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IS 공간보간법을 이용한 도성유적의 지형 복원 - 풍납토성, 신라 왕경을 중심으로 -

        강동석 한국문화유산협회 2014 야외고고학 Vol.0 No.19

        문헌사적으로나 고고학적으로 백제, 신라의 도성 연구는 한성백제기 왕성의 위치비정을 비롯하여 중국에서 도 입된 조방제의 실체와 공간 구조, 도시계획의 면모를 밝히는데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연구는 1980년대 이전까 지 문헌사료에 의존하는 경향이강하였지만, 이후, 서울, 부여, 경주지역의 발굴조사에서 생활유적, 도로유구 등 도시유적이 다수 확인됨에 따라 고고학적 자료에 기초한 도성의 공간적 구조 규명 연구가본격화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성유적 연구는 2차원인 공간 배치구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실제 도시계획과 도시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을 당시의 입체적인 지형에 대한 이해를기반으로 하고 있지 않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도 성의 입지적ㆍ지형적 조건은 공간적통제체계의 형성, 효율적 도시설계와 유지관리라는 관점에서 중요한 영향 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도성의 공간구조를 밝히는 연구는 당시의 지형복원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필 요가 있다. 풍납토성과 신라 왕경유적은 최근 거듭된 발굴성과에 의해 도성 존속시기 문화층 유존지점과 구지표면의 해발 고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고고학적 자료를 기초로 GIS 공간통계기법의 하나인 보간법을 이용하여 한성백제기 왕성으로 추정되는 풍납토성과 통일신라기의 왕경유적에 대한 지형 복원을 실시하였다. 보간법은 kriging을사용하였으며, 적합한 함수모델 선정을 통해 구지표면을 복원하였다. 구지표면 추정결과에 의하면, 풍납토성은 내부에 두 개의 저평한 구릉이 형성되어 있었다. 발굴조사에서 확인 된 종묘ㆍ궁전구역은 교통로와 근접하고, 현저한 입지조건을갖춘 지점에 위치하며, 고급관원주거구역은 토성 내부에서 취락 입지에 적합한 조건을갖추고 있어 계층과 시설물 용도에 따른 차별적 공간 구조를 이루고 있었 던 것으로 보인다. 신라 왕경유적은 대체로 해발고도 약 40m를 기준으로 완사면과 기복지형으로구분된다. 기 복지형은 저지대에서 나타나며, 통일기 생활유적이 집중된 성건동, 서부동, 노서동 일대에 해당된다. 이 지역 에서 확인된 도로유구는 자북 방향의 도로 배치를보이고 있는 황룡사 일대와 다른 방향 축을 이루고 있는데, 이것은 지형적 여건으로 인해 왕경의 정연한 가로구획망 설치가 어려웠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Both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research fields, research on the ancient capitalcity of Baekje and Silla has concentrated on specific issues, such as the establishmentof location of royal capital of the Hanseong Baekje Phase, the grid system diffused fromChina, spatial structure and city planning. Before the 1980s, studies on the ancient citieswere conducted by using historical records. Since then, research on spatial structure ofancient capital city planning has been based on archaeological data, because excavations ofSeoul, Buyeo and Gyeongju have revealed many town sites including living places and roadfeatures. However, such studies has focused on two dimensional spatial distribution pattern;thus they have limited achievement because these are not based on the three dimensionaltopographic space that might greatly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cities and cityplanning. The topographical condition might be the important factor for establishing spatialcontrol system and efficient city planning and maintenance. Therefore, research that aimsto reconstruct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apital city should be based on the restoredtopography. Recent excavations of the Pungnaptoseong Earthen Walled Town Site in Baekjeand the Wanggyeong Site in Silla have provided important data, such as the locationof cultural layers and altitude above sea level of the old surface. This paper attempts torestore topography of the Pungnaptoseong and Wanggyeong sites, which were apparentlyroyal capital of Baekje in the Hanseong Phase and the Unified Silla respectively. In orderto restore topography, kriging interpolation technique was adopted; and restoring maps oftopography was produced by using relevant function models. The restored topography shows that the Pungnaptoseong Earthen Walled Townconsisted of two low flat hills. In this site, the Royal Shrine and Palace District wasclosed to the transport route and the best geographical positions; and the residentialspace of high-ranking officials was placed on the good location for living space. Thereforethese demonstrates the distinctive spatial patterns based on social ranks and function offacilities. Differently with the contemporary topography, the Seonggeon-dong, Seobu-dong and Noseo-dong areas of the Wanggyeong site, where were the main residential areas ofthe Unified Silla Period, were even land. Considering such geographical factors and thedistribution patterns of recently excavated road features, it was highly possible that thegrid system of the Wanggyeong site was not planned by perfect grid structure that therestoration drawing of the Wanggyeong site described.

      • KCI등재

        李集詩에 있어서 孤閒의 정서와 市隱의 추구

        강동석 동양한문학회 2014 동양한문학연구 Vol.39 No.-

        본고는 遁村李集(1327~1387)의 시세계에 관철되어 있는 孤閒의 정서와 귀거래 의식 가운데 하나인 市隱을 파악하고 그러한 시세계가 표출된 동인과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고구한 글이다. 둔촌의 작품은 寄贈詩나 次韻詩로서 牧隱과 圃隱, 陶隱, 惕若齋, 三峯과 주고받은 글이 대부분이다. 이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맑거나, 밝고 환한 心象을 찾아보기 어렵다. 반대로 어둡고 우울하며, 고독한 심사를 표출한 시가 많다. 심지어 자괴감마저 읽히는 구절이 많다. 이러한 시세계의 주요한 동인 가운데 하나가 바로 1359년과 1361년 두 차례에 걸친 홍건적의 침입, 1377년과 1379년 등에 걸친 왜구의 침입 등 끊임없는 전쟁이다. 또 대내적으로 辛旽의 월권과 어지러운 국내 정서를 들 수 있는데, 실제 둔촌은 42세에 신돈을 논죄한 일로 화를 입게 된다. 그러자 부친과 함께 경상도 永川에 피신하여 崔元道집에 우거하며 시를 짓는데 당시의 심사가 그의 문집에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다. 한편 1371년(공민왕 20) 겨울, 신돈이 축출되자 둔촌은 개성으로 돌아와 龍首山아래에 기거하며 이름을 '集'으로 고치고 자를 浩然, 호를 遁村으로 삼는다. 실제 둔촌의 詩作은 이때를 기점으로 다작하게 되는데 여기에 고독함과 한적함이라는 정서가 깊이 드러나고 있다. 아울러 고한의 정서는 귀거래 지향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는데, 둔촌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이 부분이다. 귀거래 지향이야 사대부 뿐 아니라 수많은 문인들에게서 나타나는 흔한 내용인데, 둔촌의 귀거래지향은 市隱이라는 독특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도연명으로부터 시작된 眞隱도 아니며, 다른 사대부들에서 보이는 宦隱의 형태가 아닌 그 중간 형태로 혼란한 대내외적 상황과 아픈 몸, 피폐된 정신 등으로 인한 부득이한 귀거래 지향일 뿐 그 안을 들여다보면 사대부로서의 덕목 가운데 하나인 經世濟民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This thesis written for understanding emotion go-han(solitary reposedness) and si-eun(one of awareness of homecoming), and considering reasons and meanings about process of formation of his poetic world. Almost of his poems exchanged with his companion (Mook-eun, Pyo-Eun, DO-Eun, Chuck Yak jae and Sam-bong) as a form of donating poem or cut-up poem. If you read his poem closely, there is no bright, clear and light imagery. On the other hand, he frequently used dark, gloomy and solitude imagery. Even some sentences contain sense of shame. Some reasons were affect his poetic world. One of them was constant war such as twice red turban invasion(1359~1361) and Japanese raiders invasion(1377~1379). Also Sin-don exceeded King's authority and confused domestic situation in those days could be another reason. Doon-chon met disaster when he was 42 years old because of his ruling of Sin-don. Then he moved to Gyeongsang-do with his father for escaping. They hid Choi won-do's house and Doon-chon wrote poems in his house. So, his mood soaked into his poem naturally at that time. Meanwhile, in 1371(King Gong-min 20th) winter, after Sin-don was ousted, Doon-chon came back to Gaeseong beneath mountain Young-du and changed his name as 'Jip', nom de plume as 'Ho yeon', pen name as 'Doon chon'. Since this time Doon chon in earnest wrote many poem. Solitude and reposedness mood deeply be seen in his poem that time. Go-han closely related with awareness of homecoming oriented, at that fac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which formed Doon chon's poem. Homecoming oriented was very common not only writers but also nobleman, but Doon chon's homecoming oriented has special form like 'Si eun'. Si eun has intermediate form with Do yeon myung's 'Jin eun' and common nobleman's 'Hwan eun'. His homecoming oriented was just unavoidable one, result from confusing inside and outside situation, his weak body and his ruined mental. In reality, we can see his attempt to pursuit one of virtue of nobleman "administrating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