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昔有桓國(謂帝釋也)’의 가필 가능성 연구

        박정학 바른역사학술원 2019 역사와융합 Vol.- No.4

        1281년을 전후한 시기에 편찬된 일연스님의 『삼국유사』 앞부분에는 옛 책의 기록을 인용(古記云)하여 “오래 전에 환국임금의 아들인 환웅이 있었다(昔有桓國 帝釋庶子桓雄)”로 시작하여 환인의 환국-환웅의 신시-단군왕검의 고조선으로이어지는 우리 겨레의 뿌리 역사가 기술되어 있다. 그런데, 지난 세기 초 일제가 우리 강토를 점령한 후 우리 역사를 자기들보다늦추기 위해 단군신화라 하여 단군 이전의 모든 역사를 신화로 조작하면서 나라이름인 환국의 國자를 사람이름인 因자로 고치고, 환국 옆에 ‘임금을 말한다(謂 帝釋也)’는 주석을 달아 “오래 전에 하느님(환인)의 아들 환웅이 있었다(昔有桓因 謂帝釋也庶子桓雄)”라고 만들어 신화라는 것을 더욱 믿게 만들었다. 지금 우리나라의 많은 학자들과 정부기관에서도 일본이 왜곡해놓은 논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국사교과서에서조차 환인(하느님)의 아들 환웅이라고 가르칠 정도가 되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판본마다 다른 자를 因자로 보아 ‘桓因’이라 읽은것은 잘못이고 모두 國자로서 ‘桓國’이라 읽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남구만의 『약천집』과 이종휘의 『수산집』에서 자신들이 본 『삼국유사』에는 ‘昔有桓國帝釋 庶子桓雄’라고 적혀있었다는 내용이 타당한 이유를 논증하여 “오래 전에 환국 임금의 아들인 환웅이 있었다”하고 해석함으로써 선사시대 우리 겨레의 역사를 바로잡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고분자-금속착물(Ⅳ)ㆍPolypropyleneimine-Ni(Ⅱ) 착물의 촉매활성도

        金東洙,曺泰燮,石元慶,朴正學 嶺南大學校附設 基礎科學硏究所 1982 基礎科學硏究 Vol.2 No.-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중합체 리간드 사슬에 치환기가 있거나, 분자량이 큰 중합체 리간드는 금속착물의 촉매작용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치환기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증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함으로써 금속착물의 촉매작용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메틸기보다 더 큰 알킬기(에틸,n-프로필 등)를 가졌거나 여러가지 분자량을 가진 중합체 리간드로 된 금속착물의 합성 및 촉매활성도 조사가 현재 진행중에 있으며 이 실험결과는 이미 합성된 PPI 리간드의 분자량과 함께 다음의 완보에 발표될 것이다.

      • SCOPUSKCI등재

        고분자-금속착물 (제2보). 몇가지 Ni(II)-Polyethyleneimine 착물의 촉매활성도

        박정학,조태섭,Jung Hag Park,Tae Sub Cho 대한화학회 1981 대한화학회지 Vol.25 No.6

        두 가지의 팔면체형 Ni(II)-polyethyleneimine (PEI) 착물, [Ni(PEI)]$Cl_2$ 및 [Ni(PEI)$Cl_2$]를 합성하여 과산화수소 분해반응에서 이들 착물의 촉매활성도를 조사하고, 유사한 구조를 한 ethylenediamine 착물, $[Ni(en)_3]Cl_2$ 및 $[Ni(en)_2Cl_2$의 촉매활성도와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순서로 촉매 활성도가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 $0{\approx}[Ni(en)_3]Cl_2{\le}[Ni(en)_2Cl_2]<[Ni(PEI)]Cl_2<[Ni(PEI)Cl_2]$ 가시선 및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두 가지 Ni(II)-PEI 착물의 구조를 조사하여 본 결과 이들 착물의 촉매활성도는 배위자와 Ni(II)이온사이의 결합세기에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Two types of Ni(II)-polyethyleneimine (PEI) complexes, [Ni(PEI)]$Cl_2$ and [Ni(P-EI)$Cl_2$] were synthesized and their catalytic activities in the decomposition reaction of hydrogen peroxide were investigated.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the corresponding monomeric complexes, $[Ni(en)_3]Cl_2$ and $[Ni(en)_2Cl_2$ were also prepared; it was observed that their activities increase in the following order; $0{\approx}[Ni(en)_3]Cl_2{\le}[Ni(en)_2Cl_2]<[Ni(PEI)]Cl_2<[Ni(PEI)Cl_2]$ On the basis of structural analysis by means of visible and infrared spectroscopy, the catalytic activiy of these Ni(II)-PEI complexes is assumed to depend on the bond strength between the ligand and the nickel ion.

      • 국사교과서에 남은 일제 식민사관의 잔재 연구 - ‘반도사관’을 중심으로

        박정학 간도학회 2019 간도학보 Vol.2 No.2

        All nations make sure their citizens learn the history of their own nation. It helps citizens understand not only themselves but also their country and people who live within and build a social consensus that eventually becomes the driving force of the future. ‘Building up identity’ is the goal of the education of national history. The Korean people survived Japan’s brutal colonial rule, the Korean war, and military conflict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and, only in 50 years of time after being liberated from Japan, Korea became a part of the leadership in the Global communities as a member of OECD and APEC, and became one of the 10 biggest economic giants. National history textbooks, however, that are used from the 5th grade of the primary schools through Junior-high schools and to High schools, do not cover the driving force of such achievements. The Korean people, and also global citizens, do not understand well Korea and the Korean people who have made K-wave. This is what remains as a part of the colonial view of the history. In the previous century, Japanese colonial rule violated Korea’s national sovereignty and extorted territory, and the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under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anipulated Korean history, during the 1920s and 1930s, to align it with the colonial view in order to annihilate the Korean people. The current education of Korean history is not free from the frame. There are many types of colonial views of history including Dangun mythology, ‘identity theory’ that claims the inherited inferiority of the Korean people, distrust in early historical records of Samguk Saki, and the peninsulahistorical view that claims the Korean people have made their lives only within the small Korean peninsula. This study, however, focuses on the peninsulahistorical view that remains in national history textbook (including Society, history and national history). The current national history books provide an explanation about people in pre-history era as Old stone and New stone age, but do not properly describe their human society according to the global history of human society that is clan, tribe or tribal union, and treated pre-Gojoseon era as a mythological era. It results in exclusion of life of remote ancestors or limitation of their life only in the Korean peninsula as if they lived only within the peninsula. Following up on this, the textbooks consider Goryeo’s unification of Later Three Kingdoms as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ople’ to cut out Balhae from the Korean people’s nations and regard descendants of Balhae as the alien or a northern race even though they had been a part of the Korean people for 33 million years from Gojoseon to Goguri and Balhae. The textbooks manipulate the history that the Korean people, from Goryeo, pursued to gain territorial power only over the Korean peninsula without Manchuria. No maps indicate Kando as Korean territory although the textbooks explain that ‘Kando has been transferred to Qing dynasty in return of Japan’s gaining railroading rights in Manchuria in 1909’ The constitutional law does not necessarily include the territory clause. The 50% of the Nations do not set the territorial boundary in the constitutional law because it can change over time. Korean constitutional law, however, voluntarily limits its territory by claiming that ‘our territory is the Korean peninsula and annexed islands’ and does not claim territoriality over Kando even though the 1909 Kando agreement is invalidated by the international law. When it comes to developing contents of textbooks, it follows official approval scheme that the government sets the editorial instruction, history scholars including professors and teachers write, and the deliberative body decides whether the completed textbooks can be used or not. The authorized history textbooks made by the government and history academia willingly stick to the colonial historical view set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t is the reason Japanese look down on Korean and made them conduct economic retaliation against the Korean Supreme court’s decision. The rebound of Korea can only be assured when Korea manages to get out of the bridle. 세계 모든 나라는 자국의 역사를 모든 국민들에게 필수적으로 가르친다. 모든 국민들이 자기 자신과 자기 나라, 그리고 그 속에 함께 살고 있는 사람들에 대해 알고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더 밝은 미래를 만들어갈 원동력으로 삼기 위함이다. ‘정체성 함양’이 국사교육의 목적인 것이다. 우리 겨레의 경우 지난 세기에 일제의 잔혹한 식민통치와 6.25전쟁, 남북 군사대치라는 엄청난 시련을 겪으면서도 광복 후 반세기만에 OECD와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할 정도로 세계의 지도국이 되었고, 10위권의 경제대국을 이루는 한강의 기적을 만들어낸 저력을 발휘했다. 그런데도 현재 초등학교 5학년 사회 과목으로부터 중학교 역사, 고등학교 한국사까지 학교에서 필수로 가르치고 있는 국사교과서에는 그런 민족저력이 어디에서 나오는지 알 수 있는 내용이 없다. 민족정체성을 함양시키지 않는 것이다. 그러니 한강의 기적과 확산되고 있는 한류에도 불구하고 우리 스스로나 세계인들이 우리나라와 겨레에 대해 제대로 알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은 일제 식민사관의 잔재다. 지난 세기 일제는 우리 국토와 국권을 강탈한 후 우리 민족을 말살시키고 일본인으로 만들기 위해 1920년대부터 30년대 후기까지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를 통해 우리 역사를 원래의 역사와 다른 식민지 역사로 조작했었는데, 지금도 그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그들이 조작한 식민사학은 단군의 고조선 건국은 역사가 아니라는 단군신화론, 우리 겨레가 원래부터 미개했다는 정체성론,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 예부터 좁은 한반도에서만 살아왔다는 반도사관 등 많지만, 이 논문에서는 현재의 국사(사회, 역사, 한국사) 교과서에 남아 있는 반도사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의 각 급 학교 국사교과서를 보면, 선사시대를 구석기-신석기 시대라 하여 당시 사람들이 사용한 도구의 질로 시대이름을 붙임으로써 마을(씨족, 부족), 고을(부족연맹) 등 그 사람들이 구성했던 인류사회 공동체의 규모와 위치를 알 수 없게 하고 있다. 심지어 고조선과 그 이전을 신화시대로 만들어 실제로 살았던 우리의 먼 조상들의 삶의 현장을 내팽개치거나 한반도를 중심으로 그 흔적을 찾음으로써 그때부터 한반도 안에만 살았던 것처럼 만들어 놓았다. 고려의 후삼국 통일을 민족 재통일이라면서 우리 민족의 나라인 발해를 버리기 시작하여, 발해 멸망 후에는 고조선-고구리-발해 때까지 3,258년 간 우리 겨레로서 함께 살았던 발해의 후손들을 이민족 또는 북방민족이라 내팽개치고 있다. 그 이후에는 아예 만주지역 땅을 버리고 한반도 확보에 초점을 둔 것처럼 역사를 왜곡하고, 심지어 ‘1909년 간도협약에서 일본이 만주철도부설권을 얻는 조건으로 간도를 청나라에 넘겨주었다’면서도 간도 지역인 만주 땅을 우리 영토로 표기한 지도는 하나도 없다. 세계 50% 이상의 나라가 헌법에서 영토를 규정하지 않고 있다. 역사적으로 변화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우리나라 헌법에서는 ‘우리 영토를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고 스스로 축소시켜놓았으며, 1909년의 간도협약이 국제법적으로 무효가 되었다면서도 간도가 국제법적으로 우리 영토라는 선언조차 하지 않고 있다. 현재 국사교과서의 내용은 검인정 체제에 따라 그 내용에 대해 정부에서 편수 지침을 내리고 대학교수, 중ㆍ고등학교 교사 등 역사 분야의 학자들이 편찬을 하여, 완성된 교과서에 대해 나라의 검정 심의를 거쳐 교과서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우리 정부와 역사학계가 만든 우리 역사교과서인데도 일제가 식민통치 목적에 맞춰 조작했던 엉터리 식민사학 내용을 그대로 가르치고 있으니 일본인들이 우리를 얕잡아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최근 강제징용 관련된 우리 대법원 판결에 대한 경제보복도 이런 식민지로 얕잡아보는 인식이 작용했을 수도 있다. 이제는 우리 스스로 그 굴레를 벗어나야 미래의 대한민국 재도약이 보일 수 있다.

      • 초음파 트랜스듀서용 PZT-고분자 3-3형 복합압전체의 유전 및 압전특성

        박정학,이수호,최헌일,사공건,배진호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6 電氣電子材料學會誌 Vol.9 No.2

        PZT powders were prepared by the molten salt synthesis method. The porous PZT ceramics were made from a mixture of PZT and polyvinylalcohol(PVA) by BURPS(Bumout Plastic Sphere) technique. The 3-3 type composites were fabricated by impregnating an sintered porous PZT ceramics with various polymer matrices. The relative permittivity of 3-3 type composite specimens was shown 860-1,100 smaller than that of solid PZT ceramics(2,100), and the dissipation factors of composite specimens were about 0.02 to 0.03. The piezoelectric coefficient d$_{33}$ of composite specimens(285-328*10$^{12}$ C/N) was comparable with that of single phase PZT specimens(364*10$^{-12}$ C/N). The thickness mode coupling factor k$_{t}$(O.5-0.6) of composite specimens was comparable with that of single phase PZT specimens(k$_{t}$-0.7), and the mechanical quality factor of composite specimens was smaller than 10, and thus these 3-3 type composite specimens would be believed as a good candidates for broad band transducer applications.ons.

      • KCI등재

        리브 보강된 SC구조 벽-바닥 접합부의 거동 및 내력 평가

        박정학,Park, Joung Hak 한국강구조학회 2014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6 No.4

        Until now, wall-slab plate of steel plate concrete has been constructed by joint. But, the shear plate has problems in the workability as well as structural integr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ehavior and strength of rib stiffened SC wall-slab connection. Seven prototype specimens of wall-slab connections were fabricated and tested.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specimens was confirmed through the monotonic loading test. Based on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this study propose the strength formula of the joint was proposed.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strength formula, analytical verification was performed through inelastic finite element analysis. Effect of parameters, such as, load point, friction coefficient, on the joint strength was examined. The proposed formula yields a conservative value for most cases. 강판콘크리트(SC)구조 벽-바닥접합부는 표면 강판에 의해 콘크리트가 나뉘게 되며 이 때문에 바닥 단부의 응력 전달기구가 RC구조의 것과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브가 부착된 SC구조 벽-바닥 실험체의 거동 및 내력평가를 수행하였다. 리브가 부착된 SC벽바닥 접합부의 접합성능을 확인하기위하여 7가지의 접합부 모형을 제작하고 단조 가력실험을 수행하여 구조내력 및 거동특성을 실험결과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제안식의 신뢰성을 확보하기위해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체 변수로는 가력지점, 마찰계수이며 이들의 영향에 대해 검토되었다. 실험체 파괴모드 분석을 통해 접합부 내력을 확인하였다. 제안식은 대부분 보수적인 값으로 확인되었다.

      • 고분자-금속 착물(III) : Preparation of Polyethyleneimine and Polypropyleneimine-Cu(II) Complexes and their Catalytic Activities on the Aerobic Oxidation of L-Ascorbic Acid Polyethyleneimine 및 Polypropyleneimine-Cu(II) 착물의 합성과 L-Ascorbic Acid의 산소에 의한 산화반응에서의 촉매활성도

        朴正學 嶺南大學校附設 基礎科學硏究所 1981 基礎科學硏究 Vol.1 No.-

        Two polymer-Cu(Ⅱ) complexes with polyethyleneimine(PEI) or polypropyleneimine(PPI) as ligand, Cu(PEI)Cl₂and Cu(PPI)Cl₂, were prepared and their catalytic activities on the aerobic oxidation reaction of L-ascorbic acid(LAA)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corresponding monomeric complexes, Cu(en)₂Cl₂ and Cu(pn)₂Cl₂. It was observed that the catalytic activity of Cu(PEI)Cl₂ was twice as large as that of Cu(en)₂Cl₂, which was a little larger than Cu(pn)₂Cl₂ in the catalytic activity and that the rate of reaction was a zero order reaction in regard to the concentration of the residual LAA in the reaction mixture. Cu(PPI)Cl₂was found to retard the aerobic oxidation of LAA. On the basis of structural analysis by means of visible spectroscopy, the catalytic activity of these Cu(Ⅱ) complexes is assumed to depend on the bond strength between the ligand and the copper ion.

      • SCOPUSKCI등재

        Lactam의 중합 (제9보). Phenylphosphonyl-N,N'-bis-${\varepsilon}$-caprolactam / KOH 촉매작용에 의한 2-Pyrrolidone 의 음이온 중합

        박정학,정발,최삼권,Jung Hag Park,Bal Jung,Sam K. Choi 대한화학회 1980 대한화학회지 Vol.24 No.2

        PPBC/KOH 촉매작용에 의한 2-pyrrolidone의 음이온중합에 있어서 PPBC/KOH 몰비, KOH의 농도 및 온도가 중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PBC/KOH 몰비가 0.5일때 중합속도가 가장 빠르고 전환율도 가장 높았으며, 또 KOH 의 농도는 2몰%일때 가장 높은 전환율과 점도가 얻어졌다. $50^{\circ}C$에서의 중합은 $30^{\circ}C$에서의 중합보다 초기반응속도는 빠르나 시간이 경과할 수록 전환율과 점도가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최소자승법으로 계산하여 구한 중합속도상수$(k_p)$의 값은 $30^{\circ}C$일때 $22.4\;l/mole{\cdot}hr$ 였고 $50^{\circ}C$일때 $191.9\;l/mole{\cdot}hr$ 였다. Anionic polymerization of 2-pyrrolidone was carried out via PPBC/KOH catalysis. The effects of PPBC/KOH mole ratio, KOH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polymerization have been investigated. It was observed that the highest rate of polymerization and maximum conversion were obtained when PPBC/KOH mole ratio was around 0.5. The maximum conversion and the highest viscosity were obtained when the concentration of KOH was 2 mole percent. It was also found that while the rate of polymerization at $50^{\circ}C$ was higher than at $30^{\circ}C$ in the initial stage of polymerization, the conversion and viscosity were decreased as polymerization time was extended. The rate constant $(k_p)$ of polymerization was determined by least square method; the values of $k_p$ obtained were $22.4\;l/mole{\cdot}hr\;at\;30^{\circ}C\;and\;191.9\;l/mole{\cdot}hr\;at\;50^{\circ}C$, respectively.

      • PZT-고분자 3-3형 복합압전체 소자로 제작된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펄스에코 응답특성

        박정학,최헌일,손무현,사공건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6 電氣電子材料學會誌 Vol.9 No.10

        The pulse-echo response of the piezoceramics PZT-polymer 3-3 type composite transducers with various PVA additions were investigated. The PZT powder was prepared by the molten salt synthesis method. The porous PZT specimens will be used as a filler to make 3-3 type comosite were prepared from a mixture of PZT and polyvinylalcohol(PVA) sphere by utilizing BURPS(Bumout Plastic Sphere) technique. It was shown that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nsitivity of 3-3 type piezoelectric composite transducers could be improved than that of solid PZT transducers. The reason is that 3-3 type piezoelectric composite have low dielectric constant, density and acoustic impedance. The distance between transducer and reflector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distance calculated from the longitudinal velocity of the specimens and receiving time observed pulse-echo responses on the ultrasonic transducer analyz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