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역 단체장 및 살무자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노원구를 중심으로

        洪淳慧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3 사회과학논총 Vol.9 No.-

        본 연구는 노원구 지역단체장 및 실무자 5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지역단체장 및 실무자들은 북한이탈주민들에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지 않았다. 심리적 거리감도 크게 느끼고 있지 않았으며 수용정도도 상당히 긍정적이었으며 북한이탈주민을 돕는 활동에 대해서도 상당히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들 간의 관련성을 본 결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크면 클수록 이들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도 크고 덜 수용적인 태도를 보여 주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특성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일 수록 그들에 대한 지원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보였으며 조직적으로 그들을 돕는 일에도 소극적 입장을 보였다. 한편, 본인이나 부모의 고향이 이북인 지역단체장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더 수용적인 태도를 보인 반면, 홍미롭게도 북한이탈주민을 만나 본 경험이 있거나 그들을 개인적으로 알고 지내는 지역단체장들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더 부정적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경우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원에 대해서도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 이런 결과에 근거해 지역단체장의 인식 변화를 위한 방황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아동 대상 조사에서 활용되는 빈곤변수들 간의 비교 및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의 관계

        홍순혜,방진희,엄경남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과학논총 Vol.20 No.-

        본 연구는 아동 대상 조사에서 흔히 활용되고 있는 빈곤 변수들(가족의 소득수준 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빈곤 프로그램에의 대상 여부, 아동이 인식하는 주관적 빈곤, 아동이 인식하는 무료급 식 수혜여부)의 특성을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동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빈곤 여부는 객관적인 빈곤여부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어떤 빈곤변수가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측정에 더 민감한지를 주요 연구 문제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A시의 드림스타트 사업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의 3개 초등학교의 4-6학년 학생 277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빈곤 측정 변수로 드림스타트 사업 대상 아동 여부, 무료급식 수혜 여부에 대한 아동 인식,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대한 아동의 인식 변수 등 세 가지 변수를 활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고 아동의 심리사회적 변수들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무료급식 수혜여부 및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대한 아동의 인식은 드림스타트 대상아동 여부라는 객관적 빈곤지표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대상아동 전체가 무료급식 수혜아동인 동시에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의 아동이라는 사실을 감안할 때, 상관관계는 미약해 보이며 많은 응답자들 사이에서 일관성 없는 응답이 발견되고 있었다. 둘째,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대한 아동의 인식과 대상 아동 여부는 아동의 일반적 특성과 부모-자녀 간의 관계를 통제했을 때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하지만 가정의 경제수준에 대한 아동의 주관적 인식보다는 빈곤 프로젝트의 대상여부라는 객관적 빈곤지표가 부모-자녀 관계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다. 반면, 무료급식 수혜여부에 대한 아동의 인식은 종속변수들과의 관계에서 상식적 예측과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빈곤을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지표라고 보기 어렵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해 아동 빈곤 연구에서 빈곤 측정 방법 시 유의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verty variables, which are frequently utilized in the research for children (children's objective poverty, subjective poverty recognized by children, and children's recognition about whether they receive free meals).. In this study, the main issues are how much poverty recognized subjectively by children concurs with objective poverty and which is more sensitive to children's psychosocial adaption, children's subjective poverty or objective poverty.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from 277 students in fourth to sixth grades of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A city, Gyeonggi-do in charge of 'Dream Start.' work. As variables for measuring poverty, the following three variables were used: whether a child is a target for the Dream Start work, children's recognition of free lunches, and children's recognition of family economic status.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results and children's psychosocial adaptation variables was reviewed. As a result of the present research, first, children’s recognition about whether they receive free meals and what economic level their families belong to had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whether they are target children for ‘Dream Start,’ which is an objective poverty index. However, considering that all of the target children receive free meals and come from economically deprived families, such correlation appears to be not strong. Further, inconsistent responses were found among many respondents. Second, children’s recognition about their families’ economic level and whether they are target children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children’s psychological adaptation when children’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were controlled. However, not children’s subjective recognition about their families’ economic level but the objective poverty index, i.e., whether they are target children for the poverty project, was more sensitively reactive to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Children’s recognition about whether they receive free means showed different results from what is commonly predictable in the relations with dependent variables, and thus is difficult to be acknowledged as a proper index for measuring poverty. In connection with these results, several matters required when measuring poverty for the study of children’s poverty were presented here.

      • 고학력 여성유휴인력의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홍순혜,원미순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06 여성연구논총 Vol.21 N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ways to facilitate the participation in voluntary activities among unemployed females with higher educadon. Data consisted of the replies of 155 unemployed females who graduated from 4-year univers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43.4% of the respondents participated in voluntary activities in the past, 21.7% currently participating, and 34.9% with no such experiences. Approximately 70%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voluntary activities and altruistic reasons were most important in their acts. The respondents having religion, belonging to social organizations, believing that personal improvement is related to community development or that helping needy people is community's responsibility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voluntary activities. Many of voluntary activity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ype, length of time and amount of their activities, but responded that the activities were not related to their university major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reasons of non-participation were lack of time and energy due to house-keeping, child-raising, and care-giving and lack of knowledge about the organizations to volunteer for and the ways to participate. Regardless of previous volunteer experiences, about 96% wished to continue the participation in voluntary activities. The ways to facilitate the participation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의 현황과 방향 -대학 학부 교육을 중심으로-

        홍순혜,조성심,방진희,엄경남,안정선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5 학교사회복지 Vol.0 No.3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at the undergraduate level of universities in the country and is aimed at setting a direction that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purpose, we examined school social welfare and case management education course opened trackings at four-year colleges focusing on the Korea institute for school council members and we had interviews with the professors and instructors who taught in school social work courses at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for last 3 years. In addition, we had focus group interviews to collect more detailed comment on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direction of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ocial welfare course in regular university curriculum was about 71%, case management education course was to open approximately 48% and were found to have a case management information on school social work curriculum covers approximately 80%. The difficulties of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operating in university were the lack of time to teach the case management, the lack of a specific application examples to use during class, the lack of su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uniqueness of school field, the variations of students' understanding according to whether case management education course completion. the lack of textbooks and related materials and the lack of field experience of educators. And we have some suggestions for the role of the preferred university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content and methods and development measures, and the role of the institutes and associations for case management education. Based on this result, we suggest some direction and development measures for school social welfare case management education in the university.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대학의 학부 수준에서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를 어떻게 교육시키고 있는지 그 현황을 살펴보고, 추후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이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할지에 대한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및 사례관리 교과목 개설 현황을 한국교육협의회 회원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최근 3년 동안 4년제 대학에서 학교사회복지 교과목을 가르친 전임교수와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또한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방향에 대해 보다 상세한 의견을 수합하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정규교육과정 내 학교사회복지 교과목은 조사 대상 중 약 71%, 사례관리 교과목은 약 48%의 대학이 개설하고 있었으며 학교사회복지 교과목 내에서 사례관리 내용을 약 80%의 대학이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 운영의 어려움으로는 사례관리를 가르칠 시간부족, 수업 시 활용할 구체적인 적용 사례 부족, 학교현장의 특수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 부족, 사례관리 교과목 이수 여부에 따른 학생들의 이해도 편차, 관련 교재와 자료 부족 및 교육자의 현장경험 부족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육자가 인식하는 바람직한 대학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 내용과 방법 및 발전방안, 사례관리 교육을 위한 학회와 협회의 역할에 대해 제안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의 방향성과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