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 청소년기 우울증의 예방 개입에 대한 고찰

        권호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2 인지행동치료 Vol.12 No.1

        아동 청소년기 우울증은 만성적이고 재발적인 경과뿐 아니라 자살과 같은 부정적 영향력과 관련하여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간주되고 있다. 전 세계의 여러 연구자들은 아동 청소년기 우울증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 검증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기 우울증에 대해 알려진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및 우울증 예방의 분류 체계를 소개하고, 다양한 우울증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와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아직까지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된 바가 없는 국내 아동 청소년 우울증 예방 연구와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을 촉진하고자 하고자 한다. Depression in youth is of high individual and social importance because of their devastating course, risk for future suicide attempt. International researcher have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depressive disorder in youth and thus have been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vention program. This article presented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main focus was an overview of current prevention programs and their efficacy. Finally this article highlighted future directions for prevention research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지속노출치료 : 강간 피해자 증례 보고 1례

        권호,권정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5 인지행동치료 Vol.5 No.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지속노출 치료는 두려워하는 상황과 기억에 직면하도록 하는 것으로, 기억의 병리적인 부분을 수정하기 위해 외상 기억을 활성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속 노출치료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 면에서 탁월한 성과를 보고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지속노출치료의 원리, 구체적인 절차를 소개하고, 20대 초반의 강간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실제 치료 사례를 제시하였다. 치료는 모두 9회기에 걸쳐 개인치료로 실시하였다. 지속 노출 치료 후, 환자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의 호전과 우울과 불안의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의 시사점과 향후 치료에서 고려해야 할 점을 논의하였다. Prolonged Exposure(PE) has been undoubtedly regarded as the most effec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treating the PTSD symptoms. Many outcome studies have validated its empirical status as the treatment of choice. This article presen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basic therapeutic techniques of PE, and a case report of female victim of sexual assault. Therapy consisted of 9 sessions and individual therapy was performed. Pre- and post-treatment evaluation demonstrated that the patient had significantly less severe PTSD symptoms and less depressed following treatment.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direction for treatment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 자살자에 대한 심리적 부검 방법론에 대한 고찰

        권호인(Hoin Kwon),김란(Ran Kim),방수영(Soo-Young Bhang),홍현주(Hyun Ju Hong),권용실(Yong Sil Kweon)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4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5 No.3

        Recently, local governments and suicide prevention centers have been trying to implement psychological autopsy. This effort has focused on adult suicide so far ;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its application to adolescent suicide. Therefore, in this study,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of Korea were reviewed, and a methodology for adolescents’ psychological autopsy was suggested. For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the psychological autopsy in adolescent suicide, cooperation with each area of the government and implementation of bodies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central system, which disseminates the standardized interview to the community and manages the data nationwide, should be prepared.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diagnosis and to obtai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 structured interview should be adopted as the psychological autopsy, as well as considering the use of social media. Investigation of specific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icide through psychological autopsy can enable de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point for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 KCI등재
      • KCI등재

        인구절벽시대의 균형목회

        권호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8 복음과 실천신학 Vol.46 No.-

        Korean Church now stands on the demographic cliff. At a sudden moment, according to Harry S. Dent, a nation or population of it will abruptly decrease as a shape of deep cliff like a inverted triangle. Falling down from the cliff, Korean society will experience low birthrate, declining working-age population, and ageing population. In the stream of this phenomenon, Korean Church will face several problem like decrease of Sunday school, crisis of church finance, and surge of aging church member. This paper will analyse the influence of the demographic cliff on Korean Church and suggest remedies to overcome it. The first step that Korean Church should take is to recognize current influences and imminent impacts in the era of demographic cliff. As the first step, the paper will analyse problems in the Korean church that the demographic cliff brought already or will bring in the near future. As a next step, the paper will present remedies named ‘balanced church ministry’ to conquer the problems. If the demographic cliff impacts upon several generations and aspects, then remedies for theses should be various focuses on young generation, working-age population, and ageing population. Then, Korean pastors should build up balanced church ministry to cope with problems of low birthrate, decrease of church finance, and increase of aging church member. 한국교회는 지금 ‘인구절벽’(The Demographic Cliff) 앞에 서있다. 인구절벽은 미국의 경제학자 Harry S. Dent가 소개한 이론으로 어느 순간을 기점으로 한 국가나 구성원의 인구가 급격히 줄어들어 인구 분포가 마치 절벽이 깎인 것처럼 역삼각형 분포가 될 것이라는 이론이다. 한국사회는 인구절벽으로 추락하면서 저출산, 생산가능인구 감소, 인구 노령화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한국교회는 주일학교 감소현상, 교회의 재정위기, 고령성도 급증이라는 문제를 맞닥뜨리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인구절벽이 한국교회 목회현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것에 대한 극복책 몇 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교회가 지금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인구절벽으로 이미 시작된 문제와 앞으로도 계속될 충격들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인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각 장의 전반부에 인구절벽이 목회현장에 어떤 문제를 가지고 왔는지, 혹은 가지고 올지를 분석할 것이다. 인구절벽으로 인한 목회현장의 문제를 분석한 후에 중요한 것은 그것을 극복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목회자가 인구절벽시대에 교회를 안정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균형목회가 필요하다. 인구절벽의 문제는 여러 세대에,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것이다. 그렇다면 대책도 한 세대, 한 부분에 맞추어서는 안 된다. 적어도 다음세대, 생산가능세대, 고령세대로 구분하고, 그에 따라 저출산의 문제, 재정감소의 문제, 고령성도 급증의 문제에 대해 정확한 감각을 가지고 적합한 대책을 세우는 균형목회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