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이안(平安)문학의 한국어역에 대하여

        경화(朴敬花) 한국일본어학회 2012 日本語學硏究 Vol.0 No.35

        본 연구는 헤이안문학 작품의 한국어 번역어 중 명사(나라이름, 山·河(川)·寺, 악기, 식물)를 발췌하여 역자들 간의 일치와 불일치, 오역에 관한 사항을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은『겐지이야기(源氏物語)』(유정),『겐지이야기』(전용신),『겐지이야기』(김난주),『마쿠라노소시』(정순분),『아무도 모를 내 다니는 사랑길 원제; 伊勢物語』(구정호),『쓰쓰미추나곤 모노가타리』(유인숙·박연정·박은희·신재인),『청령일기』(정순분),『아지랑이 같은 내 인생 가게로 일기』(이미숙),『무라사키시키부 일기』(정순분) 등 9작품이다. 본고에서는 명사 중 나라이름, 山 · 川(河) · 寺, 악기, 식물에 관한 것만 보고한다. 먼저 1)나라이름 百?(くだら), 新羅(しらぎ), 天竺(てんじく), 大和(やまと) 등은 백제, 신라, 인도, 일본으로 번역자 모두 일치하고 있음에 반해, 唐?(からくに)·唐土(もろこし)는 당나라 또는 중국으로, 高麗(こま)는 고려·발해·조선으로, 胡の?(このくに)은 북이(北夷), 오랑캐의 나라, 호나라 등으로 번역되어 있다. 이러한 불일치는 역사적 사실에 준거하여 번역한다면 일치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2)山 · 川(河) · 寺는 한자어의 일본어 훈독, 음독, 한국어 한자음 등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문제는 먼저 이미 규정되어 있는 국립국어원의 ‘한글 맞춤법-외래어 표기 규정’에 따라 일치 시켜야 할 것이다. 3)악기명은 특히 불일치가 많았다.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인 악기를 자국의 고유한 음악에 맞게 형태를 바꾸어 사용한 것으로, 모양과 연주방법이 달라 여러 가지 이름으로 번역되고 있다. 이런 경우에는 굳이 우리나라의 악기이름과 일치시켜 옮기는 것보다 원음을 그대로 살려서 번역하는 것도 고유한 특징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4)분석 대상어 중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은 식물이름이다. 번역어는 억새와 물억새와 같이 구분이 애매하여 불일치하는 경우와 오독으로 인한 오역이 간혹 보인다. 이 문제는 분량이 많은 작품을 한 사람이 번역하기보다 여러 사람의 공동 작업을 통한 확인이 누락과 오역을 줄이는 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 새 중국 성립이후의 조선족전통음악 연주와 창작활동

        경화(朴京花) 한국전통음악학회 2005 한국전통음악학 Vol.- No.6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창건과 1952년 연변 조선족자치주 창립과 함께 중국정부의 민족정책의 제도하에 전통음악을 포함한 각 분야의 새로운 발전을 했다. 중국조선족음악가들은 우리 민족의 찬란한 문화예술유산의 발굴, 수집, 정리로부터 창작과 연구작업에 이르기까지 많은 일들을 하였고 많은 성과들을 이루었다. 본문에서는 주로 새중국 성립에서부터 지금까지 약 50여년에 걸쳐 전통음악연주와 창작활동에서 이루어낸 성과들을 간략하게 살펴본 것이다. 새중국 창건이후부터 지금까지의 전통음악연주와 창작활동을 보면 조선민족의 전통음악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이러한 전통을 자신만의 고유한 형식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세계적으로 감상될 수 있는 수준에 이르기 위하여 아낌 없는 노력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전통음악 연주와 창작의 상호관계를 보면 양자는 거의 시종일관하며 불가분의 관계로 걸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예컨대, 가요창작을 보면 민요의 선율을 개편한 것과 민요의 음조적특성을 적용한 작품들이나타났다. 기악작품에 사용된 보편화된 창작수단을 보면 주로 우리 민족들의 전통민요, 기악곡 또는 가요에 의해 개편한 것과 민족음악의 선율, 장단, 조식등 풍격특점을 이용하여 작곡한 것이다. 일부 작곡가들이 전통음악에 현대적인 서양작곡기법을 접목하여 기악창작의 참신한 형식을 선보였을 뿐 아니라 연주형식도 다양해진 바, 민족악기와 서양의 관현악이 결합되여 음향을 풍부하고 다양하게 하였다. 사물놀이와 같은 전통음악 연주를 중국에서 처음으로 공식무대에 올렸고, 개혁된 민족악기들도 사용되어 예술표현력을 풍부하게 했다. 끝으로 지금까지 성장을 거듭해 온 중국 조선족음악 연주와 창작활동이 21세기에 더 활발하고 폭넓게 성장해 가리라 전망한다.

      •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창립 50년래 여성작곡가들의 창작실태분석

        경화(朴京花) 한국전통음악학회 2010 한국전통음악학 Vol.- No.11

        연변조선족자치주창립50년을 기념하여 출판된 《우리 노래 50년》은 반세기 중국 조선족의 력사를 회고하고 시대별로 주요작품, 작사, 작곡가를 소개하고 가요의 시대배경, 창작과정 그리고 가요에 대한 대중들의 반영을 담은 민족문화의 귀중한 음악재부의 하나이다. 특히 여성의 입장에서 볼 때 여성작곡가들이 창작한 가요 14수(그중 동요가 11수)도 함께 선택이 되어 독자들로 하여금 그 동안 좋은 작품들을 남겨놓은 여성작곡가들에 대해 회고하고 그들의 작품을 음미해 보는 좋은 기회로도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실 우리의 여성작곡가들은 일찍 1940년대 말로부터 가요창작을 시작해 왔고 그 동안 많은 작품들을 창작하였으며 그 중에는 널리 애창된 작품들도 적지 않다. 하지만 여성작곡가들의 작품이 시대마다 분명히 많이 작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창작활동에 대한 세밀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특히 문학이나 기타방면에서 여성창작에 대한 연구가 어느 정도 되어있는 반면 음악창작분야에서는 그 연구가 거의 백지상태임을 부끄럽게도 자인할 수밖에 없다. 필자는 지난 50여 년 간 중국 조선족 여성작곡가들의 음악창작이 학문연구의 대상이 되어야 하고 그들의 창작활동과 작품들에 대한 문자정리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고 이 글을 쓰게 되었다. 따라서 본문의 연구중심은 조선족여성작곡가에 두고 그들의 가요창작활동과 작품에서 보여지는 창작의 주류와 문제점들을 살펴보려 한다.

      • 열상 감시장비 전원부 과전압 및 돌입전류 제한 기법

        경화,노신백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1

        열상 감시장비의 전원공급기 모듈 작동시 과전압으로 인한 소자들의 소손 발생 가능성, 교전원 퓨즈의 단선 발생 및 저온에서의 돌입전류 제한 기능 불안정으로 인한 초기 구동 불안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열상 감시장비의 전원부 회로를 분석, 개선하여 전원부 회로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추후에 발생 가능한 불필요한 정비/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가적으로 단상 AC전원을 입력으로 받아서 DC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군용장비의 경우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MOSFET 스위치의 전압 내압 감소 효과가 있는 컨버터 부의 토폴로지를 제안하고 기존의 회로와 작동을 비교하였다. The probability had raised because the TOD(Thermal Observation Device) shown unstable observing operation due to the high voltage stress of switch in the power supply module and unstable start-up in low temperature because of the high impedance. In this paper, the power supply module is analyzed and some components are replaced with enhanced ones. As a result, life cycle cost to maintain the TOD can be reduced. Additionally, an active clamp forward converter is proposed to decrease the voltage between drain and source of MOSFET and the operation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ircuit in this paper.

      • KCI등재

        Three new species of Arrhopalites (Collembola, Symphypleona, Arrhopalitidae) from Korea

        경화,강진순 한국곤충학회 2007 Entomological Research Vol.37 No.3

        Three new species of Arrhopalites in the Symphypleona from Korea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This work also records new occurrence of Arrhopalites habei Yosii, 1956, with brief remarks. A key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Korean species of Arrhopalites is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