로 표현되어 나타나는 분절 단위를 지칭한다. 이러한 부류화는 범주(category) 구분에서와 같이 주로 개인 의 개별적인 경험을 일반적인 개념으로 추상화하는 과정으로서, 동질화(identification)와 이질 화( differentiation) 등의 심리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분류사에 의한 부류화는 호응 관계를 이루는 명사를 중심으로 살피면, 크게 개체와 집합체 로 구분된다.2) 특히 개체의 분류사는 의미자질과 크게 관련되어, 우선 생물과 무생물로 구분 된다. 그리고 생물은 유정성에 따라 유정물과 무정물(식물)로 나뉘며, 유정물은 다시 인간성 에 따라 인간과 비인간(동물)으로 구분된다. 무생물은 사물의 시각적 형상성 여부에 따라 형 상물과 비형상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사물의 모양(shape) , 후자는 기능(function) 이 주요한 분류 자질이 된다(우형식, 2001). 이 글은 이와 같이 변별되는 부류 중에서 인간성 부류와 관련되는 분류사를 대상으로 하여, 언어에서 표상되는 인간 부류의 특정과 하위 구분에 대해 살피기로 한다. 특히 여기서는 한국 어와 일본어, 중국어, 미얀마어에서 나타나는 이른바 수 분류사를 대상으로 하여 상호 대조적 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취하기로 한다.

      • 수 분류사의 형태 실현과 부류화 기능

        우형식 부산 외국어 대학교 2004 外大論叢 Vol.28 No.-

        本論文では, 韓國語をはじめ周邊言語から見られる數分類辭の形態的實現と部類化の樣相 について槪括的に考察してみた. 數分類辭が數量の單位を示すという傳統的な機能から外れ, 名詞が示す物を部類化する機能を考察しつつ, このような機能が數分類辭の本質的な性格に附合するものと理解した. 數分類辭は, 孤立語では自立的な語彙に實現し, 語彙項目の集合が非常に開放的という特徵がある. そこで, 相互選擇關係のある名詞と同じ形態が數分類辭になる. すなわち反複形にも現われる. 數分類辭は長期間にわたり文法化の持績した言語や一部の膠着語では, 接辭または接語と融合の形態で存在することもある. 一般的に接詞的機數分類辭は自立的形態に比べ名詞との選擇關係が比較的に緊密する, あるいは名詞が示している物を事物性や有情性のような抽象的資質に特徵化する點が際立っている. したがって接辭的數分類辭は文法形態と類似している機熊を持つ. 數分類辭は數量詞と共に數量詞句を構成, 名詞の接數量を限定する. これらの構成形式はQ-CL-N形-とN-Q-CL形が代表的である. 前者は中國語とべトナかム語, 後者はビルマ語とタイ語に見られ, 韓國語と日本語は2つの構成がすべて可能である. 數分類辭は意味的共集にしたがって名詞が示す物を部類化する特徵が際立っている形態である.そこで部類化は認知心理, 文化, 社會など言語外的な要因と形態, 統辭, 意味, 談話など言語內的な要因と關聯する. 數分類辭と名詞は意味的選擇關係が成立する. そこで數分類辭は名詞が示す實體に對して暗默的に知覺することができる. さらに, 名詞が示す實體の屬性も表ず. つまり數分類辭は, ク"ル-プ化して意味領域を構成すると見做すことができる. このように數分類辭によって構成される意味領域は分類辭言語の意味構造を表している. 個別數分類辭の部類化資質はそれと共起する名詞が示す物を合わせて, これらから辨別的な特徵を導出する方法に解釋される. しかし, ある名詞が特定の數分類辭に對應する爲にはその名詞がもっているある屬性がどれほど少なく, 又はどれほど多いかということについては常に意見が一致することではないという限界がある. さらに, 用法において數分類辭と對應する名詞との關係は同一文化圈, または同一言語では基本的に同質的だと言える. しかし配分的には名詞が示す物の狀態や社會的地位, 話者との關聯程度等によって流動的な場合もあり, 指示物の變化や新しい指示物の出現, 又は指示物に對する人間關係の變化等によって可變的な場合もある.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서양인의 한국어 문법 연구

        우형식 우리말학회 2016 우리말연구 Vol.45 No.-

        이 글에서는 19세기 서양인의 한국어 문법 연구 자료를 검토하 고, 특별히 이들에서 나타나는 한국어의 품사 분류와 격 체계의 기술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별적 검토를 바탕으 로 문헌들 사이의 상호 영향 관계를 한국어 문법 연구의 발전적 측면에서 조망하였다. 서양인의 한국어 문법 연구는 저자들이 자국어의 문법 체계를 바탕으로 대조적 관점으로 한국어에 접근하여 각자의 모국어로 기술하는 방식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자기중심적 관점에서의 접근에 따라 한국어 문법 기술에서 라틴 문법의 전통적인 8품사 체계를 유지하려 하였고, 관사나 분사 등과 같 은 한국어 문법에서 이질적인 품사를 설정하거나, 관형사와 형용사를 구분 하지 않기도 하였다. 또한 한국어에서 명사의 격 표지에 대해 초기에는 굴 절의 성격을 띠는 곡용 현상으로 이해하였으나, 점차 교착적인 해석으로 바 뀌었고, 19세기 말에는 단어 결합적 관점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19세기 서양인의 한국어 연구에 대한 접근에서 중요한 것은 한국어 연구 의 통사를 정립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그들의 한국어에 대한 기술이 이후의 한국어 문법 연구에 어떻게 수용되고 정착되었으며 발전되었는지를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서양인들의 한국어 문법 연구가 그들의 한 국어 학습에 목표를 두었다는 점에서 한국어 교육사의 관점에서도 분석될 필요가 있다.

      • 국어의 관형절과 핵심명사

        우형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7 원우론집 Vol.15 No.1

        In this study, we tried deliberating the structure and semantic function of the Korean Adnominalization. The Korean Adnominalization is formed by Adnominalization Complement'-(으)ㄴ, -는, -(으)ㄹ, -던, -(고 하)는' and Head Noun. Therefore, Adnominalization is the structure which a sentence is connected with a Head Noun of the matrix sentence by means of a Complement. Adnominalization is classified Relative and Appositive by the form of sentence structure. In this way, Head Noun is classified Relative Noun and Complement Noun. Relative is distinguished from Appositive in that the former must have an identity-referential NP in the embedded sentence. It is different from the European Language that Korean Adnominalisation is not necessary to classify Restrictive and Non -restrictive. Because in Korean it is the object of semantic interpretation which is not showed formaly. When Adnominalization is formed in abstract sentence structure, the way of construction is decided by the criteria as presupposition, condition, information, and temporal order of events. It has a few of restrictions to recover the constituents of Head Noun in embedded sentence, sach as case and particle, grammatical and semantic co-occurrence relation of predicate and noun phrases. Generally, subject and object have not restriction, but, double-subject and double -object construction have it. And the noun phrases of 'NP- 로', 'NP-에', 'NP-에서' are restrictive or not occasionally by the and of sentence constituents. Appositive Adnominalization has not identical NP-restriction, and is only recognized the identity of Complement Noun and Adnominalized Embedded Sentence. But, it has the constitutional restriction by the speaker's factivity degree about the content of embedded sentence. If the factivity degree of Adnominaligation Complement is not corresponded with that of Complement Noun, it is impossible to form the Appositive Adnominalization. Therefore, this factivity degree is important element in Appositive Co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