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熱河日記』에 나타난 토론 서술의 유형

        신태수 택민국학연구원 2012 국학연구론총 Vol.0 No.9

        The types of describing contents of debate in Yeolhailgi are summarized into three types: type of criticizing ideology,type of enlarging perception, type of reflecting on existence. The type of criticizing ideology attempts to criticize a false conventional idea or perspective. The type of enlarging perception attempts to break off a worn-out cast of perception, and then to aim for a larger cast of perception. The type of reflecting on existence attempts to find out a dwarfish self, and then to search for a solution to overcome the dwarfish self. The three types have two layers each. The first layer is an experience of China and its culture. The second layer is to refute the opponent. The organizational principle of debate is formed, as the two layers are being intermixed. The organizational principle is to deconstruct the false ideology by the contents with a direct experience, to break off a stereotyped view or preoccupation by a relative perspective,and to blur the lines between the outer object and the inner self. And the overall principle of the three types is to ‘inquire into the root in the level of Dongchejungyong(東體中用)’. The description of debate has two significances in its epistemological aspect. One is that the paradigm of Dongchejungyong has a specific quality by way of the description of debate, and that the description of debate has a typical quality by way of the paradigm of Dongchejungyong. The other is that the subject of perception keeps going on the composition of knowledge by way of debate. 열하일기에 나타난 토론 서술의 유형은 세 가지다. 이념비판형, 인식 확장형, 존재 성찰형이 그것이다. 이념 비판형은연암 당대의 그릇된 통념이나 관점을 비판하고자 하고, 인식 확장형은 인식의 舊殼을 깨고 보다 넓은 인식의 틀을 지향하고자 하고, 존재 성찰형은 왜소한 자아를 발견하고 그 극복 방안을모색하고자 한다. 각 유형마다 두 층위가 나타난다. 중국 체험이 첫 번째 층위이고, 상대 공박이 두 번째 층위이다. 두 층위가 교섭하면서 구성 원리를 형성한다. 구성 원리는 각기 직접적 경험으로 그릇된 이념 해체하기, 상대적 시각으로 고정관념이나 선입관 깨뜨리기, 자아의 신축성으로 외물과 內我의 경계 허물기이고, 유형전체의 원리는 ‘동체중용의 차원에서 근본 탐색하기’이다. 토론 서술의 인식론적 의의는 두 가지다. 동체중용 패러다임은 토론 서술을 통해 구체성을 띠고 토론 서술은 동체중용 패러다임을 통해 유형성을 지닌다고 하는 점과 인식의 주체가 토론을 통해 지식을 구성해 나간다고 하는 점이 그것이다.

      • KCI등재

        『三綱行實圖』효자편과 『진대방전』의 거리

        신태수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2 No.-

        There are clear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the filial son story of Samganghaengsildo and Jindaebangjeon because the latter was created based on the former. With those circumstances aside, however, there are no common character and direction between them. The filial son story of Samganghaengsildo is ideology-oriented with the pictures and filial duty episodes subjugating personal desire in the domain of ideology and transforming physical pain into a happy fantasy. Jindaebangjeon is, on the other hand, reality-oriented. The utilitarianism of "realistic desire → ideological desire" seems to prevail on the surface, but the "realistic desire vs. ideological desire" pattern is found on the inside with a tense confrontation between individualism and utilitarianism. There is a need to delve into the factors that caus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orks. One of the factors was the changed criteria of interpreting filial duty, and another was the changed method to hide social contradictions. The two works were also compared for character and direction, and the comparison results point out big differences in the status of filial duty ethics between them. The filial duty ethics was very high in filial son story of Samganghaengsildo and very low in Jindaebangjeon. 『삼강행실도』효자편과 『진대방전』은 영향 관계가 뚜렷하다. 『진대방전』이 『삼강행실도』효자편에 토대를 두고 창작되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생긴다. 정황이 이러하지만, 그 성격과 방향이 동일하지는 않다. 『삼강행실도』효자편은 이념지향적이다. 그림과 효행담이 개인의 욕망을 이념의 영역에 복속시키면서 신체적 고통을 행복한 환상으로 전환시킨다. 한편, 『진대방전』은 현실지향적이다. 표면적으로는 ‘현실적 욕망→이념적 욕망’의 공리주의가 우세한 듯하나, 이면적으로는 ‘현실적 욕망 VS 이념적 욕망’의 양상을 띠면서 개인주의와 공리주의가 팽팽히 맞선다. 두 저작물이 달라지는 요인을 캐볼 필요가 있다. 효행의 해석기준이 바뀌었다는 점이 그 첫 번째이고, 사회적 모순을 감추는 방법이 바뀌었다는 점이 그 두 번째이다. 두 저작물의 성격과 방향을 견주어본 결과, 효 윤리의 위상이 많이 다르다. 효 윤리가 『삼강행실도』효자편에서는 아주 높고 『진대방전』에서는 아주 낮다.

      • KCI등재

        퇴계 매화시의 형상미학과 그 인성론적 의의

        신태수 영남퇴계학연구원 2016 퇴계학논집 Vol.- No.19

        퇴계 매화시에서는 공간에 대한 시선이 극단적이다. 도산은 유학적 공 간이고 서울은 세속적 공간이라는 식의 표현이 그것이다. 공간 개념이 양분되는 까닭은 순선무악의 원천이 되는 자질을 묶어 도산 공간이라 하 고 순악무선의 원천이 되는 자질을 묶어 서울 공간이라 하기 때문이다. 도산이 이상적이어서 도산 공간의 매화는 언제나 밝고 맑은 형상일 듯하 나, 그렇지 않다. 품격과 생의의 형상과는 달리, 감각의 형상에서는 어둡 고 초췌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감각의 형상이 여타 형상과 다른 데는 까닭이 있다. 감각의 형상은 사(事)와 이(理)에 관여하며 소당연의 경지를 보여주기 때문이고, 품격의 형상과 생의의 형상은 이(理)에만 관여하며 소이연의 경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인성론의 차원에서 볼 때, 퇴계 매 화시의 의의는 두 가지다. 매화가 만물과 더불어 대우주의 기운을 느낀 다는 점이 그 한 가지요, 매화가 경(敬)으로 인욕을 차단하고 천리를 보 존ㆍ함양하고자 한다는 점이 그 다른 한 가지다.

      • KCI등재

        여성 인물형상을 통해 본 <崔陟傳>의 창작의도

        신태수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7 No.-

        본고는 의 여주인공 옥영의 인물형상을 통해서, 창작 당시 작가 조위한이 염두에 두고 있던 예상독자와 창작의도를 살폈다. 우선 전란의 전개에 따른 옥영의 대응양상을 중심으로 인물성격이 어떻게 창조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전란을 배경으로 한 남녀의 결연 과정에서 옥영은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결연을 이루어나간다. 貞節과 진정한 孝를 동시에 쟁취해나가는 지혜로운 처녀/딸로 형상화되었다. 둘째, 전란을 배경으로 한 가족의 이합과정에서 옥영은 여성으로서는 보기 드물고 기이한 해외편력을 한다. 동아시아세계를 돌며 새로운 환경에 적절히 대처하면서 의연히 현실을 열어가는 자립적이고 의지적인 여성으로 형상화되었다. 셋째, 전편에 걸쳐 전란으로 인한 온갖 시련에도 불구하고 옥영은 변함없이 至誠스런 삶의 자세를 견지한다. 지성스런 삶의 자세로 난관을 극복하고 행복을 쟁취하여 행복하고 든든한 가정을 세우는 효녀이자 현모양처요 節婦이자 강인한 어머니로 형상화되었다. 또한 본고는 작가가 이렇게 옥영이라는 여성인물을 형상화한 방식과 작가 자신이 처한 시대적 상황과의 관계를 실마리로 삼아 창작 당시 조위한이 염두에 두고 있던 예상독자와 창작의도를 천착한 결과, 婦女 교훈을 창작의도로, 그의 딸들을 예상독자로 파악했다. 결론적으로 조위한은 을 통해, 전쟁의 위협이 도사리고 있는 격동의 시대 속에서 행복하고 든든한 가정의 건설과 회복에 필요한 것은 烈女가 아니라 옥영과 같은 여성임을 보여주며 딸들을 교훈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rough looking into the characters of the heroine Ok-young in the novel Choicheokje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pected readers and the purpose of writing that the author Wi-han Cho thought of when creating the novel. Focusing on Ok-young's confronting styles with the wa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her characters were created. First, the heroine was engaged in the relationship with a man actively and initiatively in the unstable situations of a war. She was embodied as a virgin and daughter who defended her chastity and achieved a true filial. Second, Ok-young made tours of foreign countries, which was rare and peculiar for a woman in that time, in the process of meeting and parting with her family under the background of a war. Travelling around Eastern Asia, she was being illustrated as independent and volitional woman, adjusting herself properly to new environments and opening a new reality with fortitude. Third, it is described throughout the book that Ok-young held fast to an unchanging and sincere attitude toward her life despite all the hardship of a war. She was embodied as a devoted daughter, virtuous wife and tough mother who came over obstacles before her life with sincere attitude, conquered happiness and established a firm family. Taking as a clue the relation between the author's styles to embody the heroine Ok-young and the situations of the time that the author faced, this study investigated into the expected readers and the purpose of the writing that the author Wi-han Cho thought of.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e write the book to give a lesson to women and the expected readers were his daughters. In conclusion, Wi-han Cho pointed a moral through Choicheokjeon that it was not a woman of chaste reputation but a woman like Ok-young who was needed in forming and restoring a happy and strong family in the time of turbulence and threaten of a war.

      • 政治와 倫理

        申泰洙 건국대학교 정치대학 학도호국단 1958 政大 Vol.- No.5

        정치를 일반적으로 정의하면, 국가의 의사를 결정하고 실현하는 작용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정치는 국내의 모든 대립과 분화를 통합하고 법적으로 조직화된 하나의 국가의사와 질서를 창조하여 그것으로써 국가의 목적을 실현하는 것이라 할 것입니다. 이와같이 정치의 의의를 규정한다면, 거기에 문제되는 두가지 점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하나는 무엇이 국내의 대립과 분화를 통합하는냐 하는 문제이며, 또 하나는 정치에 의하여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이 무엇이냐 하는 문제입니다. 전자에 대하여서는 왕왕 「권력」이라는 용어로써 해답되고 있읍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것이 지나친 폭권 폭력과 구별되도록하기 위하여, 「공권」이라는 말로 대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금프로윗쯔」「오펜하이머」등이 그러합니다.

      •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균종과 항생제 감수성에 대한 고찰

        신태수,김태영,백인기,고일향 인제대학교 1983 仁濟醫學 Vol.4 No.1

        저자들은 1980년 1월1일부터 1982년 12월 말일까지 3년동안 서울백병원 임상병리과에서 발열환자의 혈액 배양을 실시하여 균종분리를 실시하였고. 배양된 각 세균의 동정빈도, 빈도율 및 월별, 계절별 동정의 상이도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각 동정된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여 과거의 국내 및 외국 문헌과 비교 검토하였다. Authors practiced blood cultures of F.U.O (fever of unknown origin) patients of in and out-patient for recent three yrs from the beginning of 1980 to the end of 1982 at Seoul Paik Hospital, Inje Medical college. Species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 isolation frequency, rate, monthly and seasonal variation, of each species were studio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of each strains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ellows: 1.365 species (7.55%) were isolated among 4836 cases of blood cultures. Isolated species ware variable and composed of 10 strains. 2.Among strains isolated, salmonella group "D" was the moat frequent organism (130 case; 35.62%). The otheres were salmonella group ''A'', E. coli, Stapylococcus aureus, in orders. 3.In winter season, microorganisms are most frequently isolated. 4.Salmonella strains also showed highest isolation rate in winter season. 5.Among salmonella strains, group "D" was most frequently isolated in December and group "A" was in Jan. and July, respectively. 6.On antibiotic sensitivity test, most of salmonella group "D" and "A" were sensitive to CM, GM, AN, CF, KM, TE, & AM. Staphylococcus aurous were sensitive to CM. and GM., and resistant to AM, P, TE, CF, and FM. Moat of E. coli strains were sensitive to GM, AN, and CF.

      • KCI등재
      • KCI등재

        홍도 서사의 계보학

        신태수 한국언어문학회 2022 한국언어문학 Vol.12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genealogy of the Hongdo narrative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s of the Hongdo narrative line that have been handed down for over 300 years, from 「紅桃」in Yu Mongin's 於于野談 in 1621 to the present day. According to the order of appearance of each work,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network between the works by comparing them with the works of the Hongdo narrative line up to that point. Thus, the genealogy of the Hongdo narrative was finally completed.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wo characteristic phenomena in the genealogy of the Hongdo epic. One is the fact that Jang Ji-yeon's 「鄭生妻紅桃」(1916) had a much greater influence on the post-modern Hongdo-gye narrative works than Yu Mongin's 「紅桃」(1621). The other is the phenomenon of continuous genre barg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