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문집 번역시 산견되는 저자 중복 사례 및 저자 비정

        권경열 한국고전번역학회 2017 고전번역연구 Vol.8 No.-

        A collection of literatures is a collection of things that one person has ever written throughout his life. The writings of various genres are all contained in one collection. The problem is that most literatures are edited and published by others after death. As a result, it often happens that writers' writings are inserted mistakenly. The role of translation to translate the collection on the discovery of such errors is very important. As a person who has carefully read the document collection more than anyone, it can be said that the translated text translation has the best understanding of the author's stylistic personality. Therefore, when paying a little attention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it can be discovered that it is not difficult, whether this duplicate work or not. This article prepared to introduce the actual case mainly about how the translator can find these errors in the process of translated text translation. 문집은 한 개인이 평생토록 저술한 것 중에서 정수가 될 만한 것들을 추려서 엮은 것이다. 다양한 장르의 저술이 하나의 문집 안에 모두 결집되어 있다. 문제는 대부분의 문집이 사후에 타인에 의해 편집되고 간행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타인의 저작이 착오로 삽입되는 경우가 종종 있게 된다. 이런 오류를 발견하는데 있어서 문집을 번역하는 역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문집 역자는 해당 문집을 누구보다도 정독한 사람으로서, 저자의 문체적 개성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번역하는 과정에서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이런 중복 작품 여부는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본고는 역자들이 문집 번역 과정에서 어떻게 이런 오류를 발견해 낼 수 있는지 실제 사례 중심으로 소개하기 위해 준비하였다. 이해를 돕기 위해 사례마다 저자를 변정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제시하였으나, 작품 자체의 문학성에 대한 분석은 하지 않았다.

      • KCI등재

        石菱 金昌熙의 古文論 考察

        권경열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4 동양한문학연구 Vol.19 No.-

        본고는 19세기의 古文理論家인 石菱 金昌熙의 古文論 일단을 살펴 文學史에서 올바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일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그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그는 古文을 순수하게 문장 자체로서 인식하고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내면의 수양을 통한 자연스러운 문장을 古文으로 파악하였으며, 法古보다는 創新에 더 의미를 부여하였다. 또한 古文과 四六文의 高下는 작자에게 달려 있는 것일 뿐, 문장 본연의 體格이나 指向點은 같다는 여유 있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그는 효과적인 고문 창작을 위해서는 먼저 마음의 깨달음, 즉 隻眼을 열어 悟解를 가진 후에 讀書의 妙理를 얻어야 한다고 보았다. 아울러 사물을 잘 관찰하라는 善觀과 讀書時에 古人의 苦心 按排處를 파악하고 作文時에 後人들이 알기 쉽게 글을 지으라는 뜻의 逆覩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19세기 文論史에서 그의 位相에 대한 판단은 현재까지 그의 師承關係와 交遊關係를 밝혀줄 결정적인 자료가 발견되지 않고 있어서 차후로 미루기로 한다.

      • KCI등재

        崔致遠 저술의 번역 현황 및 과제

        權敬烈(Kyoung-Yeol, Kwon) 한국고전번역원 2010 民族文化 Vol.- No.34

        孤雲 崔致遠은 신라에서 태어나, 일찍이 중국으로 건너가 文才를 떨친 인물이다. 그의 저술들은 文史哲 연구자들에게 두루 활용가치가 높은 자료이다. 儒?佛?仙 3敎의 사상이 담겨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 국내외적인 사회, 문화, 정치 등과 관련된 가치 있는 정보들이 내포되어 있다. 완성도 높은 문학 작품도 감상할 수 있다. 고대사 관련 자료가 많이 남아있지 않은 상황에서 그의 저술들을 번역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가치가 있는 고운의 저술들이 현재까지 어떻게 번역되어 왔는지,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를 검토하여, 향후에 있을 번역 작업의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고운은 많은 저술을 남겼다. 생전에 이미 『桂苑筆耕集』20권, 『今體詩』1권(5수), 『五言七言今體詩』1권(100수), 『雜詩賦』1권(30수), 『中山覆寶集』5권을 스스로 편집하여 나라에 바쳤다. 또한 『三國史記』의 <崔致遠傳> 기록에 의하면 문집 30권이 있었고, 그것이 사라진 뒤 世祖의 어명으로 편찬한 12권의 문집이 있었다. 그러나 이 문집들은 모두 佚失 되었고, 1926년에 후손인 崔國述, 崔勉植이 각각 간행한 문집이 현재 세상에 유행하고 있다. 또한 조선 광해군 연간에 鐵面老人이라는 승려가 그의 저술 중에서 高僧의 碑銘 4편을 따로 발췌하여 『四山碑銘』을 편찬하였다. 지금 남아 있는 것은 이들 『桂苑筆耕集』, 『孤雲先生文集』, 『四山碑銘』뿐이다. 따라서 고운의 저술에 대한 번역 현황 검토는 이 세 종류의 번역서에 한정될 수밖에 없다. 『桂苑筆耕集』의 번역은 모두 2차의 성과가 있었다. 1972년 崔濬玉 등이 편역한 『國譯孤雲先生文集』에 포함된 『桂苑筆耕集』이 최초의 성과물이다. 다음으로 금년에 한국고전 번역원에서 李相鉉의 번역으로 독립적인 번역서가 출간되었다. 『孤雲先生文集』의 번역 성과는 『桂苑筆耕集』의 경우와 같다. 다만, 崔英成이 1999년에 大東文化硏究院에서 영인한 『崔文昌侯全集』을 저본으로 하여 『譯註 崔致遠全集』을 간행한 것이 추가된다. 기존 번역서와 다른 점은 <孤雲先生事績>을 제외하고, <孤雲先生續集>이 추가되었다는 것이다. 『四山碑銘』은 다른 저술들에 비해 번역서가 많이 출간되었다. 1972년 洪震朽에 의해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1973년 『국역 고운선생문집』이 번역되면서 그 안에 포함되어 있던 사산비명도 자연스레 번역이 되었다. 1987년에 와서 최영성이 전문적으로 연구, 번역한 『註解四山碑銘』을 내놓았다. 그는 3년 뒤 1990년에 『최치원의 사상연구』의 부록인 <주해사산비명>에서 일부 오류를 바로 잡았다. 1992년에 韓國古代社會硏究所에서 韓國古代金石文을 譯註하였는데, 사산비명 또한 그 속에 포함되었다. 1993년 李智冠이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에서 사산비명을 번역하였다. 1995년에는 李佑成이 문하생들과 『新羅四山碑銘』을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1998년에는 다시 최영성이 본인의 기존 번역서를 증보하여 『譯註 崔致遠全集』속에 포함하여 간행하였다. 금년에 간행된 한국고전번역원의 『고운집』속에도 사산비명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기존 번역서를 검토하면서 내린 결론은 학계연구자와 전문번역자의 작업이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존 성과의 축적이 이루어져서 후속 작업이 이전 작업의 토대 위에서 출발할 수 있지 못하는 비효율적인 구조이다. 학계의 연구자와 전문 번역자가 지닌 각각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수준 높은 한문 원전 해독 능력을 갖춘 연구자가 학계에서 다년간 관련 분야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번역을 진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조건을 구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학계의 연구자나 전문 번역자가 각자의 분야에 서 자신의 특장을 최대한 발휘하는 것이 중요하다. 엄밀하게 선후를 구분해보자면, 연구 가 선행되어야 한다. 소논문 분량의 주석 자료가 활발하게 만들어져야 한다. 번역서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고사 용어의 주석 처리 여부, 적절한 주석량의 산정, 고사나 용어의 출전이 되는 原文의 인용 범위 등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하는 작업도 병행 되어야 할 것이다. 현전하는 고운의 저술은 오래된 저작 연대만큼이나 많은 異本이 존재한다. 또한 초기에 간행되었던 원본은 대부분 전래 과정에서 佚失되고, 먼 후대에 이곳저곳에 산재되어 있던 것들을 일부 수습한 것이 전부이다. 당연히 내용상에서도 많은 오류와 착간이 발견되고 있다. 표준 텍스트의 비정이 시급한 실정이다. 번역서가 연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고전번역원에서 번역한 『계원필경집』과 『고운문집』을 계기로 고운 저술의 번역은 한층 더 발전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되었다. 향후로도 기존 번역서들의 단점을 지속적으로 보충하여 완정한 번역서가 나오기를 기대 해 본다. Gowoon(孤雲) Choi, Chi Won(崔致遠) was bom in Shinra(新羅) and he was known for his literary talent after he moved to China. His writings are highly assessed data for 文?史?哲 researchers. It contains philosophy of 儒?佛?仙 3敎 as well as valuable information related to society, culture, and politics in home and foreign at the time. Literary works of high quality can be monitored. The process of translating his works is very meaningful since not so much of data on ancient history remains. In this manuscript, the direction for future translation is to be proposed by reviewing how the writings of Gowoon has been translated and what merits are being held at present. Gowoon has left many writings. He edited and dedicated many writings to nation such as 20 『桂苑筆耕集』, 1 『今體詩』(5 pieces), 1 『五言七言今體詩』(100 pieces),1 『雜詩賦』(30 pieces), and 5 『中山覆?集』.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cord on <崔致遠傳> of 『三國史記』,30 《collection of works》 existed. However, when it disappeared, 12 pieces of collection of works edited in accordance to royal order of Sejo(世祖) existed. Unfortunately all collections of such works have been lost and collections of works issued in 1926 respectively by descendants of 崔國述 and 崔勉植 are in fashion at present. In addition, during the years of Joseon(車月鮮) Gwang-Hae Gun(光海君),a Buddhist monk named 鐵面老人 edited 《四山碑銘》by individually extracting 4 series of 碑銘 of religious dignitary. The only remaining writings are 『桂苑筆耕集』, 『孤雲先生文集』, and 《四山碑銘》. Hence, the translation status review on writings of Gowoon is limited to three kinds of translated version. The translation of 『桂苑筆耕集』 had 2nd outcome in overall. The initial outcome is 『桂苑筆耕集』 included in 『國譯 孤雲先生文集』 translated by 崔濬玉 and others in 1972. The 2nd outcome is the independently translated version established this year by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s translation of 李相錢. The translation outcome of 『孤雲先生文集』 is similar to that of 『桂苑筆耕集』. However, 崔英成 issued 『譯註 崔致遠全集』 in 1999 by using 『崔文昌侯全集』 photoprinted from 大東文化硏究院 as a draft and this has been added. The difference from preexisting translated version is that <孤雲先生事績> has been excluded and <孤雲先生續集> has been added. Compared to other writings, many translated versions of 『四山碑銘』 have been established. Initial translation was done by 洪震杓 in 1972. In 1973, 『國譯 孤雲先生文集』 was translated and 四山碑銘 which was included in it was also naturally translated. In 1987, Choi, Young Sung issued 『註解 四山碑銘』 after performing professional research and translation of it 3 years later, he corrected partial fallacy of <註解 四山碑銘> which was an appendix of 《Choi, Chi Wons Philosophy Research》 In 1992, 『The Korean Ancient Epigraph』 was translated and annotated by Researching Institute of Korean Ancient Society and 四山碑銘 was included as well. In 1993, 李智冠 translated 四山碑銘 in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 In 1995, 李佑 成 and disciples translated and issued 『新羅四山碑銘』. In 1998, Choi, Young Sung enlarged his preexisting translated version and included it in 『譯註 崔致遠全集』 for establishment. In this year, 四山碑銘 is also included in 『孤雲文集』 issued by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conclusion resulted by reviewing preexisting translated versions is that organic relationship isnt formed between the works of researchers of academic world and professional translators. It is an inefficient system that follow-up process cannot be built on top of what has been accumulated as outcome in prior to it The cause of it is that merits held respectively by researchers of academic world and professional translators arent sufficiently applied. The most appropriate way is to process translation based on result of professional research on field experienced by academic world that is researched by the researcher holding high level of capability in decoding the original text of Chinese writ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possess such condition in reality. It is important that researcher of academic world and profe

      • KCI등재

        한문고전번역의 특성과 과제

        권경열(Kwon, Kyoung-Yeol)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논총 Vol.28 No.-

        근대화, 산업화시기를 거치면서 뒷전으로 밀려났던 한국한문고전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도가, 최근 국가의 막대한 예산 지원을 받는 번역 전담 공공기관의 출범과, 권역별 거점연구소의 번역 사업 참여 시스템 구축, 의궤 등 해외문화재의 환수와 같은 환경의 변화와 맞물려 크게 제고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런 변화의 중심에 서 있는, 번역 전담 공공기관인 한국고전번역원의 번역시스템을 중심으로 한문고전번역의 시대성과 현황, 그리고 특수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국가 주도의 번역시스템 하에서 노정될 수 있는 특수한 상황들을 실무자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이 기관에서 오랜 기간 사업을 수행하면서 축적해 온 번역 방식과 실무 경험, 딜레마 등은 번역학 연구자의 입장에서도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 기관에서는 전신인 민족문화추진회가 설립된 1965년부터 2010년까지 『조선왕조실록』 등 100여종 1,000여 책이라는 방대한 번역서를 출간해내었다. 『한국문집총간』 같은 원전정리사업과 후속 번역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또한 기 출간 성과를 DB로 구축하여 서비스하고 있으며, 연 2회의 학술회의 개최, 『번역연감』 간행 등의 활발한 사업을 하고 있다. 이런 국가 주도의 번역이 갖는 특징은 독자들이 번역서를 공공재로 인식함에 따라 주된 독자층의 설정이 어렵다는 것과, 통일성 추구에 따른 번역문의 몰개성화가 나타나고, 그로 인해 번역가의 불가시성(invisibility)이 심화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국가 기관이 주도하는 번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연구자를 주 독자층으로 하는 연구자 중심의 번역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원저자가 저작했던 시기의 고풍스런 느낌이 전달될 수 있는 번역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성과주의에 매몰되지 말고 개인의 개성이 발휘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 학계와 번역자의 유기적인 협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 출간 시스템을 선(先)온라인 출간, 격년 서책형 출간 시스템으로 바꾸어야 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한국한문고전번역은 기본적으로 원천언어와 목표언어가 이질적인 언어라는 면에서는 일반 번역의 경우와 같지만, 한반도라는 동일한 공간적 배경을 지녔다는 것은 특이한 점이다. 국가가 주도적으로 번역을 계획하고 지원하고 있다는 사실까지 더하면 번역학적으로도 흥미로운 연구 대상인 것만은 분명하다. 학계의 지속적인 연구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National Attention about Korea Chinese Classic Books, which had been fallen behind through the time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s now being reconsidered with along the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such as establishment of public organization in full charge of translation receiving huge budget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e construction of participation system for translation business of Regional Foothold Institute, and the redemption of our cultural assets (properties) from overseas countries like Uigwe (collection of documents from the Chosun Dynasty). On this report, I looked into the spirit of the age and the statu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韓國古典飜譯院), and analyzed the special circumstances which can be exposed under the government dominated translation system from the hands-on worker’s viewpoint. That’s because I understood that the translating know-how and hands-on experience and dilemma which I have accumulated for a long time while was carrying out the business in this organization could become very important materials in my view as an exegete. In this organization, they published about 1.000 volumes of books in about 100 kinds including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朝鮮王朝實錄)』, till 2010 from 1965 when ‘The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民族文化推進會)’ established which is the predecessor of this organization. They do the educational work to raise follow-up translators, and also readjustment project of original text like 『Korean Literary Collections of in Classical Chinese(한국문집총간)』 at once. Besides, they work very actively establishing DB of previously published materials and offering them, and holding academic conferences 2 times a year, and publish 『Korean Classics Translation Yearbook(古典飜譯年鑑)』 The characteristics of this government dominated translation are: it can hardly set up a class of main readers while the readers are recognizing the translated version as public goods, and the individuation of translation appears while perusing unity. And that deepens the invisibility of translator. The directions that government dominated translation should take are as follow: Translation should be done researcher-centered, having the researchers as a class of main readers. Translation should be done letting readers feel the antique atmosphere of the time when the original writer wrote the book. Institutional strategy should be provided to allow translators to work out their own individualities not being performance oriented. Translators and the academic world need to cooperate organically. Publication system needs to be changed into, first on-line publication, and then publication in books every other year system. Korea Chinese Classic Books Translation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general translation, since their Source language and Target language are different each other, but the unusual point is it has the same spatial background that is Korean peninsula. It is so sure that it is a very interesting objective of study when we even think of that government is playing the leading role in planning and supporting translation. Now is the time for the academic world to support study continu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