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동차용 무침입형 극저탄소강의 파이버 레이저 용접에 대한 연구

        오용석(Yong-Seok Oh),신호준(Ho-Jun Shin),양윤석(Yun-Seok Yang),황찬연(Chan-Youn Hwang),유영태(Young-Tae Yoo) 한국생산제조학회 2011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experimental results about the butt welding and bead on plate welding of the high power Continuous Wave (CW) Fiber laser for Ultra-low carbon Interstitial Free(IF) steel plate for gear part of car. After being welded of the gear parts by the fiber laser and electron beam Microstructures of melting zone had been mixed acicular, granular bainitic, quasi-polygonal and widmanstatten ferrite because of a radical thermal diffusion after welding, difference of critical volume and grain size. As a result of experiment, when gear parts were welded by the fiber laser and electron beam, the fiber laser welding has been stable properties without internal defects more than the electron beam welding. Therefore it has the very advantages of welding high quality and productivity more than conventional melting method. The optimal welding processing parameters for gear parts were as follows : the laser power and welding speed were 3㎾att, 30㎜/sec respectively. At this time heat input was 21.2×10³J/㎠.

      • SCOPUSKCI등재

        ITO/Alq₃/Al 구조 유기 발광 소자의 유전분극 현상의 연구

        吳容喆(Yong-Cheul Oh),申喆基(Cheol-Gi Shin),金忠爀(Chung-Hyeok Kim) 대한전기학회 2008 전기학회논문지 Vol.57 No.1

        We have investigated dielectric polarization i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8-hydroxyquinoline aluminum (Alq₃) as an electron transport and emissive material. We analyzed the dielectric polarization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characteristics of impedance and equivalent circuit of ITO/Alq₃/Al. Impedance characteristics was measured complex impedance Z and phase θ in the frequency range of 1×40 ㎐ to 1×10? ㎐. We obtained complex electrical conductivity, dielectric constant, and loss tangent (tanδ) of the device at room temperature. And, we obtained the equivalent circuit of ITO/Alq₃/Al through analyzing dielectric constant and dielectric loss tangent. From these analyses, we could interpret a conduction mechanism and dielectric polarization.

      • KCI등재

        차(茶)명상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고찰

        오용석 ( Oh Yong-su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1

        본 논문은 차명상과 관련된 논의를 크게 차명상의 개념과 차명상의 범주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차와 명상의 만남은 우연적인 것이 아니라 서구에서 명상의 효과를 의학적·심리학적·신경과학적으로 증명하는 흐름과 함께 유행하게 되었다. 특히 차명상은 차문화에 속하는 다도와 다례가 가진 특징을 모두 통섭한다는 측면에서 ‘차문화와 명상의 통섭’이라는 포괄적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현재 차명상과 관련된 연구는 ‘마음챙김을 위주로 하는 차명상’과 다선일여에 대한 사상적 탐구인 ‘다선일여의 차명상’의 두 가지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마음챙김을 위주로 하는 차명상’은 다시 ‘심리치료의 도구로 활용하는 차명상’과 ‘마음챙김의 도구로 활용하는 차명상’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차명상의 개념과 분류에 대한 이해는 차명상이 명상적 차원뿐 아니라 문화적 차원까지 지평을 넓힐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무척 중요하다. 그러나 차명상의 목표와 개념에 대한 명확한 규정 없이 차명상의 개념을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차명상의 다양한 가능성을 살펴 보는 데 한계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앞으로의 차명상과 관련 된 연구가 차문화와 통섭되는 명상의 기능과 목표에 대한 분명한 범주를 통해 접근 방식의 개성과 특징을 살리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examined about the Tea Meditation through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various discussions of tea and meditation. The meeting between tea and meditation is not coincidental, but has become popular in the West with a stream of medical, psychological, and neuroscientific proofs of the effects of meditation.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tudy a variety of approaches in terms of integrating both the tea way and tea ceremony that belong to tea culture, because it is understood within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tea culture. The research on Tea Meditation is being conducted in two dimensions which focuses on mindfulness and which is an immutability of Tea and Zen. and Tea Meditation which focuses on mindfulness also divided into which is used as a tool for psychotherapy, and which is used as a tool of mindfulnes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about Tea Medita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an provide a foundation to expand the horizon not only in the meditative but also in the cultural dimension. The use of the concept of Tea Meditation without explicit definition of the goal and concept of Tea Meditation is rather limiting the exploration of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Tea Meditation. In this context, further studies on Tea Meditation should move toward the use of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approach through a clear category of Tea Meditation's functions and goals.

      •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새로운 NAND 플래시 메모리 파일 시스템

        오용석(Yong Seok Oh),박찬익(Chan Ik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2B

        플래시 메모리는 비 휘발성, 저전력, 빠른 입출력, 충격에 강함 등과 같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휴대폰, MP3, PDA,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널리 적용 되었고 그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이에 따라 임베디드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NAND 플래시 메모리 전용 파일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플래시 메모리 파일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Garbage collection, Out-Place Update, Wear-leveling 등을 중요시 해 왔으나,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빠른 초기화와 빠른 응답시간이 플래시 메모리 파일시스템에 주용한 이슈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빠른 초기화와 응답시간을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 모발일 플랫폼에 적용가능 한 새로운 NAND 플래시 메모리 전용 파일 시스템을 제안하고 기존 NAND 플래시 메모리 파일 시스템과의 성능을 비교한다.

      • KCI등재후보

        성장, 복지, 보전가치 지향의 사회경제발전 모델의 이론적 유형화

        오용선(Yong Sun Oh),송형만(Hyoungmahn song),진상현(Sang-Hyeon Jin) 한국환경사회학회 2006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0 No.2

        경제성장을 최우선 가치로 추구하는 신자유주의 시장경제가 우리 사회를 주도하고 있다. 그런데 경제는 저성장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그것조차 강자 중심의 고용없는 성장이다. 이런 가운데 한편으로는 장기실업, 빈부격차 심화, 사회 신뢰 파괴 등으로 사회연대 위기를 맞이하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대규모 환경파괴와 지구온난화 등 생태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 사회가 지향하고 있는 사회경제발전 모델에 대한 성찰이 필요한 때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발전모델을 성장지향사회, 복지지향사회, 보전지향사회로 유형 화하고, 각 유형별로 지향하는 가치, 사회구성원리, 인간본성의 발현과의 관계, 사회경제를 바라보는 관점 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현재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생태와 사회위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지향하고 있는 성장지향사회의 모델에 복지지향과 보전지향사회 모델의 요소를 보완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market economy of neo-liberalism to put economical growth first has led our society. However, economy is still under the low growth, even the growth has implemented with priority given to the strong, without creating employment. In the result, we have been faced with the crisis of social solidarity and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We require the reflection of developmental model in our society. In order to implement the target, we classified developmental models into three types, Growth-Oriented Society(GOS), Welfare-Oriented Society(WOS), Conservation-Oriented Society(COS). We analysed each models, in terms of value orientation, the principle of society formation, the human nature's expression, and the socioeconomic viewpoint. We showed in study that we should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GOS with WOS and COS's elements to solve ecological and social crisis in our society.

      • KCI등재

        고차원펄스 스펙트럼 분석을 위한 이러닝 시스템의 설계

        오용선(Yong-Sun Oh)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8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펄스의 스펙트럼을 유도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학습내용으로 하는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을 설계한다. 고차원펄스의 스펙트럼은 연속미분법이나 콘볼루션법 등 기존의 방법에 의하여 유도될 수 있으나, 그 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하게 높아지는 복잡도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우리는 고차원펄스의 차수에 따라 순환적으로 적용되는 알고리듬을 제시하고, 이를 찾아보기표에 의하여 함수적으로 차수에 연관된 스펙트럼의 식을 유도한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고차원펄스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과정을 학습하는 이러닝 콘텐츠를 설계한다. 여기에는 기존의 순차적 재생을 기본으로 하여 이른바 개념단위 오브젝트별 분기방식을 적용하는 콘텐츠 처리방식이 사용된다. 모델링, 임펄스응답과 전달함수, 파라미터, 찾아보기표 등 전체를 네 개의 개념단위로 분할한 콘텐츠페이지를 설계하고, 이들로부터 하향식으로 분화된 개념단위들을 모듈과 서브모듈로 설정한다. 이들은 개념단위 오브젝트별 분기방식에 의하여 학습자에게 다양한 학습순서와 반복학습 등을 제공하여 상호작용을 증대하고, 저작된 이러닝 콘텐츠에 의한 학습효과를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콘텐츠 자체의 효율성 측면에서도 현저한 향상을 이룬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systematic method to derive spectrum of high-order pulse and a novel design of e-Learning system that deals with deriving the spectrum using concept-based branching method. Spectrum of high-order pulse can be derived using conventional methods including ‘Consecutive Differentiations’ or ‘Convolutions’, however, their complexity of calculation should be too high to be used as the order of the pulse increase. We develop a recursive algorithm according to the order of pulse, and then derive the formula of spectrum connected to the order with a newly designed look-up table. Moving along, we design an e-Learning content for studying the procedure of deriving high-order pulse spectrum described above. In this authoring, we use the concept-based object branching method including conventional page or title-type branching in sequential playing. We design all four Content-pages divided into ‘Modeling’, ‘Impulse Response and Transfer Function’, ‘Parameters’ and ‘Look-up Table’ by these conceptual objects. And modules and sub-modules are constructed hierarchically as conceptual elements from the Content-pages. Students can easily approach to the core concepts of the analysis because of the effects of our new teaching method. We offer step-by-step processes of the e-Learning content through unit-based branching scheme for difficult modules and sub-modules in our system. In addition we can offer repetitive learning processes for necessary block of given learning objects. Moreover, this method of constructing content will be considered as an advanced effectiveness of content itself.

      • KCI등재

        考終日記와 죽음을 맞는 한 선비의 日常 : 大山 李象靖의 「考終時日記」를 중심으로

        오용원 (Oh Yong-won )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0 No.-

        이 글은 고종일기류 자료의 몇 가지 성격과 고종일기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대산의 「고종시일기」를 분석하여 정리한 것이다. 먼저 考終者의 일상을 기록한 일기는 -記, -日記, -考終記, -考終日記,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不忘記등 기록자의 성향에 따라 다양하게 지칭하였다. 완성된 전모를 갖춘 고종일기는 죽음을 기점으로 전체적인 내용이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죽음에 이르기까지 일어나는 제 행위를 기록한 부분과 死後에 행해지는 각종 喪葬禮 관련 과정을 기록한 부분이 있다. 그리고 사후에 행해지는 일련의 상장례 관련 과정을 기록한 것을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不忘記라고 하는데, 이는 일기 형식을 갖추어 날짜별로 기록한 경우도 있지만, 전 과정을 절차별로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인 범례이다. 대부분의 고종일기는 門人이 그 기록자였다. 왜냐하면 현존하는 다수의 고종일기가 스승의 죽음을 기록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결국 일기의 내용에서 등장하는 인물이나 환경을 기록하는 경우에 가족과 관련된 내용보다는 師弟間의 관계에서 죽음을 맞는 스승의 일상을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어쩌면 血緣문화의 한 소산이라기보다는 學緣문화의 한 소산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기는 현실의 일상적인 생활을 기록한 반면, 고종일기는 죽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일상을 기록한다. 일기의 내용 역시 제한된 공간에서 고종을 맞는 사람의 일상만을 기록한다. 그 기록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병세와 문병자의 명단, 門人과 後孫들에게 남긴 遺訓, 고종자가 맞는 죽음의 태도, 고종자의 死後에 행해지는 각종 喪葬禮와 관련된 일 등을 기록한다. 고종일기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大山 李象靖(1711~1781)의 「考終時日記」를 통하여 죽음을 맞는 그의 日常을 살펴보았다. 대산의 「고종일기」의 내용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청학한 문도들에 대한 기록이며, 이러한 기록을 통하여 죽음을 목전에 둔 당대 거유의 관심이 어디에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자신의 위중한 병세보다 문전에 찾아와 청학하는 문도들에게 좀 더 많은 가르침을 주려는 그의 학문적 배려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죽음을 맞는 그의 태도이다. 그는 육체적인 병고에도 불구하고 찾아오는 문병자 뿐 만아니라, 자식들에게 조차 順天의 진리를 역설하였다. 결국 그는 死生 有命의 천리를 순종하며 자신의 마지막을 준비하였고, 순천자의 모습으로 正終之義를 몸소 실천하였다. 일기는 현실성과 사실성 그리고 일상성을 담보하고 있다. 이제 우리의 인문학은 좀 더 일반 대중들과 교감할 수 있는 다양한 활로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단순한 이념이나 이론에만 얽매였던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각양의 실상을 엿볼 수 있는 일기류 자료에도 관심을 가져봄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료를 통하여 접근해야 하고 새로운 자료를 많이 발굴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고종일기는 아직 학계에 언급된 적이 없는 자료이며, 인문학 전반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지금까지 역사적 거대담론에서 바라보았던 선인들의 삶과 죽음을 ‘고종일기’라는 실기문을 통하여 좀더 가까이서 실상을 바라본다면, 그들의 일상에서 새로운 면면들이 드러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paper studied several characteristics of deathbed diary material and analysed 「Gojongsiilgi(考終時日記)」, the deathbed diary of Daesan(大山李象靖, 1711∼1781), which is the model of deathbed diary. Deathbed diaries which contain the daily affairs of the dying men were named in Chinese character differently according to recorders, for example, [-記], [-日記], [-考終記], [-考終日記],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and [-不忘記]. Fully equipped deathbed diaries have two major parts in their contents. One records the things and matters happened until death and the other records the services and processes of funeral after death. The records of after-death processes, called as [終天錄], [哀感錄], [不忘錄] and [不忘記], were written usually by processes not in sequence of date. Most of existing deathbed diaries were written by disciples - students recorded teachers' death. Therefore, the diaries usually contain the daily affairs of dying master from the viewpoint of disciples not of family members. It can be said that deathbed diary is the work of academic relations rather than blood relations. Common diary records everyday life while deathbed diary records only the affairs of dying man before and after death. Main contents of deathbed diary include the condition of a disease, visitors' list, dying injunctions for disciples and descendants, attitude of dying man toward death and funeral ceremonies and services after death. This paper examined the daily life of dying Daesan through 「Gojongsiilgi(考終時日記)」, the typical deathbed diary. The most distinctive content of it is the record about disciples who asked questions related to their study. The record tells what the dying great Confucian scholar was interested in. He wanted more to give instructions to his disciples than taking care of his serious condition. His attitude toward death was adaptation. He emphasized to visitors as well as descendants on following the law of nature. He prepared his inevitable death with obeying the nature law and practiced his teaching by himself. Diary secures actuality, reality and generality. Our humanity needs to find more routes to sympathize with the public. It is desirable to give more interest to diary material that show various daily lives than the researches centered on theories or ideologies. For it, wide rage of material should be accessed and more material should be found newly. Deathbed diary has not been introduced till now but it has significant meaning to overall humanity field. If the lives and deaths of Song Si-yeol, Lee Sang-jeong or Choi Ik-hyeon were reviewed more realistically through their deathbed diaries, unknown aspects of their daily lives will be kn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