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甲骨文‘于’動詞說 再考

        류동춘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3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7

        본고는 갑골문에 보이는 于의 동사용법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고대 중국어에서 가장 활발히 사용된 개사인 于는 은허 갑골문에서도 많이 등장한다. 羅振玉이 복사에서 于를 처음 고석한 후 楊樹達이 처음 동사설을 제기하였다. 이후 郭錫良, 張玉金 등이 于의 동사용법 용례를 제시하고 개사 용법이 동사 용법에서 기원하였다는 견해를 제기하였지만, 이에 대한 반대 의견도 적지 않다. 于의 동사 용법 유무는 복사의 해독과 중국어 개사의 기원을 규명하는 데 관건이 될 뿐만 아니라, 언어유형론의 ‘범언어적으로 개사는 대부분 동사에서 문법화되었다’는 이론이 중국어에도 유효한가를 판별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본고는 우선 갑골문 속의 于의 동사 용법에 대한 역대 연구를 개관하고, 시경을 비롯한 문헌자료를 대상으로 한 연구성과를 검토하고 역대 연구자들이 동사 용법의 용례로 제시한 복사를 분석하였다. 본고의 검토 결과 복사에는 명확한 동사 용법이라 볼 수 있는 于는 발견할 수 없었다.

      • KCI등재후보

        韓國略字與簡化字的對比硏究試探 --以形成規律與字形爲中心

        류동춘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09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1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simplification rules and the resulting figure between Korean & Chinese simpler form of Chinese characters. At first We take a look at the history of the shape of a Chinese character`s simplification, to generate simplification rules. We introduce main opinions about the time when the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appear in Korean documentary records. and we induce the simplification rules based on simpler form now widely u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paper Korean & Chinese simpler form of Chinese characters appear the same pattern in general, that is to say often used characters which the number of strokes is large are mainly simplified. However, to Koreans Chinese characters are borrowed letters anyway, and it is not easy to reflect the changing pronunciations, so the simplification of the shape is mainly used. Through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simpler form and simplification rules we ultimately need to seek the smooth communication within the Sinosphere by the unification of the Korea, China and Japan`s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卜辞里所见否定词‘不’和‘弗’的差别

        류동춘 한국중국학회 2012 國際中國學硏究 Vol.0 No.15

        本稿探讨甲骨卜辞里表示否定的两个成分‘不’和‘弗’的差别。 为了纠明两者之间的差异本稿先检讨先行研究。 结果本稿归纳诸家关于卜辞里‘不’和‘弗’差别的三点主要见解。 那就是1)‘不’所结合的动词范围比较广, ‘弗’只用在具有动作性的及物动词之前。 2)‘不’和谓语动词之间可以出现多种成分, ‘弗’和谓语动词之间只允许出现副词。 3)‘不’用在一种客观的否定, ‘弗’所否定的动作有时含有人的主观意志性。 随后, 本稿利用华东师大中国文字研究与应用中心的数据库找出的卜辞里7780个含有‘不’的和1821个含有‘弗’的刻辞做基础资料, 比较出两者的语法和表义功能上的差别。 最后本稿得出的差别为: 1)两个否定词后面出现的谓语, 主要或唯一‘弗’后面出现的动词有俟(栽)、 佻(執)、 及、 侧(它)、 雉(陈)、 俧(擒), 而仅出现于‘不’后面的谓语有遘、 死; 吉、 玄(冥); 易(日)、 雨、 佬(雨)、 佩(启)。 2)‘不’后面动词一般不取宾语; ‘弗’后面动词一般都取宾语。 3)‘不’各种成分可以充当谓语的主要成分, 例如动词句, 形容词句; ‘弗’只能出现动词句。本稿认为两者之间呈现这些差别的主要机制是‘弗’否定的是‘有意志’的动词。 动词的‘及物性’不能圆满解决整个被‘弗’否定的句子。 虽然常被‘弗’否定的动词‘俟(栽)’‘及’‘佻(執)’‘側(它)’‘俧(擒)’‘雉(陳)’确实都属于‘表示人与人之间的行为、 活动, 因而可带受事宾语或对象宾语’的‘及物行为动词’。 不过 ‘弗’后面出现的次数显著的动词‘每(悔)’却属于‘不及物感知心里动词’。 可以概括这些动词特征的仅有‘意志性’。 除此之外, 不能被‘弗’否定的动词和形容词也可以用‘意志性与否’来解释。 还有, ‘弗’后面不能出现‘隹’结构的原因和‘弗’后面的动词常带宾语的现象也都可以用动词的意志性来解决。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갑골문에 보이는 목적어의 어순 변화 양상 연구

        류동춘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2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3

        현재 중국어 속에서 동사와 목적어의 기본 어순은 VO 어순이지만 선진시기의 중국어에는 OV 어순이 적지 않게 보인다. 선진시기 이후에 중국어의 OV에서 VO로 통시적 변화 과정에 대해서는 선행 연구가 적지 않지만, 갑골문에서는 OV 혹은 VO 어순이 어떤 양상인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깊이 있는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갑골문을 대상으로 하여 가장 이른 시기 중국어의 동사와 목적어의 어순을 문형과 품사에 따라 나누어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갑골문에는 이후 시기에 비해 OV 어순이 더 많이 보이며, 이는 중국어의 어순이 OV에서 VO로 변화하는 추세로 볼 때, 언어변화의 원칙에 부합한다. 아울러 본고에서 처음 찾은 긍정문 속 대명사 목적어의 OV 어순 증거는 기존 견해에 따르면 설명할 수 없었던 갑골문에 없던 OV 어순이 왜 후대에 출현하는지를 해결해 준다. 즉, 갑골문 긍정문에서 공존하던 VO 어순과 OV 어순이 후대에 점차 VO 어순으로 수렴되었으며 이는 어순 변화가 단계적으로 진행되었음을 증명한다. 갑골문에서 명사 목적어가 대명사 목적어보다 일찍 VO 어순으로 변화한 것 또한 범언어적 경향과 일치한다. 마지막으로 목적어가 명사인 경우, 술어 전체에 초점이 있는 대정복사보다 목적어에만 초점이 있는 선정복사에 OV 어순이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데, 이것은 어순과 초점의 관련성을 보여준다. 갑골문에 보이는 이런 양상은 중국어 목적어 어순의 통시적 변화의 흐름에 어긋나지 않으며, 언어 보편적 원칙에도 부합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