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정역사교과서에 대한 통합기호학적 비판 및 문화경영적 대안

        윤성노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5 No.-

        A l'heure actuelle nous, le monde politico-intellectuel ainsi que le grand public, se trouvons bient mouvementés à cause de la tentative de prise du manuel scolaire d'histoire par le pouvoir. Or le manuel est par définition le texte dont la sémiotique fait son domaine de prédilection. Ainsi donc, comment devra-t-elle s'y tenir dans la polémique mettant pour enjeu le texte? Croyant qu'il est nécessaire de problématiser le texte dans ses rapports avec le savoir/pouvoir, cet article a pour objet d'étude deux choses. L'une est de critiquer la monopolisation étatique en question en recourant à une sémiotique unifiée appelée 'dynamics du sens‘ et selon laquelle la sémiosis est à concevoir comme le phénomène de systèmes complexes. Et l'autre consiste à chercher des pistes de résolution en faisant appel à la gestion culturelle à la française autant qu'à l'humanisme oriental. En conclusion nous proposons une mise au point de principaux thèmes de discussion avant de donner une vision que nous trouvons susceptible de contribuer à sortir de la crise provoqué par la tentative de mettre le manuel aux mains du pouvoir. 본고는 지식/권력과의 관계 속에서 텍스트를 문제화하고 발화의 관점에서 기호학적 문제의식을 쇄신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 하에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부당성을 논증하고, 문화경영 및 동양식 인본주의의 관점에서 해결 방안을 찾는 데 연구목표를 둔다. 1부에서 우리는 복잡계로 간주된 세미오시스 연구를 위해 왜 통합기호학이 필요한지 설명한 다음 비판적 담론 분석과 발화기호학을 두 축으로 하는 통합기호학의 관점에서 국정역사교과서의 문제점들을 항목별로 논한다. 2부에서는 문화현상을 구성원들이 함께 텍스트를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규정하고, 문화경영 개념을 도입해 매개자 및 브랜드매니저로서 위정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해답의 실마리를 제시하며, 또한 국정역사교과서로 야기된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왜 여민리더십과 소통능력을 겸비한 “A"형 인재가 필요한지 설명한다. 결론부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토대로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쟁점들을 정리하고 인본주의적 지혜의 관점에서 비전을 제시하는 것으로 글을 마무리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의의 관점에서 기호학은 문화시장에 대해 무엇을 이야기할 수 있는가?

        윤성노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3 No.-

        본고는 <세월호> 참사의 근본적인 원인이 ‘차가운’ 자본에 있다는 진단 하에, ‘사회기호학’의 관점에서 시장 친화적 민주주의를 비판적 시각에서 고찰하고, 프랑스식 문화경영 모델을 도입해 문화정치와 ‘확장된’ 시장주의의 관계를 논하는 데 그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우선 문화산업에 대한 비판이론(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미디어비평(맥루언), 네오-마르크스주의적 이데올로기론(그람시와 알튀세)을 비교․검토하고, 그 중요성이 부각되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문화연구의 지적 지형 변화를 설명한다. 또한 ‘의미의 동역학’이라는 이름의 통합기호학을 도입함으로써 문화콘텐츠를 규정하고, 문화연구를 위해 왜 ‘사회기호학’이 필요한지 논증한다. 이런 내용들이 본고의 1부를 구성한다. 2부에서 우리는 프랑스식 문화경영 모델을 도입하는 것으로 시작으로 “4대 문화경영주체들”(창작자, 공중, 결정권자, 매개자)의 역할 및 정책과 문화시장의 관계를 다각도로 논의한다. 우리의 기본 입장은 이윤과 공공선 사이에서 콘텐츠의 ‘가치’를 평가할 필요가 있고, 인의(仁義) 기반 동양식 정의관과 함께 “상자 밖에서 생각”할 수 있어야 하며, 그러자면 ‘정통’ 경제학 교과서에서 벗어나 ‘확장된’ 문화시장을 사유의 중심을 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결론부에서는 경쟁패러다임의 가설적 토대를 비판하고, 백범 김구 선생이 꿈꾸던 ‘아름다운 문화국가’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것으로 글을 마무리한다. The hypothesis of this paper originates from an observation that the disaster of <Sewolho>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cold' capitalism whose salient characteristics resides in putting profits in front of persons. Its objective is accordingly to discuss relations between cultural politics and 'enlarged' market in introducing the cultural management à la française on the one hand, and to review the 'market-friendly democracy' from a perspective of 'dynamics of meaning' 'whose core is the socio-semiotics on the other hand. In the background of such a problematization we begin to deal with things like critics on media(Marshall McLuhan), Critical Theory on cultural industries(Frankfurt School), post-marxist interpretations of ideology(Louis Althusser, Antonio Gramsci). It offers an opportunity for us to explain why contents industries have emerged in recent Cultural Studies and then to define, from a socio-semiotic viewpoint, what the culture is and how to consider cultural contents as object of cultural politics. These themes of discussion constitute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n its second part we propose a way of thinking the cultural market in light of the cultural management above mentioned. First thing to do is thus to discuss the roles of 4 subjects(creator, public, mediator, decision-maker) involved in the cultural management. In doing so we'd better talk about 'values' of cultural merchandises rather than their 'price', stance which implies a sort of dialectics between interests and public welfare. This explains why we try to define "仁義" rather than 'Justice' and then use metaphorically the concept of 'kinetic chain' so as to "think out of box", analogy which leads us to review the 'standard' economic textbook in such a way of showing why something goes wrong in the economic theories based on three hypothesis that follow; 1) 'the survival of the fittest constitutes the very essence of evolutionary mechanism', 2) 'persons must not interfere in the order of market', 3) 'the market is an autonomous system existing independently of the rest of society', Finally we give some hints for the "culturally beautiful nation" that our loved leader Bakbum Kim Gu had been looking for and that we believe susceptible of helping to get out of the overall crisis due to the disaster in ques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