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빈곤에 관한 질적 연구

        권혁철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26 No.3

        The problem of poverty for the elderly is more of a complex phenomenon as a result of social isolation.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social isolation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ho are not subject to basic protection from the family support system is even more serious.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social implications of this group today by shedding light on how social isolation in the family, labor market, local society, and national support system worked in the course of living alone to influence poverty. In the analysis data, the case records of 410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ere analyzed qualitatively using NVivo 12.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isolation experienced by the elderly living alone occurs multidimensionally in the areas of health condition, economic condition, working capacity, family relations, community resources, labor market and national resource systems, and the sub-factories of each area are overlapping and working. Second, the social isola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not simply caused by the economic poverty situation, but affects the various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ends to overlap between generations. Third, social isolation in the various areas of life that appear to the elderly living alone affects their economic status, such as the current poverty situation, working as a risk factor. As a qualitative case study centered on the subject, this study suggested the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elderly support system and the elderly support system for the problem of social isolation and poverty of the elderly living 노인의 빈곤 문제는 사회적 고립의 결과로 나타나는 복합적 현상에 가깝다. 특히 가족지원체계로부터 기초적 보호 행위를 받지 못하는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본연구는 가족·노동시장·지역사회·국가지원체계에서의 사회적 고립이 독거노인의 삶의 과정에 어떻게 작동하여 빈곤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조명해 봄으로써 오늘날 이 집단이 갖는 사회적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410명의 사례기록지를 NVivo 12를 활용하여 질적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이 겪는 사회적 고립은 건강 상태, 경제적 상태, 근로 능력, 가족관계, 지역사회자원, 노동시장, 국가지원체계의 영역에서 다차원적으로 발생하며, 각 영역의 하위 요인들이 중첩되어 작용하고 있다. 둘째,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은 독거노인의 다양한 삶의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대 간에도 중첩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독거노인에게 나타나는 사회적 고립은 위기 요인으로 작동하면서 빈곤 상황과 같은 경제적 지위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대상자 중심의 질적 사례연구로써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고립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연구로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근거로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빈곤의 문제에 대한 노인부양 및 노인 지원체계가 갖는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 흰쥐의 편도체와 중뇌 변연체계가 강화자의 처리에 미치는 영향

        권혁철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편도체 손상과 아포모르핀 또는 할로페리들의 측핵내 주입이 수동회피과제의 습득에 어떤 효과가 있는 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편도체 손상에 의한 효과가 손상 후에 이들 약물의 측핵내 주입에 의해 변화되는 가를 알아 보았다. 72마리의 흰쥐를 편도체손상유무 (2) X 투여약물(3)에 따라 6집단에 각각 12마리씩을 할당하였다. 왕복상자를 이용한 단일시행 수동회피과제의 수행은 C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에 의해 기록되었다. 편도체 손상은 수동회피과제의 수행에 결함을 초래했다. 할로페리들의 측핵내 주입은 수행을 저조하게 하였으나 편도체 손상의 효과를 변경시키지는 않았다. 아포모르핀의 주입은 수행에 아무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편도체 손상의 효과를 어느 정도 경감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편도체가 부적강화의 처리에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편도체로부터의 입력이 측핵 도파민에 의해 조절되고 있음을 부분적으로 지지해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1)amygdaloid lesion, (2)dopamine agonist injections and antagonist injections into the nucleus accumbens, and (3)these injection treatments after amygdaloid lesion on acquisition of passive avoidance task. Seventy two rats were assigned to six groups: (1)apomorphin injected, (2)haloperidol injected, (3)saline injected, (4)amygdala lesioned and apomorphin injected, (5)amygdala lesioned and haloperidol injected, (6)amygdala lesioned and saline injected. Performances of one-trial passive avoidance task using shuttle box were recorded by program made of C language. It was found that amygdaloid lesion impaired passive avoidance learning. Haloperidol injections into the nucleus accumbens impaired the performance but did not alter the effect of amygdaloid lesion. Apomorphin injections into the nucleus accumbens had no effect on the performance but it altered the effect of amygdaloid le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amygdala is involved in the processing of negative reinforcer which is withdrawl of aversive stimulus. And it was partly supported that the input from amygdala was modulated by dopamin in nucleus accumbens.

      • KCI등재

        근이영양증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휠체어 지침 개발

        권혁철,공진용 대한작업치료학회 200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 근이영양증 장애인들의 휠체어 사용실태 및 요구를 파악하여 개개인의 신체적 특성 및 사용편의성이 증진된 맞춤형 휠체어 지침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근이영양증 장애인 67명을 대상으로 휠체어 사용 시 문제점, 만족도, 그리고 사용하고 있는 착석시스템 등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행하여, 빈도분석을 통하여 특성을 알아보았으며, 기타 외국의 문헌자료, 휠체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의견청취, 그리고 모의평가를 통하여 맞춤형 휠체어 디자인 지침을 개발을 위한 정보를 얻었다. 결과 : 근이영양증 장애인의 1일 평균 6시간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가 86.2%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고, 사용자의 71%는 착석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휠체어 사용 시 신체에 발생하는 2차적인 문제 가운데 가장 높은 것은 동통발생의 문제였으며, 기능적으로 가장 불편한 문제는 바닥에서 휠체어 좌석으로 옮겨 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근이영양증 장애인에게 맞춤형 휠체어를 처방할 때 기능에 역점을 둔 구성요소를 선택, 적용해 줌으로써 근이영양증 장애인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2차적인 신체변형이나 동통 등을 최소화 시켜주어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 향상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o describe wheelchair seating and prescription problems in patients with Duchenne muscular dystrophy(DM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management solutions that are practicable for both patient and caregiver. Methods : Sixty-eights patients with DMD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at welfare facilities. Main outcome measures are problem and satisfactions of wheelchair using, wheelchair seating system. Results : Most patients become wheelchair-bound and dependent on others for their daily activities during their life. Despite the rapid progress in basic research on the et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DMD, no clinically applicable curative therapy is yet available. It is therefore important for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to provide appropriate and timely rehabilitative ways to maximize the quality of life (QOL) of patients with DMD. Conclusion : In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of patients with DMD, wheelchair seating and prescription becomes very important. As the disease progresses, proper wheelchair seating and prescription is a way to slow deformities, maintain mobility, and enhance QOL. The wheelchair seating and prescription problems that were identified enabled specific, practical suggestions to be made for better management.

      • KCI등재

        신체장애인의 휠체어 사용에 대한 심리사회적 영향 연구

        권혁철,채수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장애와 고용 Vol.20 No.1

        이 연구는 현재 휠체어를 사용 중인 27명을 대상으로 채수영(2008)이 번안한 한국어판PIADS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은 평가지 작성을 위한 인지손상이 없는 자로, 설문에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자기-보고식의 설문으로 보조공학기기가 삶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며, 어떠한 느낌을 주는지에 대해 각 단어 또는 구문에 대해 자신의 느낌을 가장 잘표현해주고 있다고 생각되어지는 칸에 표시를 하도록 하였으며, 기기를 사용하기 전 보다 얼마나 많은 영향을(긍정적 또는 부정적) 받았는지에 대해 각 점수의 칸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성별에 따른 심리사회적 영향은 남녀 모두 적응성 하위척도에서 1.94, 1.19로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에 있어서 31세~40세의 연령에서 1.65, 1.90, 1.32로 높게 나타났고, 사용기간에 있어서는 3년 이상 사용자들이 1.40, 1.75, 1.12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PIADS의 점수 평균은 자기욕구 실현능력 하위척도에 대해 1.22, 적응성 하위척도에서 1.55, 자존감 하위척도에 대해 .95로 나타났다. 수동휠체어는 각각 .95, 1.23, .74, 전동휠체어는 1.40, 1.77, 1.09로 긍정적인 심리사회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휠체어 사용에 대한 중요도 평균은 4.73으로 나타났다. 휠체어 사용기간에 따른 점수 평균은 1년 미만의 사용자의 경우 .46, .71, .25, 3년 이상의 사용자들은 1.40, 1.75, 1.12로 사용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긍정적인 심리사회적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휠체어 사용이 신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며, 작업에 기초한 평가 및 치료와 관련된 모델과 결합하여 사용될 때 복잡한 재활 치료의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