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과적인 공문서 바로쓰기 교육을 위한 교재 구성 방안

        최홍열(Choi, Hong-Yeol),최윤(Choi, Yo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2

        공문서 작성법 교육은 교육 여건상 제약으로 인해 학습에 효과적인 교재 마련이 시급하다. 지금까지 다양한 종류의 교재가 발간되었으나 학습 효과의 측면에서 평가해 보았을 때 교재 구성에 아쉬움이 많았다. 본 논문에서는 최홍열 외(2013)와 최홍열?최윤(2014)에서 얻은 자료를 토대로 학습과 강의에 좀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문서 작성법 교재의 구성 방안을 알아보았다. 본 논문에서 논의한 것과 같이 오류 빈도와 중요도를 바탕으로 교재를 구성하고 기존에 발간된 교재를 참고하고 개선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교재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후 연구 사업을 통해 마련될 자료를 바탕으로 소통성 평가에 따른 세부 항목을 추가하여 교재를 구성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교재 구성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Due to a range of constraints, there is an acute shortage of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associated with a method of writing official documents. In fact, a variety of teaching materials have been published for many years. However, none of them has led to noticeable education effect because of their structure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prior research (Choi et al., 2013; Choi, H.Y. & Choi, Y., 2014), the current study discusses a way to create a teaching material that can be utilized effectively for lectures and other learning environments. As discussed in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frequency and significance of errors and improve previously published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a more effective teaching material. Moreover, if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official documents is assessed in further research projects and resulting details are included appropriately, it will be possible to design an influential teaching material.

      • KCI등재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어법 교육에 대한 일고찰

        최홍열(Hong-Yeal Choi)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7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4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 법무부사회통합프로그램의 한국어 교재에서 경어법의 사회적 요소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교재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올바른 교육을 위한 교재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의 교재는 법무부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가 기획한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5단계의 기초, 초급1, 초급2, 중급1, 중급2, 한국사회의 이해로 하였다. 먼저 이론적인 접근으로 한국어 경어법을 살펴보고, 이를 구체적으로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재에 주체경어법, 객체경어법, 상대경어법, 특수 어휘 경어법에 문법 항목들은 어떻게 기술되어 있으며 호칭과 상대경어법은 어떻게 공기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교재에 제시된 대화문과 듣기의 내용에 대한 정보 제시의 문제점과 오류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법무부사회통합프로그램의 한국어 교재의 경어법과 대화문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선 방안은 첫째 주체경어법은 초급1에서는 주체경어법 선어말어미 ‘-시-’에 대한 설명과 조사 ‘-께서’와의 공기관계를 동시에 교육해야 하며, 초급2에서는 ‘-시-’와 같이 사용되는 시제선어말어미 ‘-았-’이나 ‘-겠-’의 위치 등을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상대경어법은 초급1에서 상대경어법에 대한 설명과 일상 대화에서 많이 쓰이는 ‘해요체’에 대한 문법 항목을 제시하고, 초급2에서 ‘하십시오체’, ‘해라체’의 순서로 기술되어야 한다. 중급에서 ‘하게체’와 ‘하오체’에 대한 문법 항목에 대한 제시가 반드시 필요하다. 모든 교재의 대화문에서는 상대경어법의 6화계에 해당하는 대화문을 제시하여야 한다. 셋째 특수어휘 경어법의 어휘들은 문장의 쓰임에 따라 호응관계가 다양하기 때문에 문장을 많이 제시하여 설명해야 한다. 넷째 대화문과 듣기 내용은 교재가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가정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관계를 제시하여 상대경어법을 자연스럽게 습득하도록 해야 한다. The Ministry of Justice offers a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help them gain permanent residence.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ociolinguistic factors of honorifics are dealt with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the program. Based on the analytic review of the textbook, we also aim to suggest textbook revisions with the goal of appropriate sociolinguistic education. The material we reviewed is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designed by the Korea Immigration Service, that consists of five levels: Basic, Elementary 1, Elementary 2, Intermediate 1, Intermediate 2, and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First, we reviewed Korean honorifics theoretically, and analyzed how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described the grammatical honorific items: the subject honorifics, object honorifics, relative honorifics, and lexical honorifics, as well as the co-occurrence of the address and its relative honorifics. We also examined problematic issues and errors regarding the contents of conversations and listening in dealing with honorific information. Based on our findings, we suggest revision of the honorifics and conversations in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for the Korean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Firstly, the subject honorific inflectional suffix ‘-si’ and the co-occurrence of the marker ‘-ggeseo’ should be explained and taught in Level 1, while the tense suffixal expressions such as ‘-ass’ or ‘-gess’ should be introduced with its use alongside ‘-si’ and their appropriate place in a sentence. Secondly, relative honorifics should be introduced in Level 1 with Haeyo style that are used often in daily conversational situations, then in an order of Hasipsio style and Haera style in Level 2. In the intermediate level, the introduction for the Hage style and Hao style is necessary. Every conversation in the textbook should present the six variants of the relative honorifics. Since the association of lexical honorifics varies depending on their usage in sentences, a number of example sentences should be presented. Fourthly, we suggest to provide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within the family in the context of conversation and listening, since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the subjects of this class. This will help them to acquire Korean honorific systems naturally.

      • KCI등재

        국어학 교과과정 개선의 필요성과 방안

        최홍열(Choi Hongyeal)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0 No.-

        본 연구는 국어국문학과의 국어학 관련 교과과정에 대해 제기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는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는가를 검토하고, 각 대학교의 기존의 교과과정과 현재의 교과과정을 비교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과과정의 현황 분석과 문제점을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목표에 부합되는 다양한 교과과정을 편성하여야 한다. 둘째, 국어학의 전공과목을 기초 학문 중심의 전문가 양성 과정 트랙과 사회 진출하기 위해 사회와 수요자의 요구가 반영된 트랙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국어국문학과가 포함된 다른 학문과의 연계전공 등을 통해 다른 학문들과의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넷째, 교육목표와 수요자 중심의 교과과목 편성을 위해서는 관련 학과들의 대형 융합학부 편성을 제안한다. 다섯째, 글로컬 시대와 미래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교과목을 개설하여 국어학의 역할을 위해 다양한 연구 환경을 개선하여야 한다. 이를 계기로 국어학 교과과정의 개편에 대해 깊이 고민해 보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This paper analyzes the issues related to the Korean linguistics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s and suggests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future. The paper reviews contents that previous studies focused on and, on assessing the issues by comparison with the present curricula of other universities, it offers measures for resolving the issues. The paper proposes the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plan based on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curriculum and its current problems. Firs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diverse curriculum corresponding to the objectives of education. Seco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two tracks of study: one that trains specialists through fundamental studies of the Korean linguistics major and another that reflects the requirements of consumers and society, enabling students to become successful members of society after graduation. Third, there is a need to ensur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s among other related fields of studies by organizing interdisciplinary programs that are part of or connected to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Fourth, in order to reorganize curriculum subjects that focus on consumers and the objectives of education, unification of related departments into bigger units is suggested. Fifth, and last, there is a need to have a diverse research environment for Korean linguistics in subjects that are imperative in the glocal an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t is hoped that with these points in mind, there will be serious consideration about Korean linguistics curriculum reorganization.

      • KCI등재

        ‘不-’ 否定接頭辭의 結合構造에 의한 意味考察

        최홍열(Choi Hong-Yeo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2

        본 연구는 ‘不-’否定接頭辭가 붙어서 형성된 단어들을 형태 분석하고, 의미론적으로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정접사 ‘不-’이 형태적으로 語基(語幹)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어휘는 否定接辭가 없는 語基와 부정어로서만 존재하는지를 형태구조적인 측면에서 분류해보고, 의미론적으로 부정접사 ‘不-’을 가지고 있는 어휘와 否定接辭가 없는 어휘(單音節을 포함)와의 대립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전제는 ‘不-否定接辭’가 붙어서 형성된 2음절어, 3음절어, 4음절어가 ‘不-’이 없는 어휘와 형태상으로 보다는 意味論的으로 대립어로서의 機能과 役割을 하는가 하는데 있었다. ‘不-’否定接辭와 결합된 語彙는 2음절어와 3음절어로 된 것이 많으며, 4음절어도 다른 부정접두사가 붙는 부정어들보다 많은 어휘를 찾을 수 있었다. 2音節語는 [不+○]의 형태구조, 유표항으로 나타나는 2음절어가 3음절어의 축약형인 형태구조, ‘不-’否定接辭가 붙은 否定語로 無標項의 否定語가 아닌 肯定의 짝이 존재하는 형태구조, 무표항이 없이 반의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형태구조의 네 가지의 경우가 있었다. 3音節語는 ‘不可能/可能’처럼 反意構造를 가진 경우, [[不可]近]의 형태구조, 무표항과 유표항의 대립처럼 보이지만 실제의미에 있어서는 전혀 다른 경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4音節語는 [[不+○]○○]의 구조, [[不+○]+[不+○]]의 구조, [[不+○○]○]의 구조, [[不+○]之○]의 구조, ‘不-’이 否定接辭로 사용되지 않은 어휘의 경우로 나눌 수 있다. 意味論的으로 살펴본 결과 ‘不-’ 否定接辭가 붙은 語彙들은 모두 否定語가 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했고, ‘不-’이 결합되었다 하더라도 否定語가 아닌 어휘가 많음을 볼 수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ords which are formed with a negative affix ‘不-’ morphologically and to examine whether they have the meaning of negation in them semantically. In the words that consist of a stem and a negative affix, they are classified depending on whether their stems and negatives exist independently and researched to consider oppositeness between words with ‘不-’, negative affixes and ones without them, which contain one syllable word. The research question is whether two, three, and four syllable words formed by adding ‘不-’ can function and play a role of the opposites of words without ‘不-’semantically rather than morphologically. Words combined with ‘不-’ have a tendency of consisting of mostly two syllable words or three syllable words and four syllable words with ‘不-’ can be also easily found more than negatives with the other negative affixes. Two syllable words have four cases of morphological structures as follows; 1) morphological structure of [不+O]; 2) morphological structure of contraction form of three syllable words which appear as marked clause, 3) morphological structure which has positive pairs of themselves not as the negative of unmarked clause but as the negative added with ‘不-’, and 4) morphological structure which has the structure of antonym without unmarked clause. In the case of having the structure of contrast meaning such as ‘不可能/可能’ (impossible/possible), although three syllable words appear to be contrastive between unmarked clause and marked one, they can be divided into totally difablent cases in the real meaning. Four syllable words can be divided into the structure of [[不+O]+O O]], the structure of[[不+O]+[不+O]], the structure of [[不+O O]+O], the structure of [[不+O O]O], the structure of [[不+O] 之+O] and the structure in which ‘不’ isn't used as a negative affix. The consequence acquired by studying semantically indicates that not all words with ‘不-’ become negative words. Thus, it is obvious that there exist lots of words which do not mean negative connotations, although the words are combined with ‘不-’.

      • KCI등재

        性狀冠形詞의 範疇 設定에 관한 一考察

        崔洪烈(Choi Hong-yeal)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9 No.-

        본 硏究는 性狀冠形詞의 範疇와 目錄을 設定하는 데 目的을 두고, 先行硏究에 나타나는 性狀冠形詞 목록 33字의 先行 成分을 3音節 漢字語를 중심으로 冠形詞와 接頭辭를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하여 先行 成分의 意味 把握하여 性狀冠形詞의 範疇 및 目錄을 확정했다. 그 결과 3音節 漢字語 先行 成分 중에서 接頭辭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은 ‘가(假), 대(大), 명(名), 부(副), 생(生), 신(新), 정(正), 준(準), 진(眞), 초(超)’, 接頭辭나 冠形詞도 아닌 語根은 ‘고(高), 공(公), 급(急), 단(短), 사(私), 소(小), 숙(熟), 악(惡), 완(緩), 저(低)’, 接頭辭이면서 語根인 것은 ‘호(好), 평(平)’, 接頭辭이면서 冠形詞인 것은 ‘순(純), 장(長)’, 語根이면서 冠形詞인 것은 ‘단(單), 만(滿)’이며, 마지막으로 冠形詞로만 쓰인 것은 ‘구(舊), 근(近), 동(同), 신(新), 약(約), 이(異), 주(主)’이다. 그러므로 先行硏究에서 선정했던 目錄 33字 중에서 性狀冠形詞로 볼 수 있는 것은 ‘구(舊), 근(近), 단(單), 동(同), 만(滿), 순(純), 신(新), 약(約), 이(異), 장(長), 주(主)’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category and list of shape determiner and present the criterion to distinguish between determiner and prefix, depending on three syllable Sino-Korean characters that show on the list of 33 shape determiners in its previous study. Through this study the meaning of the previous study elements are researched and the category and list for determiner are set. As a result, among the three syllables Sino-Korean characters the following letters are classified as a prefix; Ga(假), Dae(大), Myung(名), Bu(副), Saeng(生), Shin(新), Jeong(正), Jun(準), Jin(眞), Cho(超). And the radixes which is neither prefix nor determiner are followed; Go(高), Gong (公), Geub(急), Dan(短), Sa(私), So(小), Suk(熟), Ak(惡), Wan(緩), Jeo(低). The letters which are both prefix and radix are followed; Ho(好), Pyung(平). The letter of sun(純), Jang(長) is both prefix and determiner. The letter of Dan(單), Man(滿) are both radix and determiner. Finally only determiner is followed; Gu(舊), Geun(近), Dong(同), Sin(新), Yak(約), Yi(異), Ju(主). Therefor among 33 letters on the list of previous study the following letters can be classified as shape determiners; Gu(舊), Geun(近), Dan(單), Dong(同), Man(滿), Sun(純), Sin(新), Yak(約), Yi(異), Jang(長) and Ju(主).

      • KCI등재

        辭典에 나타나는 通用漢字의 意味考察

        崔洪烈(Choi, Hongyeal)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5 No.-

        본 연구는 國語辭典에서 한 標題語에 두 개나 그 이상의 漢字語가 동시에 通用되어 쓰이는 한자들의 의미를 비교하여 共通으로 나타나는 의미와 時差的으로 나타나는 의미를 밝히는데 目的을 두었다. 하나의 한자어에 같이 쓰이는 한자를 통용한자라 하는데, 같은 한자어에 쓰이는 통용되는 한자라 하더라도 모든 단어에 통용되어 쓰이지는 않는다. 어떤 한자어에 통용되어 쓰이는 한자들이 다른 한자어에도 모두 동일하게 쓰이는지를 살펴보고, 그렇지 않다면 왜 그런지를 漢字學習書와 字典類들의 典據를 통해 意味의 차이를 밝혀보았다. 『표준국어대사전』과 『古今漢韓字典』에 쓰인 통용한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먼저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 한자가 통용되어 쓰이기 위해서는 두 한자에 공통의 의미가 있는 것이 당연하므로 두 한자 사이에서 통용되는 의미를 파악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표준국어대사전』의 ‘ㅂ’字 부분에 해당하는 표제어중에서 通用漢字가 쓰인 38쌍의 한자들을 대상으로 共通意味와 個別意味를 밝혀 보았다. 그 결과 첫째로는 공통의 의미가 없는 한자를 통용한자로 보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의 표제어에 통용한자로 登載되어 있다든지, 漢字學習書나 字典類를 살펴보면 ‘-通, -見, -同, -仝’ 등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통용되는 의미가 없는 경우가 있다. 둘째는 本字나 同字, 俗字를 통용한자로 보는 경우로 동일한 한자에 대해 문헌에 따라 同字로 보거나 本字로 보거나 通用漢字로 보는 경우가 있는데, 本字나 同字인 것을 통용한자로 착각하는 것이다. 셋째는 두 한자 사이의 공통의 의미만 있고, 개별적인 의미가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이 한자들은 包含의 관계에 있는 한자들로 거의 ‘同字’로 쓰이는 한자이다. 그런데, 同字는 문헌에 ‘-同’으로 표기되어 나타나는데, 어떤 문헌에는 ‘-通, -見’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어 이런 오류를 범하는 것이다. 넷째로는 한 漢字에 通字가 一對一의 대응이 아니라 여러 개의 通字가 있어서 混同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다섯째는 『표준국어대사전』의 標題語에는 통용한자로 등재되어 있는데, 漢字學習書나 字典類를 검색하면 ‘-通, -見, -同, -仝’ 등으로 설명하는 典據는 없고, 한자의 細註에 나타나는 의미가 일치해서 통용한자로 쓰이는 경우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used simultaneously in two or more Chinese characters in one headword in the Korean dictionary. It is said that Chinese characters commonly used in a single Sino-Korean word are Chinese characters in commonness. Even if Chinese characters in commonness are used in the same Sino-Korean word, they are not used in all words. However, this study finds that Chinese characters used in some Sino-Korean words are the same in all other Sino-Korean words; we identify the difference in meaning based on Chinese character tutorials and Chinese dictionaries for all cases in which they are not similar. I start by examining what Chinese characters are in commonness in Pyojun-gugeodaesajeon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Gogeum-hanhanjajeon (Old and Present Chinese character to Korean Dictionary). In addition, it is natural for two Chinese characters to have a common meaning in order for them to be commonly used; consequently, I was able to understand this common mean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8 pairs of Chinese characters in commonness in the headwords, starting from ‘ㅂ’, in the dictionary. First, the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no common meaning are Chinese characters in commonness. They are listed as Chinese characters in commonness in the heading of Pyojun-gugeodaesajeon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or described as ‘–Tong, -Gyeon, -Gong, -Gong’ in Chinese character tutorials and Chinese dictionaries, but they have no common meaning. Second, Bon-ja, Dong-ja, and Sok-ja are regarded as Chinese characters in commonnes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one Chinese character is described as Bon-ja, Dong-ja, or Chinese characters in commonness, but Bon-ja or Dong-ja are mistaken as Chinese characters in commonness. Third, there is a word in which two Chinese characters share the same meaning. In inclusive relation, these Chinese characters are almost used as Dong-ja. Dong-ja is denoted by ‘-Dong-ja’ in the literature. However, this error is caused because it is denoted by ‘–Tong, -Gyeon’ in some documents. Fourth, Hondong is generated because there are several Tongja in one Chinese character; not Tongja as a correspondent of Iildaeil’s. Fifth, they are listed as Chinese characters in commonness in the heading of Pyojun-gugeodaesajeon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When you search in Chinese character tutorials and Chinese dictionaries, there is no explanation for ‘–Tong, -Gyeon, -Gong, -Gong’. They are used as Chinese characters in commonness because the meanings of these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 in the annotation.

      • 배전계통의 전압안정화를 위한 소수력발전기의 최적전압제어방안에 관한 연구

        최홍열(Hong-Yeol Choi),이후동(Hu-Dong Lee),윤형익(Hyoung-Ik Yoon),노대석(Dae-Seok Rho),곽원구(Won-Gu Kawk),김희재(Hee-Jea Kim),조현식(Hyun-Sik Jo) 대한전기학회 2018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8 No.-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개발정책에 따라 태양광과 같은 분산형전원이 대량으로 배전계통에 도입되어 운용됨에 따라, 배전계통의 전압상승 등 전력품질에 관련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력회사에서는 분신형전원 배전계통연계기준을 제시하여 배전계통의 전압안정화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배전계통의 적정한 전압을 유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전원이 대량으로 연계된 배전계통에 연계운전 중인 소수력발전기의 역률제한에 따른 전압제어 한계점을 분석하여 발전기의 최적전압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전압제어 시뮬레이터와 설계통 적용을 통해, 소수력발전소 연계선로의 전압안정화 향상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女性結婚移民者를 위한 漢字 敎育에 대한 一考察

        崔洪烈(Hong-yeal, Choi)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5

        女性結婚移民者들이 늘어나면서 한국 사회는 여성결혼이민자의 韓國語 敎育에 막대한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韓國語 교육에서 語彙 敎育은 매우 중요한데, 한국어 語彙의 70% 이상을 漢字語가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國語敎育뿐만 아니라 外國語로서의 韓國語 敎育에서도 漢字敎育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한국어 교육에서 學習者의 語彙力을 伸張시키고자 할 때 漢字敎育이 效果的인 方法이 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의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 교육에 대한 基礎漢字 數, 敎育 時期에 대한 문제점을 기존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가장 적합한 敎育用 基本漢字를 選定하였다. 選定基準은 첫째, 여성결혼 이민자 敎育用 敎材에 포함된 漢字語를 이루는 漢字, 둘째, 家庭에 필요한 實用的인 生活 基礎 漢字, 셋째, 造語力이 높은 漢字, 넷째, 어휘 목록에는 없지만 한국어 교육에서 가장 基礎的인 漢字에 해당하는 것으로 했다. 이상의 선정기준을 토대로 수업의 段階를 감안하여 325字를 選定하였다. 이를 學習者의 수준에 맞춰 初級 1 段階에 해당하는 25字, 初級 2 段階에 해당하는 50字, 中級 1 段階에 해당하는 100字, 中級 2 段階에 해당하는 150字를 선정하였다.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immigrant wives, Korean Society has supported massive amounts of budget to the wives. Vocabulary education is important for them in Korean education. As a word written Chinese character is 70 percent composed of Korean vocabulary. Hanja education is necessary for Korean education not only native Korean but also foreigners who lear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o hanja education is an effective way for immigrant wives to improve their Korean. This study find out the problems about the number of basic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used on Korean education for immigrant wives and the education time. According to the result, educational basic Chinese characters are selected. The selection criteria is as follows: First, the Chinese characters in teaching materials for immigrant wives, Second, basic practical Hanja in daily life, Third, Highly coined Chinese characters, Fourth, high frequency As meeting learners levels, 325 Chinese characters are selected although they do not exist on lexicon but most frequently show up on basic Korean lessons. The selected 325 letters are Primary 1 level : 25 letters, Primary 2 level : 50 letters, Intermediate 1 level : 100 letters, Intermediate 2 level : 150 letters.

      • KCI등재

        通用으로 쓰이는 漢字의 意味 考察 - ‘ㅅ’字 부분을 중심으로 -

        최홍열(Choi, Hongyeal)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8 No.-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표준국어대사전』에서 한자어에 두 개 이상의 한자가 동시에 같이 통용되어 쓰이는 한자들의 의미를 파악하여 공통으로 나타나는 의미와 시차적으로 나타나는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하나의 한자어에 같이 쓰이는 한자를 통용한자라 하는데, 같은 한자어에 쓰이는 통용되는 한자라 하더라도 모든 단어에 통용되어 쓰이지는 않는다. 어떤 한자어에 통용되어 쓰이는 한자들이 다른 한자어에도 모두 동일하게 쓰이는지를 한자학습서나 자전류들의 전거를 통해 의미의 차이를 밝혔다. 본 연구는 모든 통용한자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기에는 너무 분량이 많아 국립국어원(1999)『표준국어대사전』의 ‘ㅅ’字 부분에 통용되어 쓰이는 35쌍만을 가지고 논의를 해 보았다. 그 결과로 첫째는『표준국어대사전』에 통용되는 한자로 나타나고, 한자학습서나 자전류의 문헌에는 ‘-同, -仝, -通, -見’으로 訓釋되어 있지만 실제 의미를 파악해 보면 공통 의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둘째는 本字나 同字, 俗字를 통용 한자로 보는 경우이다. 문헌에 따라 同字나 本字로 훈석되어 있는데, 이것을 통용되는 한자로 착각하는 것이다. 셋째는 두 한자 사이의 공통의 의미만 있고, 개별적인 의미가 확인되지 않는 것이 있다. 한 한자가 다른 통용한자에 포함의 관계를 하고 있는 한자로 거의 ‘同字’로 쓰이는 한자이다. 넷째, 한 漢字에 通用되는 한자가 일대일 대응이 아니라 여러 개의 通字나 同字가 있어서 混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다섯째,『표준국어대사전』의 표제어에는 통용한자로 등재되어 있지만 漢字學習書나 字典類를 검색하면 ‘-通, -見, -同, -仝’ 등으로 훈석된 것은 없고, 뜻풀이에 나타나는 의미가 일치해서 통용으로 쓰이는 한자들이 있다. 본 연구는 통용한자에 관하여 의미적인 면에서 고찰하였지만, 통용되는 한자의 의미자질에 관한 심도 있는 분석 및 자료의 폭넓은 정리에서 미흡한 점이 있다고 본다. 앞으로 통용한자의 계속적인 연구로 통용한자에 대한 사전이 만들어졌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reveal definitions that vary from common meanings. One Chinese character is called a common Chinese character used in several words, but even if it is a common Chinese character, it is not used in all words. The difference in meaning was revealed through a Chinese character study book or a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to determine which Chinese characters are commonly used and used in other Chinese charac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 Chinese characters commonly used in the ‘ㅅ’ part of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he first appears as a Chinese character commonly used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the Chinese character study book or the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is interpreted as ‘-同, -仝, -通, -見’ but when the meaning is grasped, the common meaning might not be confirmed. The second is the case of using slang to label the same Chinese character, similar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haracter. Depending on the literature, the meaning is interpreted with the same or similar characters, which is mistaken for the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s. Third, there is only a common meaning between the two Chinese characters, and there are cases where individual meanings are not confirmed. One Chinese character is included in another common Chinese character, and it is a Chinese character that is almost similar. Fourth, there are cases where confusion occurs because Chinese characters commonly used in one Chinese character are used together with several Chinese characters, not one-on-one correspondence. Fifth, the title of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is listed as common Chinese characters, but if you search Chinese character study books or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nothing has been interpreted as ‘-通, -見, -同, -仝,’ and there are Chinese characters that are commonly used because they have the same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