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지방자치단체 자체감사의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보강,안희남,송건섭 대한지방자치학회 2010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대구시 자체감사 사례를 중심으로 자체감사 판단기준을 분석하고, 자체감사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지역은 대구광역시이며, 자료는 1995-2008년 사이 실시한 감사 사례를 활용하였고, 또한 2008년에 실시한 설문조사를 근거로 하여 문제점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구시 자체감사는 합법성 기준보다 효율성 기준을 우선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향후, 민본지향적인 민주성, 형평성 등이 기준도 많이 고려될 것으로 보인다. 효율성 중심의 성과감사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자체감사에 대한 인식전환, 법제도 마련, 자체감사인력의 전문성, 기구의 독립성 확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이용에 따른 주관적 안건강

        보강,문종원,이동훈 대한안과학회 2023 대한안과학회지 Vol.64 No.7

        Purpose: To explore the subjective eye health status of Korean adolescents by the extent of Internet use in 2009-2010 and smartphone use in 2020. Methods: We secondari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performed by the Korean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that enrolled Korean adolescents aged 12-18 years. Changes in internet use time from 2009 to 2019 and smartphone use in 2020 were examined. Questionnaires exploring subjective eye health were administered in 2009, 2010, and 2020. We performed complex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 total of 748,490 subjects were enrolled. Korean adolescents used the Internet for an average of 2.48 hours (h) on weekdays and 4.06 h on weekends in 2019, thus significantly more than the 2009 averages of 1.93 h on weekdays and 2.96 h on weekends (both p < 0.001). In 2009 and 2010, the average internet use time on weekend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eye problems (odds ratio = 1.161, p < 0.001). The average smartphone use time was 4.72 h on weekdays and 6.56 h on weekends in 2020. In that year, the average smartphone use time on weekends (odds ratio = 1.049, p < 0.001)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odds ratio = 8.636, p < 0.001)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esence of subjective health problems. Conclusions: Internet and smartphone use time on weekends affect subjective eye health. 목적: 한국 청소년의 2009년과 2010년의 인터넷 이용과 2020년의 스마트폰의 이용에 따른 주관적 안건강의 상태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중 인터넷 이용 시간을 처음 조사한 제6차(2009년) 설문 조사와 가장 마지막으로 조사한 제15차(2019년)의 평균 이용 시간을 비교하였고, 제16차(2020년)의 조사 항목 중 스마트폰 이용 시간을 분석하였다. 주관적인 시력 혹은건강 문제에 대한 문항이 포함된 제6-7차, 제16차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인터넷과 스마트폰 이용이 시력과 건강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한 여부를 복합표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는 203,252명이었다. 2019년의 일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주중 2.48시간, 주말 4.03시간으로 2009년의 주중 1.93 시간, 주말 2.96시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수치였다(p<0.001 respectively). 2009년과 2010년의 대상자에서 인터넷 이용으로 인해주관적인 시력저하가 있었다고 응답할 위험은 이용 시간이 1시간씩 증가할수록 1.16배 높았다(p<0.001 all). 2020년 스마트폰 일평균이용 시간은 주중 4.72시간, 주말 6.56시간이었다. 스마트폰으로 인해 주관적인 건강 변화가 있다고 응답할 위험은 주말 이용 시간이1시간씩 증가할수록 1.049배, 과의존 경험이 있을수록 8.636배 높았다. 결론: 주말의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이용 시간이 길수록 주관적으로 시력 문제 및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고 생각할 위험이 높았다.

      • KCI등재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으로 치료한 청소년기 단안 유두정맥염 1예

        보강,이재혁,박지혜 대한안과학회 2024 대한안과학회지 Vol.65 No.2

        Purpose: To report a case of papillophlebitis treated with an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in an adolescent patient. Case summary: A 15-year-old female with no medical history presented with a 3-day history of blurred vision and a floating sensation. The initial visual acuity (VA) was 0.0 logarithm of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in the left eye. A fundus examination revealed a blurry disc margin, peripapillary hemorrhage, and venous engorge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dicated subretinal fluid (SRF) accumulation. Both color vision and pupillary reactions were normal in bilateral eyes. Blood tests revealed no significant abnormalitie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howed mild focal papillitis, but the patient did not report eye movement pain or discomfort. The diagnosis was papillophlebitis; however, high-dose steroid treatment was not initiated due to the absence of a significant decrease in VA. A single injection of intravitreal bevacizumab was administered to address the SRF. At the 9-month follow-up, VA remained at 0.0 logMAR, and the retina demonstrated anatomical stabilization after complete absorption of the SRF without recurrence. Conclusions: Papillophlebitis can manifest during adolescence. Treatment of a 15-year-old patient with intravitreal bevacizumab obviated the need for high-dose steroid therapy and produced favorable outcomes, including preservation of VA and anatomical stabilization of the retina. 목적: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 주입술로 치료한 청소년기 유두정맥염 환자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특이 병력이 없던 15세 여자 환자가 3일 전부터 시작된 좌안 흐림과 비문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초진 시 좌안 나안시력은0.0 logarithm of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으로 확인되었다. 좌안 안저검사에서 심한 유두부종과 시신경유두를 중심으로망막출혈, 중심망막정맥 확장과 구불거림이 관찰되었다. 광학 안구단층촬영에서 좌안 망막하액이 확인되었다. 양안 색각검사와 동공반응 및 혈액검사에서 특이 소견은 없었다.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좌안에 국소적인 유두염의 소견이 확인되었으나 안구운동 시 통증및 불편감은 없었다. 이에 유두정맥염으로 진단하였고 뚜렷한 시력저하가 확인되지 않아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는 보류하고 망막하액을 치료하기 위해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9개월간 경과 관찰 후 나안시력은 0.0 logMAR로 확인되었고재발 없이 안저 이상 소견이 모두 회복되었다. 결론: 청소년기에도 유두정맥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15세 환자를 대상으로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 없이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주사만으로도 시력과 망막의 해부학적 호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에서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전후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한 황반부 혈관 밀도 분석

        전태하,보강,문종원 한국망막학회 2023 Journal of Retina Vol.8 No.1

        Purpose: To evaluate macular vessel density (VD) change and its correlation with prognosis based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before and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in patients with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BRVO) with macular edema. Methods: We retrospectively examined 32 eyes of 32 patients who were followed for more than 12 months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due to BRVO with macular edema. Follow-up was performed at 1-month intervals, and additional injections were performed if necessary.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d central retinal thickness (CRT) were measured before and 12 months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Using OCTA, the area of the foveal avascular zone (FAZ) and macular VD were measured before and 12 months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 in macular VD and number of injections was analyzed. Results: The BCVA and CRT improved 12months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p = 0.019, p = 0.017, respectively), and FAZ area showed a decrease after 12 months (p = 0.023). The parafoveal deep capillary plexus (DCP) VD and affected macular V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32, p = 0.012). The mean number of injections was 3.20 ± 1.92, and the larger was the decrease in macular DCP VD, the lower was the number of injections (β = -0.524, p = 0.015). Conclusions: OCTA was able to quantitatively measure changes in macular vasculature in BRVO patients with macular edema. The VD in DCP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and the larger was its decrease, the lower was the likelihood of recurrence of macular edema. 목적: 황반부종을 동반한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에서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전후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에서 나타나는 황반부혈관 밀도의 변화 및 예후와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망막분지정맥폐쇄로 인한 황반부종으로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시행 후 12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했던 환자32명 32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개월 간격으로 경과 관찰하면서 필요시 추가적인 주사를 시행하였으며,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전과 12개월 후의 최대교정시력, 중심망막두께를 측정하였으며,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하여 오목무혈관부위 면적 및 황반부 혈관 밀도를 측정하였다. 황반부 혈관 밀도 변화와 주사 횟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12개월 후 최대교정시력 및 중심망막두께는 호전되었으며(p = 0.019, p = 0.017) 오목무혈관부위 면적은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 = 0.023) 중심와부근 심층혈관총 혈관 밀도와, 망막분지정맥폐쇄에 영향을 받은 황반부 심층혈관총 혈관 밀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32, p = 0.012). 평균 주사 횟수는 3.20 ± 1.92였으며 황반부 심층혈관총의 혈관밀도의 감소 정도가 클수록 주사 횟수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β = -0.524, p = 0.015). 결론: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은 황반부 미세혈관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으며, 유리체강 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심층혈관총의 혈관 밀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심층혈관총의 혈관 밀도 감소율이 클수록 황반부종의 재발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